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수옥정(漱玉停)
'수은종택(睡隱宗宅)'에서 0.1km
32
바로가기
구천강당(龜川講堂)
'수은종택(睡隱宗宅)'에서 0.1km
28
바로가기
성남정(星南亭)
'수은종택(睡隱宗宅)'에서 1km
30
바로가기
허영정(許潁亭)
'수은종택(睡隱宗宅)'에서 2.1km
29
바로가기
허영정 남응원 정려비 및 비각(許潁亭 南應元 旌閭碑 및 碑閣)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중반들길 52-12
'수은종택(睡隱宗宅)'에서 2.1km
125
바로가기
동리재사(東籬齋舍)
'수은종택(睡隱宗宅)'에서 2.6km
100
바로가기
상현정(象賢亭)
'수은종택(睡隱宗宅)'에서 3.4km
113
바로가기
세천정
'수은종택(睡隱宗宅)'에서 4km
19
바로가기
조선 후기의 건축물이다. 정면 4칸, 측면 1.5칸의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로 조선 중기의 문신 이홍조(李弘祚, 1595~1660)를 추모하여 건립하였다. 반 누각식...때 함께 지정되었다. 이홍조는 본관은 한산(漢山)이고, 자는 여확(汝廓), 호는 수은(睡隱)으로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의 외손(外孫)이다. 1636년(인조...
" 화양연화 "(2025-03-14 18:46:00)
한산이씨 수은종택(睡隱宗宅) 안동의 한산이씨는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10세손 수은(睡隱) 이홍조(李弘祖, 1595~1666)가 광해군 때 안동에 정착한 후 후손들이 세거하면서 형성된 가문입니다. 한산이씨는 본관은 같으면서 각기 시조를 달리 하는 두 계열이 있는데 안동에 세거하는 한산이씨는 고려 중엽에 호장을...
여행은 행복이다(2018-01-07 11:14:00)
봅니다.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개설] 수은 종택은 이홍조(李弘祚, 1595~1660)를 입향조로 하는 수은공파(睡隱...종택이다. 이홍조는 본관은 한산(漢山)이고, 자는 여곽(汝廓), 호는 수은(睡隱)이다. 아버지는 찰방을 지낸 해산(海山) 이문영(李文英), 어머니는 풍산류씨...
박태근의 이야기가 있는 여행(2022-04-30 17:00:00)
수은종택(睡隱宗宅) 수은종택은 이홍조(李弘祚, 1595~1660)를 입향조로 하는 수은공파(睡隱公派, 일명 안동소호리파)의 종택이다. 이홍조는 본관은 한산(漢山)이고, 자는 여곽(汝廓), 호는 수은(睡隱)이다. 아버지는 찰방을 지낸 해산(海山) 이문영(李文英), 어머니는 풍산류씨로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의 딸이다...
자즐보(2013-05-14 10:30:22)
조선후기로 내려오면 시호도 받지 못하고 학자로서도 크게 명성을 떨치지 못했지만, 문중 차원에서 자기 조상 가운데 한 분(입향조, 현조 등)을 지역 유림의 추인을 받는 형식으로 불천위로 옹립하기도 하였다. 이는 정통성과 정체성 확립이 절실했기 때문일것이다. 이렇게 옹립된 분을 ‘사불천위’라 한다. ★姓氏 별...
류재균文化하정공파(2018-01-16 12:53:25)
씨 종택은 중요민속문화재 제234호로 조선 후기의 옛집으로 육중한 삼효문이 고풍스런 자태로 버티고 있었다. 지금은 온전한 상상히 넓은 규모의 고가도 개화의 물결로 수난을 겪었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 당시 안채를 제외한 대부분의 건물은 불에 타 후에 다시 지었다. 상량에 숭정(崇禎)은 중국 명나라의 마지막...
오인교의 전라도누정기행(2020-04-21 07:12:00)
종택(睡隱宗宅) : 이 건물은 수은 이홍조 선생의 주손들이 살고 있는 종택이다. 수은 선생이 안동 입향조이기 때문에 한산이씨 안동종택이라고도 한다. 이 종택 사랑 채에 관가당(觀稼堂)이란 당호가 걸려 있는데 이는 수은 선생의 증손자이자 대산 선 생의 아들인 이태화(李泰和) 선생의 호이다. 종택 뒤에는 수은...
잠실 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아파트 / 에덴부동산(2017-11-23 12:12:00)
조선 후기에는 일반화되었다. 불천위 사당은 대부분 정침(正寢: 가옥의 본채)의 동편 뒤쪽에 위치하고 있다. 가례 규정에도 정침의 동쪽에 위치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동쪽은 생명의 근원을 상징하고, 해가 뜨는 방향이니 조상이 가장 먼저 햇볕을 받도록 하려는 뜻에서 잡는 위치라 하겠다. 한 집안에 한 사람 이상의...
정헌(2012-11-15 21:37:56)
에 수은대사(守恩大師)가 중건했다. 현존 건물은 법당과 요사 및 정문 등으로 단조롭다. 법당은 정면 5칸 측면 3칸 총 24평의 팔작지붕이다. 요사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며, 정문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이다. 법당의 존상은 석조관세음보살좌상(石造觀世音菩薩坐像)과 후불탱(後佛幀)과 신중탱(神衆...
문경 향토역사관(2012-07-06 09:12: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