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고택(穆齋古宅) 지도 이미지

목재고택(穆齋古宅) 44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목재고택(穆齋古宅)
문화유적지정번호
48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소재지지번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 706
지정일자
2010-03-12
소유주체구분
국유
향토문화유적소개
정면 5칸, 측면 6.5칸의 팔작지붕 기와집으로 ㄱ자형의 안채와 ㄴ자형의 사랑채가 어우러져 전체적으로 ㅁ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54-840-5227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안동시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08-12
제공기관코드
5,070,000
제공기관명
경상북도 안동시

주변 관광 펜션

라온풀빌라 B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9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6419.27km

바로가기

더큐브하우스리조트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청산리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6419.27km

바로가기

한국컴퓨터(주)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101, 204동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6419.27km

바로가기

빌라 마르디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상리 600-11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6419.27km

바로가기

(주)한국문학사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5동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6419.27km

바로가기

(주)케이씨티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 102동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6419.27km

바로가기

(주)하이원추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심포리 231-3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6419.27km

바로가기

콩매아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광대리 270-3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6419.27km

바로가기

(주)한네트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6419.27km

바로가기

(주)한상개발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6동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6419.27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4호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1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6419.27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 D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2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6419.27km

바로가기

주변 관광지

다덕약수관광지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다덕로 873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19.66km

바로가기

안동문화관광지

경상북도 안동시 관광단지로 346-30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20.54km

바로가기

선바위관광지

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 영양로 883-16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24.14km

바로가기

예천포리관광지

경상북도 예천군 감천면 복골길 150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31.73km

바로가기

오전약수관광지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문수로 1541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32.1km

바로가기

부석사관광지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298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32.8km

바로가기

하회관광지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전서로 206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36.99km

바로가기

구문소 관광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동태백로11(동점동)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42.22km

바로가기

태백고생대자연사박물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태백로 2249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42.33km

바로가기

백암온천 관광지

경상북도 울진군 온정면 온천로 7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42.54km

바로가기

석탄박물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천제단길 195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42.73km

바로가기

철암탄광역사촌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동태백로 406

'목재고택(穆齋古宅)'에서 44.28km

바로가기

블로그 리뷰

  • 목재고택(穆齋古宅) | 안동 도산면 목재고택

    ♡답사일자 : 25-05-05(월), 흐림 목재고택(穆齋古宅)은 경북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으로 조선 후기의 문신인 목재(穆齋) 이만유(李晩由)의 옛집으로, 그가 영해부사를 역임하였기에 택호를 ‘영감댁(令監宅)’이라 하였다. 이만유의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도여(道汝)이다. 이황의 후손...

    산너머 저쪽(2025-05-14 12:38:00)

  • 목재고택(穆齋古宅) | 四字成語 총정리 ㅁ 164 목인소설~목재내후성

    of lumber 목재의 섬유방향과 0° 또는 90° 이외의 경사각으로 절단한 면. ​ 穆齋古宅 (화목할 목, 집 재, 예 고, 집 택)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에 있는...부사를 역임하였기 때문에 영감댁이라 하기도 한다. [경북 안동]안동 목재고택 펜션 (Andong Mokjae Traditional House) 네이버 블로그 木材工業 (나무 목...

    햇살의 물고기학당(2025-04-26 08:21:00)

  • 목재고택(穆齋古宅) | 선비문화의 정수 안동 땅 떠돌기, 그 17 - 안동에 남아있는 이육사(李陸史)의 흔적을 찾아 떠다니기(1...

    마을의 기원이 된다고 해. ​ 그런데 1970년에 안동댐이 건설되면서 마을의 대부분이 수몰되어 옛날의 정경은 찾아볼 수 없게 되었고, 남아있는 것은 목재고택(穆齋古宅)과 원대구택(遠臺舊宅)을 비롯한 몇 곳 정도야. 아, 이육사 생가와 치암고택은 안동 시내로 옮겨 놓았다고 하네. 지금부터는 위 안내판에 기대어 이곳...

    자유로운 삶을 꿈꾸는 자의 여행스케치(2024-04-15 01:43:00)

  • 목재고택(穆齋古宅) | 창녕 진양 하씨 고택 (2024.09.08.)

    河氏 古宅) 조선시대에 건립된,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에 있는 진양하씨의 고택. 건축 양식 목조 초가(샛집) 건립 시기 1425년(세종 7) 초창, 1761년(영조 37) 중건, 1898년(광무 2) 사랑채 중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주)건축사사무소 아라가야(2024-09-16 00:14:22)

  • 목재고택(穆齋古宅) | 목재고택(穆齋古宅)

    목재 고택 (穆齋 古宅) 목재 고택은 조선 후기의 문신인 목재 이만유의 옛집으로, 그가 영해부사를 역임하였기에 택호를 ‘영감댁’이라 하였다. 이만유의 본관은 진보, 자는 도여(道汝)이다. 이황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이휘명(李彙明)이다. 영남만인소의 소두 이만손의 친족이다. 1858년(철종 9) 전시에서 병과로 급제...

    자즐보(2013-05-03 11:50:58)

  • 목재고택(穆齋古宅) | 키 큰 귀신과 덕수궁 2층루 석어당(昔御堂)에 대한 고찰

    귀매목재와 비슷한 맥락이 되는 것이지요. 그럼 여기 등장하는 '종실'이란 누구일까요? 이 글의 '전쟁'은 임진왜란(1592)입니다. 따라서, 이 저택은 임진왜란후 경운궁으로 쓰이게 되는 곳이며 이 원저택의 주인을 찾으면 됩니다. 누굴까요? ​ 월산대군 ​ 바로, 세조의 큰아들인 의경세자 장(懿敬世子 暲)의 큰아들, 즉...

    까마구둥지(2025-01-16 08:34:00)

  • 목재고택(穆齋古宅) | 시인 이육사의 딸 李沃非 “아버지는 위대한 시인이었으나 우리 집은 몰락해”

    녹으면 어딘가 알알이 익어 가는 청포도가 있을지 모를 일이다. 문득 감정이 벅차 올랐다. 눈 덮인 ‘이육사문학관’을 50m가량 내려와 ‘목재(穆齋) 고택’에서 여사를 만났다. 이 고택은 조선후기 문신(文臣)이자 퇴계(退溪) 후손인 목재 이만유(李晩由·1822~1904) 선생이 살던 집이다. 고택 아래 펼쳐진 겨울 들판을...

    지인지교(2025-02-08 15:49:00)

  • 목재고택(穆齋古宅) | [안동] 목재고택(穆齋古宅)

    안동 목재고택(穆齋古宅) 조선 후기의 문신인 이만유가 살던 집으로 그가 영해부사를 역임하였기 때문에 영감댁이라 하기도 합니다. ​ 이만유의 본관은 진보(眞寶), 자 도여(道汝), 호는 목재(穆齋)입니다. 1858년(철종 9) 전시에서 병과로 급제하여 승정원 승지, 영해부사, 대사간 등을 지냈습니다.

    여행은 행복이다(2016-08-26 16:28:00)

  • 목재고택(穆齋古宅) | 목재고택 / 穆齋古宅

    목재고택 (穆齋古宅) 경상북도 안동시( 安 東 市) 도산면( 陶 山 面) 원천리( 遠 川 里)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인 이만유( 李 晩 由)가 살던 집으로 그가 영해부사를 역임하였기 때문에 택호를 영감댁이라 하기도 한다. 이만유는 이황의 후손으로 본관은 진보( 眞 寶), 자는 도여( 道 汝), 호는 목재( 穆 齋)이다...

    人生은 旅行이다(2020-08-22 19:37:00)

  • 목재고택(穆齋古宅) | 안동 목재고택

    목재고택 (穆齋古宅) 이 고택 (古宅)은 조선후기의 문신(文臣) 인 목재(穆齎) 이만유(李晩由: 1822~1904)가 살던 집이다.

    동방박사의 여행견문록 [Blog since 2010. 평화역사여행가](2018-09-20 06:58: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