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영주 안양원 독성탱화 및 신중탱화
'영주영훈정'에서 0.3km
문화재자료 제636호
바로가기
영주 제일교회
'영주영훈정'에서 0.3km
국가등록문화재 제720-6호
바로가기
영주향교 대성전
'영주영훈정'에서 0.4km
시도유형문화재 제456호
바로가기
영주 근대역사문화거리
'영주영훈정'에서 0.4km
국가등록문화재 제720호
바로가기
영주 풍국정미소
'영주영훈정'에서 0.4km
국가등록문화재 제720-5호
바로가기
영주 영광이발관
'영주영훈정'에서 0.5km
국가등록문화재 제720-4호
바로가기
구 영주역 7호 관사
'영주영훈정'에서 0.6km
국가등록문화재 제720-2호
바로가기
구 영주역 5호 관사
'영주영훈정'에서 0.6km
국가등록문화재 제720-1호
바로가기
나무를 사용하여 당시의 투박한 목재 손질법이 돋보인다. 이 정자는 조선 후기에 보편화되었던 양반 가문의 정자와는 달리, 지방관이 관청용으로 세웠다는 점이...쓴 중수기를 보면 "영남 산수의 경승이 영주처럼 기이한 곳이 없고, 영주의 누정 가운데서도 그 아름다움이 영훈정을 따를 데가 없다"고 한 것으로 보아...
팬저의 삐딱고라스 정리(2024-06-23 12:28:00)
여행의 숨은 보석, 사신을 맞이한 정자 영훈정 영훈정은 영주의 상징인 철탄산 아래에 자리잡고 있으며, 그 앞에는 영주시의회와 영주초등학교가 위치해 있습니다. 영훈정은 1460년대 후반, 당시 영주 군수였던 정종소가 외교 사신을 마중하고 배웅하기 위해 지은 정자입니다. 보통 조선 후기의 정자들은 각 가문에서...
1982년 원조 영주랜금떡(2024-09-06 11:43:00)
사면 될 거 같아요 굳이 찾아서 멀리 가지 않아도 될 거 같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이만 영주여행코스 아이와 다녀온 후기 여기서 마무리할게요 빠이빠이 영주영훈정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동 영주근대역사문화거리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동 부석사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345 둥이당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로...
예중사의 여행기록 ._.(2023-10-10 12:34:00)
영주시 광복로 65 (영주동) 건립시기 : 조선 세조 14년(1468), 인조 22년(1644) 재건축 문화재지정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답사일자 : 2023년 3월 8일, 맑음 영훈정(迎薰亭)은 조선 세조 14년(1468) 군수 정종소(鄭從韶)가 사신을 마중하고 배웅하기 위해 세운 정자이다. 처음에는 남정자(南亭子)라는 이름이었다. 중간...
노인장대/유영경의 빛그림세상(2023-05-20 05:07:36)
폐지되었다가 1643년(인조 21년) 신숙(申淑)이 다시 세우고 이황이 쓴 ‘영훈정’이라는 편액을 새겨서 걸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후 1910년 현재의 위치인...뿌리 쇠서 형상이 소박하면서도 힘찬 느낌을 주지만 한편으로는 중기 말경과 후기에 이르러 나타나는 초익공(初翼工) 상면의 이익공 위에 운공(雲工)을...
문화재? 문화재!!(2016-06-14 22:00:00)
인해 빈 교실이 점점 늘어나는 게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영주초등학교 교정의 영훈정 영훈정은 조선 세조 14년1468 군수 정종소鄭從韶가 사신을 마중하고 배웅...그 후 일제강점기에 현재 위치로 옮겨 지었다고 한다. 이 정자는 조선 후기에 보편화되었던 양반 가문의 정자와는 달리, 지방관이 관청용으로 세웠다는...
운초일기(耘艸)(2024-04-24 05:35:00)
훈정(迎薰亭)은 영주시청 내에 있으며, 시의회사무실 서쪽의 영주초등학교 담장과 인접한 곳에 있다. 영훈정(迎薰亭)은 1460년경 군수 정종소(鄭從韶)가 사신...迎薰亭) 현판은 퇴계 이황(李滉:1501-1570)선생의 글씨이다. 영훈정(迎薰亭)은 조선 후기 보편화되었던 각 가문의 정자와는 달리 관청용으로 사용하고자...
행복한 사람(2022-05-24 19:37:00)
영훈정은 영주시청 내에 있으며 시의회사무실 서쪽의 영주초등학교 담장과 인접한 곳에 남향하여 있다. 이 건물은 1460년경 군수 정종소가 사신을 마중하고 배웅...꾸몄으며 비교적 건실한 목재를 사용하여 당시의 투박한 치목수법이 돋보인다. 영훈정은 조선 후기 보편화되었던 각 가문의 정자와는 달리 관청용으로...
달(2014-04-02 07:11:00)
실제로 올라가볼 수 있었는데 이렇게 많은 현판이 걸려 있더라고요. 조선 후기의 정자들을 보면 각 유명 가문에서 사용하고자 정자를 세웠었는데 이곳 영훈정은...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 구조로 되어있고요, 겹처마에 팔작지붕입니다. 영훈정은 영주초등학교로 들어갈수도 있지만 바로 옆에 있는 영주시의회 쪽으로도...
영주시 공식 블로그(2021-05-06 15:24:00)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14호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동 광복로 65 (영주1동 19-1) 영훈정(迎薰亭)은 1467년(세조 13)에 군수 정종소(鄭從韶)가 사신을 마중하고 배웅하기 위할 목적으로 고을 남쪽 화천(禾川) 돌다리 북쪽에 세웠다고 한다. 처음에는 남정자(南亭子)라 불리웠다. 그 후 1643년(인조 21) 군수 신숙...
aprilmin님의 블로그(2019-12-05 11:00: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