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장도장 지도 이미지

영풍장도장 43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영풍장도장
문화유적지정번호
시도유형문화재 제15호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공예기술
소재지지번주소
경상북도 영주시 안정면 신전리 4-2
지정일자
1990-08-07
소유주체구분
사유
향토문화유적소개
장도는 대개 옛 상류사회에서 애용해온, 실용을 겸한 장신구의 일종으로 남자는 허리띠에 여자는 옷고름에 차는데, 혹 호신용의 구실도 하여 부녀자의 정절을 지켜주는 몫으로 쓰이기도 했다. 한때 서구바람의 그늘에 치여, 그 맥이 끊길 뻔 했던 장도는 근래 고유문화 존중의 기운을 타고 다시 빛을 받게 되었음은 못내 다행스런 일이다. 사라져가는 전통장도의 맥을 붙들어 온 풍기의 김일갑옹은 매우 희귀한 기능보유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그 정교한 솜씨가 인정되어 1990년 8월 9일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 받았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54-639-6582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영주시청
데이터기준일자
2021-10-28
제공기관코드
5,090,000
제공기관명
경상북도 영주시

블로그 리뷰

  • 영풍장도장 | 영풍장도장 !

    영풍장도장 ! 종 목: 시도무형문화재 15호 명 칭: 영풍장도장 (榮豊粧刀匠) 분 류: 공예기술 지정일: 1989.09.23 소재지: 경북 영주시 풍기읍 동부2리 547 장도...양반가문의 부녀자들이 순결을 지키기 위해 필수적으로 휴대했다. 조선 후기 이후부터는 손칼로서의 실질적인 기능보다 상징성과 장식성이 강조되어 여인들...

    폴라리스법(2009-12-12 12:56:00)

  • 영풍장도장 | 영주시(한민족대백과사전)-관광, 역사, 인물, 민속, 자연환경, 교통, 산업 등

    고려 후기에 안향(安珦)·안축(安軸)·정운경(鄭云敬)·정도전(鄭道傳) 등과 같은 사대부들이 배출되었다. 〔조 선〕 1413년(태종 13) 군현 등급의 조정에 따라 영주와 기주는 영천군·기천현이 되었고 순흥부는 도호부로 되었으며, 기천현은 1450년(세종 32) 은풍현으로 합해 풍기군(豊基郡)으로 승격되었다. ≪경상도...

    david1592님의 블로그(2008-05-02 09:51: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