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 지도 이미지

아산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 109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아산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문화유적지정번호
아산시 유형문화유적 제25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불상
소재지지번주소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해암리 308
지정일자
2021-09-05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대윤사
규모
석불 1구
조성시대
고려
향토문화유적소개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해암3리 대윤사의 본전인 대각전에 모셔져 있다. 자연석으로 만든 대좌 위에 서 있으며 머리 위에는 자연석 갓이 올려져 있다. 아산의 옛 석불 중에서 환조로서 뒷면까지 잘 다듬어져서 완전한 입체로 조성된 드문 불상이며 하나의 커다란 화강석으로 조성하였다. 변형된 삼산관(三山冠)을 쓰고 있는 보살상이며, 어떤 보살인지는 알 수 없으나 아주 오래전부터 미륵, 미륵불로 일컬어졌다. 보관 위의 갓, 즉 자연석 판석과 둥근 돌은 한데에 서 있는 미륵을 보호하기 위해 후대에 올린 것이다. 얼굴(상호)은 풍만하고 입가에 미소가 표현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넉넉한 느낌을 준다. 백호는 표현하지 않았고 코는 작은 편이며, 귀는 턱선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다만, 눈 코 입을 깊게 조각하지 않아 얼굴을 옆에서 보면 입체감은 좀 떨어진다. 목은 굵고 짧으며 삼도(三道)는 표현하지 않았다. 법의는 통견이며 도식적으로 표현하였다. 어깨 부분에는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이고 팔꿈치부터 수직으로 길게 평행선 형태로 조각하고 아래 끝부분에서 곡선으로 처리하였다. 몸에서 가장 두드러진 부분이 커다란 손이다. 왼손은 가슴 앞에 세워 엄지를 구부리고 손바닥이 보이게 하였고 오른손은 아래로 내린 채 엄지를 구부리고 손바닥이 보이도록 하였다. 좌우가 바뀐 시무외여원인(施無畏與願印)이다. 왼손 가운데의 보주가 눈에 띈다.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관련된 사연이 많다. 해암3리 옛이름 한절골, 대사동(大寺洞)의 유래가 되었다는 절과는 위치가 달라 관련성을 단정할 수 없다. 마을의 전설에 의하면 부자가 절을 없애버리는 바람에 스님들이 쫓겨날 때 곡교천을 건너가면서 부처님이 마을을 등지게 돌려놓고 가버렸다고 한다. 그 뒤부터 마을에 좋지 않은 일이 자주 생기게 되어 마을 사람들이 매년 음력 정월에 제사를 지내 왔다는 전설이다. 실제로 주민들은 수백 년 동안 마을의 수호신으로 받들어왔고, 몇십 년 전에는 기와를 얹은 벽돌집으로 ‘당집’을 지어 모시기도 했었다. 인주 해암리 사람으로 공주 마곡사에서 ‘대윤(大潤)’이라는 이름으로 한때 행자 생활을 했던 아버지가 논에 서 있는 미륵불을 어딘가에 잘 모시고 싶어하였기에 한의사이자 불자인 아들 배오성이 대윤사 자리를 희사하고 미륵불을 1987년 3월에 우선 옮겨 놓았다. 절 지을 준비를 하며 여러 해 동안 방치되어 있던 사이에 미륵불이 도난당했다. 3년간의 고생 끝에 국회의원을 지낸 어떤 부자의 별장에서 미륵불을 찾아서 모셔왔다. 1995년에 대윤사 대각전(大覺殿)을 완성하고 주불로 모시게 되었다. 불상이 최근에 조성한 것처럼 깨끗한 이유는 도난 당시 절도범이나 매수자가 표면을 빡빡 밀어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곡교천의 이름 중 하나인 ‘미륵천(彌勒川)’은 이 미륵불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불상의 원래 위치와 규모, 조형미 등으로 볼 때 애초에 풍수지리의 비보(裨補) 차원에서 조성된 불상일 수도 있으며, 주민들은 오랫동안 풍요와 뱃길의 안전을 기원하는 대상으로, 자신들을 지켜주는 수호자로 여겨왔다.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고려시대에 조성된 불상으로 추정되며 조형미와 역사성, 지역성을 고루 갖추고 있는 매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41-536-8775
관리기관명
충창남도 아산시
데이터기준일자
2023-05-10
제공기관코드
4,520,000
제공기관명
충청남도 아산시

블로그 리뷰

  • 아산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대윤사 석조미륵보살

    들어주어 부처의 자비를 보여준다는 수인으로 오른손을들어 펴보이고 왼손은 아래로 향하는 모양 하고계심니다 ​ 손의 위치가 바뀌어 있음도 확인 아산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 은 흔히 미륵불 이라 부르며 이불상을 모시기위해1990년대 초에 창건된 대윤사 주불로 모셔지고있다 ​ 머리에는 산 모양의 삼산관 이 변형된...

    평택점집 성각암(2024-02-17 00:52:00)

  • 아산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충청남도 아산시 용두산 대윤사(龍頭山 大潤寺)

    사비를 들여 찾기 시작하였다. 3년여 만에 3억여 원을 들여 석조미륵보살입상을 찾았는데, 어떻게 누가 훔친 것인가에 대해서는 자세한 이야기가 전해지지 않는다. 그 후 대윤은 절터를 시주하며 석조미륵보살입상을 모셔줄 것을 부탁하여 지금의 대윤사가 건립되었다고 한다. 대윤사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해암리 304-1

    가볍게 떠나는 불교여행(2025-01-20 05:40:00)

  • 아산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5층석탑 서산마애여래삼존상 논산관촉사석조미륵보살입상 공주무령왕릉석수 예산수덕사대웅전 아산...

    백제 후기인 7세기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 ​ 04.천안 '조선총독부철거부재' ​ 1995년 8월 15일 광복 50주년을 맞이하여 일제의 식민잔재 청산과 민족...활용하기 위해 같은 해 11월 27일까지 독립기념관으로 옮겨졌습니다. ​ ​ 05.아산 '현충사 난중일기'-국보 ​ 난중일기는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이 발발한...

    방송리뷰 K드라마촬영지정보(2025-01-19 15:25:00)

  • 아산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내포 지역의 불교 보물들

    홍성, 아산, 보령 등을 포함하는 내포 지역에서 조선말에 천주교 순교자가 가장 많이 나왔다. 예산의 김대건 신부, 내포의 사도라 불리었던 이존창으로 상징되는...복장 유물, 홍성 용봉사 영산회 괘불탱, 홍성 신경리 마애여래입상, 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국보 제84호. 중앙에...

    銀川의 일상(2025-04-26 20:24:00)

  • 아산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충남 아산] 눈이 많이 내렸던 대윤사

    대윤사라는 절이 있다고 해서 사진에 담으면 이쁠 것 같아 눈길을 뚫고 이동했다. 생각보다 눈이 많이 와서 발이 푹푹 들어가는데, 컨버스같이 얇은 신발을...본전인 대각전에는 후백제나 고려 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석조미륵보살입상이 있다고 하는데 이날은 절 외부만 둘러봐서 직접 보진 못했다. 대윤사 초입...

    Tunghs(2023-12-22 22:33:11)

  • 아산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논산 가볼만한 곳 베스트 10 여행지 추천

    자료로 여겨집니다. 관촉사 📍관촉사: 논산 8경 중에서도 제1경으로 꼽히는 명승지입니다. 이곳에는 독특한 볼거리가 많은데, 그 중 으뜸은 진미륵이라 불리는 석조미륵보살입상입니다. 이 높이 18m의 석불은 온화하고 자비로운 얼굴을 하고 있어 백제의 미소로 표현되곤 합니다. 은진미륵 앞에는 석등과 오층석탑, 석문...

    기록 ing(2024-04-27 09:15:47)

  • 아산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아산시 용두산 대윤사] 대각전에 모셔진 석조미륵보살

    서전이라는 현판이 있는데 서쪽의 전각이라는 의미이면 동쪽에도 전각이 있다는 것인데...없네요 ​ ​ ​ 중앙에 육각창호가 있는 4짝문 입니다. ​ ​ 아산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하나의 화강석으로 조성하였으며 높이 252㎝, 너비 62~75㎝이다. 자연석 받침돌 위에 서 있으며 예전부터 있던 받침돌이라 한다. 보관을포함한...

    고불심의 사찰소개(2022-11-17 12:23:00)

  • 아산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 메타세쿼이아길

    관람 후기를 작성한 뒤 귀가하여 그림봉투 화분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있다. 주변에는 충의사, 덕산온천 외에 보부상유품전시관(예덕상무사), 내포보부상촌, 덕산 메타세쿼이아길, 가야산, 덕숭산, 수덕사, 옥계저수지, 남연군묘 등이 있어 연계하여 관광할 수 있다. ⊙ 스플라스 리솜 - 홈페이지...

    대한민국 관광지(2024-10-31 17:37:03)

  • 아산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대윤사(大潤寺) - 인주면 - 아산시- 충남

    대윤사((大潤寺)는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해암리 304-1에 위치하고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옛날에(고려시대추정) 젊은 부부가 이곳 한절에서...부모의 은혜를 갚고 명복을 빌기 위해 정성껏 깎아 세웠다는 높이 252㎝, 너비 62~75㎝의 석조미륵보살입상(石造彌勒菩薩立像)이 본전인 대각전에 모셔져 있다.

    나는 나다(2024-04-13 03:16:00)

  • 아산 대윤사 석조미륵보살입상 | 안성 국사암 석조여래입상

    神光)보살이라 칭했던 막내 아들을 상징한 것으로 말해지고 있다. (중앙본존) (우협시불) (좌협시불) 국사암의 석조미륵불은 미륵이라기보다 석인상에 걸맞을 정도로 몸의 전체적인 비례에 비해 모자가 거대하고 손 모양도 수인이 아니라 선비들이 합장을 하고 있는 듯한 모습이다. 목도 지나치게 짧으며 얼굴의 윤곽...

    현림의 소리(2018-06-01 07:09:11)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