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영모정(永慕亭)
'영모암(永慕菴)'에서 2.2km
63
바로가기
간재종택(艮齋宗宅)
'영모암(永慕菴)'에서 3.2km
55
바로가기
청천와(聽天窩)
'영모암(永慕菴)'에서 3.2km
56
바로가기
군자정
'영모암(永慕菴)'에서 3.6km
시도유형문화재 제276호
바로가기
오계서원
'영모암(永慕菴)'에서 3.6km
문화재자료 제475호
바로가기
영풍두월리약사여래석불
'영모암(永慕菴)'에서 4.4km
문화재자료 제223호
바로가기
의성김씨 평장사공파 삼대종택과 사당(義城金氏 平章事拱把 三代宗宅과 祠堂)
'영모암(永慕菴)'에서 5.6km
122
바로가기
영주 도림서당
'영모암(永慕菴)'에서 6km
문화재자료 제567호
바로가기
순흥 안문의 상징 ‘영모암’ 대를 이은 문한의 마을 ‘도봉’ 우리마을탐방, 부석면 감곡2리 (도봉... (慕癡坊), 영모암(永慕菴), 도봉(道峯) 등 8개동이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모두 낙하암천(落霞巖川)을...
살기좋은마을 안정면(20160527)
고려 말기 기산면 영모리에 있던 영모암(永慕菴)을 1682년(숙종 8) 이곳으로 옮겨온 것이라는 기록도 있지만, 영모암과 봉서사가 나란히 언급된 다른 문헌도 있으므로 단정할 수 없다. 한말의 독립운동가...
새로쓰는 사랑이야기(20210216)
고려 말기 기산면 영모리에 있던 영모암(永慕菴)을 1682년(숙종 8) 이곳으로 옮겨온 것이라는 기록도 있지만, 영모암과 봉서사가 나란히 언급된 다른 문헌도 있으므로 단정할 수 없다. 한말의 독립운동가...
각시탈의 흔적(20170424)
다만 고려시대 말기 건지산 서쪽에 위치한 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에 있던 영모암(永慕菴)을 1682년(숙종 8) 이곳으로 옮겨온 것이라는 기록도 있지만, 《충청도읍지》에 영모암과 봉서사가 나란히 언급되어...
한국의 숨결(20220823)
순흥지에 보면 도강면에는 우수동(愚수洞), 석탄(石灘, 도탄), 각암(角巖, 불바우), 보계곡(寶溪谷), 문좌곡(文佐谷), 모치방(慕癡坊), 영모암(永慕菴), 도봉(道峯) 등이 있었다. 모두 낙하암천(落霞巖川)을...
살기좋은마을 안정면(20160429)
순흥지에 의하면 당시 도강면에는 우수동(愚수洞), 석탄(石灘, 돌탄, 도탄), 각암(角巖), 보계곡(寶溪谷), 문좌곡(文佐谷), 모치방(慕癡坊), 영모암(永慕菴), 도봉(道峯) 등 낙하암천(落霞巖川)을 기준으로...
살기좋은마을 안정면(20150818)
고려 말기 기산면 영모리에 있던 영모암(永慕菴)을 1682년(숙종 8) 이곳으로 옮겨온 것이라는 기록도 있지만, 영모암과 봉서사가 나란히 언급된 다른 문헌도 있으므로 단정할 수 없다. 한말의 독립운동가...
천석의 자연 경안의 발원(20170920)
고려 말기 기산면 영모리에 있던 영모암(永慕菴)을 1682년(숙종 8) 이곳으로 옮겨온 것이라는 기록도 있지만, 영모암과 봉서사가 나란히 언급된 다른 문헌도 있으므로 단정할 수 없다. 한말의...
목야뜨락(20181025)
그리하여 12칸의 집을 짓고는 ‘영모암(永慕菴)’이라 이름 지었다. 종신토록 조상을 추모하는 뜻을 취한 것이다. 때는 가정(嘉靖) 무오년 (1558년) 초여름이었다. 아! 우리 안씨는 효도하고 우애하는 가문이라고...
실록[實錄] 순흥安씨(20150828)
그리하여 12칸의 집을 짓고는 ‘영모암(永慕菴)’이라 이름지었다. 종신토록 조상을 추모하는 뜻을 취한... 개수하면서 영모암(永慕菴)이라는 12칸의 재사(齋舍)를 세워 관리하였다고 한다. 追封樞密院副使...
실록[實錄] 순흥安씨(20150828)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