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조독존 나한상 지도 이미지

소조독존 나한상 41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소조독존 나한상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적 제61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조각
소재지도로명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1424번길 15-14
소재지지번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 318-5번지
지정일자
2007-06-29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서학사
규모
1구
조성시대
조선시대
이미지정보
https://www.yongin.go.kr/synap/skin/docResrce.html?fn=3d045a8a-c787-419f-93c9-ee48d0b11550.pdf&rs=/webcontent/convert/
향토문화유적소개
본 독존상은 결가부좌한 무릎 위로 양손을 얹은 채 엄지에 장지를 맞댄 중품중생의 수인을 결하고 있으며 법의는 통견이며, 복부 위로 군의의 결대가 드리워졌다. 주칠의 법의는 금박의 의문을 드리웠고 군의는 녹색이며, 간결한 금박문을 드리웠다. 용인관내 유일의 소조불이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31-324-2098
관리기관명
경기도 용인시청
데이터기준일자
2023-11-30
제공기관코드
4,050,000
제공기관명
경기도 용인시

블로그 리뷰

  • 소조독존 나한상 | 충북 | 법주사(法住寺)

    그린 독존 형식의 괘불이다. 전체 길이가 14m 이상으로 국가지정 괘불 중에서 세로가 가장 길다. 이 괘불을 그린 수화승 두훈(枓訓)은 다음 해인 1767년에 같은...영상으로 구현하는 대신 실물은 수장고에 보관> ​ 보물 1360호 보은 법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Treasure No. 1360 Clay Seated Vairocana Buddha Triad...

    문화유산과의 일상.. (文化遺産與日常)(2025-02-02 00:22:00)

  • 소조독존 나한상 | 김천이야기 - 역사/문화재 - 김천 History / 김천 문화재 - 국보, 보물, 천연기념물, 무형문화재, 등록...

    조선 후기의 양식을 따르고 있어 1788년 정자가 중건될 당시의 모습을 잘 유지한 채 보존상태도 양호하여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 의미에서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가치가 있음. * 이익공(二翼工): 새 날개 모양의 익공이 2개 사용된 공포형식 * 포작(包作): 공포(拱包)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부재들을 사용하여...

    경남_김해철물점_정암철물(2024-05-12 14:53:00)

  • 소조독존 나한상 | [경북 영주] 부석사 선묘낭자 사랑이야기를 나누며,

    없이 독존으로 모셔진 불상을 살펴보자. 보통 사찰이 남향으로 자리하는 것이 원칙이지만(우리가 건물을 지어도 남향을 선호하지 않은가) 왜 하필이면 동향으로 자리 잡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왜일까? 당시 지리적 여건에 의하여 공간이 빈약했을까? 그럼 공간을 살펴보자 무량수전의 뒤편은 막혀있고 앞쪽은 좁다...

    여행속으로(2010-06-22 08:01:40)

  • 소조독존 나한상 | 불교중앙박물관_2022 특별전 등운산 고운사(2022.9.3)

    재료는 소조로 추정되나 건칠이라는 사찰의 전언이 남아 있어 향후 조사를 통해 정확한 재료나 상의 제작 기법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등운산 고운사, 전시도록 ​ ​ <사찰령 개정에 따른 고운사 재산대장>에는 높이 3자(약 90cm)로 1482년(성종13)의 제작시기가 남아있는 석가불좌상이 1구 기록되어 있고, 1937년 편찬된...

    겸史겸思(2022-09-13 00:43:00)

  • 소조독존 나한상 | 영주 부석사

    조성한 소조 아미타여래 좌상을 모셨다. 협시보살 없이 독존으로만 동향하도록 모신 점이 매우 특이하다. 불상을 동향으로 배치하고 내부의 열주(列柱)를 통하여 이를 바라보도록 함으로써 일반적 불전에서는 느낄 수 없는 장엄하고 깊이 있는 공간이 만들어졌다. 우리나라 전통건축에서는 매우 드문 해결 방식이며...

    애산자의 블로그.(2012-03-09 12:47:00)

  • 소조독존 나한상 | [사찰] 영주, 태백산 부석사

    없이 독존으로만 동향하도록 모신 점이 특이 한데 교리를 철저히 따른 관념적인 구상이라 하겠다. 소조아미타여래좌상 (국보 제45호) 무량수전 석등 (국보 제17호) 부석사 석등은 無量壽殿 중심 앞 中庭 중앙에 세워져 있다. 따라서 무량수전을 진입하기 위해 安養樓 계단을 오르면 제일 먼저 바라다 보이는 위치에 있다...

    승군(2019-09-13 16:38:00)

  • 소조독존 나한상 | 우리나라 불상은 어떤 재료로 만들어졌을까? 《불상의 개념과 재료》

    목제', '소조(塑造)', '건칠제(乾漆製)', '전제' 등이 있으나 가장 많이 남아 있는 불상은 석불입니다. 아마도 생산적인 조건과 내구성이 강했기 때문입니다. 국내에는 전국적으로 순백 양질의 화강석이 대량으로 분포되어 자연 조건의 혜택을 입어 일찍부터 석조 기술이 발달했습니다. 이로인해 석재를 사용한 불교미술...

    도서출판 대원사(2020-01-28 22:55: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