안동향교(安東鄕校) 지도 이미지

안동향교(安東鄕校) 32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안동향교(安東鄕校)
문화유적지정번호
123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소재지지번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1210
지정일자
2021-05-07
소유주체구분
사유
향토문화유적소개
안동에 향교가 건립 된 것은 고려시대로 추정된다. 그리고 조선시대에는 지방의 관학으로서 기능과 역할을 충실히 하였음을 충분히 짐작할 수있다. 1950년 한국전쟁 당시에 소실되었던 것을 1980년대에 현재의 위치에 복설한 것이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54-840-5227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안동시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08-12
제공기관코드
5,070,000
제공기관명
경상북도 안동시

블로그 리뷰

  • 안동향교(安東鄕校) | 안동 향교(安東鄕校)-경북 안동

    안동향교 경상북도 안동시 향교길 65 안동 향교(安東鄕校)는 고려 시대에 창건 후, 한국전쟁 때 소실되었고 1986년 복건하였다. 전학 후묘(前學後廟) 형식이며, 건물은 대성전(大成殿), 명륜당(明倫堂), 동재(東齋), 서재(西齋), 고직사(庫直舍), 내삼문(內三門), 청아루(菁莪樓)가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

    청암스토리 (작명/풍수지리)(2024-12-13 05:23:00)

  • 안동향교(安東鄕校) | 안동향교.安東鄕校 (경북.안동)

    경북 안동시 안동향교는 고려시대 (1567년. 명종 22) 창건되어 이후 중건시에는 안동시 명륜동에 당시 규모가 성균관과 동일시되었으며 영남 지방에서 가장 큰 규모였다고 한다. 6.25 전쟁 시 또 불에다 중건 (1986년)을 하게 되며 현재의 위치에 동무와 서무 구분 없이 오성(五聖) - 공자. 인자. 증자. 자사. 맹자. 과...

    성주애지리문화농원(2025-01-10 09:28:04)

  • 안동향교(安東鄕校) | 지리산智異山 둘레 삼도三道 순례 7: 구례향교求禮鄕校와 매천사梅泉祠

    求禮鄕校구례향교 현판과 양 기둥의 成均館儒道會求禮支部성균관유도회구례지부와 成均館女性儒道會求禮支部성균관여성유도회구례지부 간판 구례향교를 방문했던 2월 21일 오전 외삼문 外三門은 굳게 닫혀 있어 내부를 볼 수 없었다. 담 너머로 대성전大成殿의 겉모습만 사진에 담았다. 향교 앞의 홍살문과 보호수...

    소이부답 笑而不答(2025-04-20 10:00:00)

  • 안동향교(安東鄕校) | 아쉽다! 문만 열려 있었어도... [청송 송만정]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인(景寅), 호는 송만(松巒)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동하였으며, 군자감판관(軍資監判官)을 지냈다고 합니다. 임진왜란뿐 아니라, 정유재란 때에도 곽재우 장군과 함께 의병에 참가하여 화왕산성 전투에서 큰 공을 세운 분이기도 하고요. 그런데 이집의 모양이 매우 남다릅니다. 앞...

    한빛과 함께 여행 가자!(2025-04-25 14:58:49)

  • 안동향교(安東鄕校) | 안동향교

    blog.naver.com https://www.kb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26 안동향교에 조선총독부 표지석이? 안동지역의 유학 교육과 보급에 큰 영향을 주었던 안동향교(安東鄕校)에 일제잔재의 유물인 조선총독부 표지석이 그대로 남아있어 철거냐? 잔류냐?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안동시 송천동에 www.kbin.co.kr

    비슬산하 낙동강안(2025-03-22 18:39:56)

  • 안동향교(安東鄕校) | 만나는 경북의 문화재』Ⅷ -▣안동 전주류씨 삼산종택(安東 全州柳氏三山宗宅)▣경주 남산 창림사지...

    류정원(柳正源)의 자는 ‘순백(淳伯)’이며, 호는 ‘삼산(三山)’이다. 11대 유석구(柳錫龜)의 넷째 아들로 류익휘의 장자인 류상시의 손자이다. ​ 1751년 안동(安東)으로 귀향해 향음주례(鄕飮酒禮 : 향촌의 유생들이 향교 및 서원 등에 모여 학덕과 연륜이 높은 이를 주빈으로 모시고 술을 마시켜 잔치를 하는 향촌의례...

    송풍수월 (松風水月)(2025-04-04 17:16:00)

  • 안동향교(安東鄕校) | 경북 안동(安東)을 다니다.

    고려 후기 두문동 72현의 한 사람이자 흥해배씨 안동 입향조인 백죽당(栢竹堂) 배상지(裵尙志, 1351~1413 )의 7대 종손이었으므로, 이 건물은 흥해배씨 백죽당파...쉼하며 시원한 음료로 목을 축였다. 11.안동 임청각(安東 臨淸閣) & 안동법흥사지 칠층전탑(安東 法興寺址 七層塼塔)에 가다. ​ 안동 임청각(安東 臨淸閣...

    산수유(sansuyou)의 일상(2024-11-27 21:42:00)

  • 안동향교(安東鄕校) | 선비문화의 정수 안동 땅 떠돌기, 그 1 - 20년만에 다시 찾은 예안향교(禮安鄕校)

    조선시대에 예안현(禮安懸)에 설치하였던 "예안향교(禮安鄕校")는 예로부터 안동향교(安東鄕校)와 더불어 경상북도 안동 지역의 유학 교육과 보급에 힘써 왔는데...에 설치된 것으로 되어 있던데, 예안이 조선초기에는 현(懸)이었다가 조선후기에 군(郡)으로 승격되었음을 생각하면 둘 모두 맞는 말이라고 할 수 있어...

    자유로운 삶을 꿈꾸는 자의 여행스케치(2023-12-04 21:14:00)

  • 안동향교(安東鄕校) | 서원(書院)과 향교(鄕校)

    향교(鄕校) ​ 향교는 고려시대부터 있어왔는데 조선시대에도 전국에 향교를 열어 학생들을 가르쳤습니다. 향교는 지방관에게 운영의 책임을 맡기고 향교의 운영을 위해 조정에서 밭과 노비를 하사했는데 이를 학전(學田)과 학노비(學奴婢)라 부릅니다. 그러나 학전만으로 운영이 어려워 지방관이 향교의 운영비를 따로...

    여행맛객(2024-11-23 12:00:00)

  • 안동향교(安東鄕校) | 四字成語 총정리 ㄷ 241 대흥읍성~덕국애국가

    大興鄕校 (큰 대, 일 흥, 시골 향, 학교 교) 예산군 대흥면 교촌리에 있는 향교. 1405년(조선 태종 5)에 유현儒賢의 위패位牌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대흥향교와 상중리 느티나무 그리고 망태할아버지석상 네이버 블로그 宅內 自動去來 端末機 (집 댁, 안 내, 스스로 자, 움직일...

    햇살의 물고기학당(2024-12-10 20:59: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