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사암리 선돌
'이주국 묘 및 신도비'에서 1.8km
향토유적 제22호
바로가기
장경사 산신탱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학일로130번길 11-25
'이주국 묘 및 신도비'에서 2.1km
향토유적 제62호
바로가기
조중회 선생 묘
'이주국 묘 및 신도비'에서 2.4km
향토유적 제7호
바로가기
두창리 선돌
'이주국 묘 및 신도비'에서 4.4km
향토유적 제39호
바로가기
두창리 삼층석탑
'이주국 묘 및 신도비'에서 4.5km
향토유적 제19호
바로가기
운학동 돌방무덤
'이주국 묘 및 신도비'에서 4.9km
향토유적 제43호
바로가기
운학동 돌무지군
'이주국 묘 및 신도비'에서 4.9km
향토유적 제44호
바로가기
운학동 돌무지
'이주국 묘 및 신도비'에서 5.3km
향토유적 제42호
바로가기
가이국이] 스스로를 속이지 않았네 惟心不欺[유심불기] 칠순에 편안히 돌아가시니 七耋考終[칠질고종] 그 누가 이 복록과 같으리오 孰如其祺[숙여기기] 미덥도다...낮은 구릉이 형성된 곳의 남쪽에 위치한다. 현무묘의 바로 우측이 김억추의 생가터였다고 전한다. 신도비는 금강천을 사이에 두고 건너편 교동마을의 입구...
향토학(2025-02-13 23:47:43)
후의 역사 문화를 연구하는 데 체계적인 고고학 자료를 제공한다. 국가문물국 관계자는 앞으로 '고고 중국' 중대 프로젝트 틀에서 무왕둔묘의 고고학 발굴...출토 문물과 유적 보호를 강화하며, 무왕돈묘에 담긴 전국 후기 초나라 의례 제도, 수공업 및 문화 성과를 깊이 있게 해석하여 문화 관광 융합과 농촌 진흥...
AllaboutHistory(2025-02-21 11:00:19)
조선 후기 사림, 특히 서인, 노론으로 이어지는 집권 사림으로부터 정신적 지주로서 추앙된다. 사실 조광조 선생이 대단한 것은 그가 사림의 영수이기 이전에 훈구파, 즉 훈구공신의 후예라는 것이다. 신도비에서 보이듯 그의 선조 조휘는 쌍성총관부의 총관이었고 후에 이성계를 도와 조선을 개국한 개국공신이 조온...
達理선생..(2025-01-14 14:28:34)
위치한 신도비, 은행나무 등을 포함한 서원 전역을 국가지정문화유산(사적)으로 지정하여 보존·관리하고 있다. ※도동서원 → 달성 도동서원(2011.07.28 고시) 수월루(水月樓), 후대에 건립되었다. 환주문(喚主門) '주인을 부르는' 환주문은 경건하고 겸손된 자세로 들어오라고 낮고 좁다. 연꽃봉오리 모양의 문지방석...
황보근영의 문촌수기(2025-04-28 15:20:01)
재사: 묘를 수호하고 제사를 지내기 위해 묘소나 사당 옆에 짓는 집. 어은정 앞 이전중수비(우측) 어은정 (명호서원 현판이 걸려있다) ※ 명호서원 명호서원은...관광) ※ 명호서원 (明湖書院)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었던 조선후기 이원과 이주를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1790년(정조 1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휴휴한인의 일상(2025-05-05 15:29:00)
조선후기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산7-1 이윤덕(1529 ~ 1611)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득부(得夫)이며 상호군(上護軍) 이수훤...계체석 아래 상돌 좌우로 동자석, 8각 망주석, 문인석 등 다수의 옛 석물을 갖추고 있다. 묘표 묘표는 백색화강암제의 비좌와 일석(一石)인 대리석의 비신 및...
현스바비큐아카데미(2025-01-25 03:06:00)
아시아국 최초로 우리나라를 위해 1000여 명이 넘는 군을 파병해 주었고 미국, 영국에 이어 세 번째로 지상군을 파병해 준 나라이다. 1950년 9월 19일에 참전하여 많은 성과를 거두었고, 정전 이후에도 한국의 재건을 위해 많은 지원을 해주었다. 1,200평의 대지 위에 기단 높이 4.5m, 비 높이 17m, 동상 높이 3m의 비를...
바람에 구름 가듯(2024-12-30 10:52:02)
조선 후기 문신으로, 대동법의 시행 등 제도 개혁을 추진하였다. 김육의 묘는 부인 파평윤씨와의 합장묘로 묘역에는 묘표, 상석, 향로석, 혼유석 각 1기, 문인석 및 망주석 각 2기가 있다. 향로석은 6각의 향탁을 형상화하였고 현종 5년(1664)에 세운 신도비의 머리돌에는 두 마리의 이무기가 여의주를 다투고 있는 형상...
晛溪 斗井軒 Sugisa(2024-11-09 15:54:00)
곳으로 이주하면서, 후손들이 이 마을에 대대로 살고 있다. 이 종택은 중앙에 'ㄱ'자로 안채를 배치하고 주변에 큰사랑채와 작은사랑채를 두었으며, 남쪽으로 곳간인 광채를 배치하였다. 북쪽에 신주를 모시는 사당이 있고, 남쪽에 마굿간인 마방채를 두었다. 사람의 생활공간을 중심에 두고 주변에 제례를 준비하거나...
고독한 소피스트(2025-02-22 13:23:00)
조부모의 묘가 있나?라는 생각도 한 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본래 4대가 넘는 조상의 신주는 사당에서 꺼내 묻어야 하지만 나라에 공훈이 있는 사람의 신위는 왕...수 있는 자격을 일컫는 것으로 사당에 계속 두면서 기제사를 지낼 수 있다. 조선후기로 내려오면 문중 차원에서 시호도 받지 못하거나 학자로서도 크게...
소소한 일상과 여행_길아래 그곳(2025-02-20 16:51: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