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욱 선생묘 지도 이미지

조욱 선생묘 67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조욱 선생묘
문화유적지정번호
양평군 향토유적 제26호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향토문화유적종류
옛무덤
소재지도로명주소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벌터골길 34-7
소재지지번주소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덕촌리 산7
지정일자
1986-05-30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평양조씨종중
규모
9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묘는 새로이 단장되어 장대석의 호석이 돌려져 있고, 묘 앞에는 상석과 이수와 대좌를 갖춘 비 그리고 문인석, 망주석 등이 배치되어 있다. 趙昱(1498~1557)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 본관은 平壤, 자는 景陽, 호는 龍門, 보眞齋이다. 판관 守 의 아들이다. 중종 11년(1516)에 생원 진사 양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조광조, 김식을 사사하면서 학문연마에 힘썼다. 시문과 서화에 능하였으며 서경덕, 이황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우하였다. 이조참의에 추증되었고 운계서원에 배향되었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31-770-3310
관리기관명
평양조씨종중
데이터기준일자
2023-05-24
제공기관코드
4,170,000
제공기관명
경기도 양평군

주변 관광 펜션

주변 관광지 숙소

데이지호텔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삼성리 246-1

'조욱 선생묘'에서 4.25km

바로가기

소노휴 양평

경기도 양평군 개군면 공세리 389-7

'조욱 선생묘'에서 7.89km

바로가기

쉐르빌온천관광호텔

경기도 양평군 개군면 공세리 389-2번지

'조욱 선생묘'에서 8.08km

바로가기

휴 빌리지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고송리 1793

'조욱 선생묘'에서 10.24km

바로가기

아난티펜트하우스, 서울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방일리 94-1

'조욱 선생묘'에서 15.15km

바로가기

블룸비스타호텔앤컨퍼런스주식회사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전수리 570-3

'조욱 선생묘'에서 15.64km

바로가기

소노벨 타워 A 비발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팔봉리 1290-15

'조욱 선생묘'에서 15.77km

바로가기

소노벨 타워 B 비발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팔봉리 1290-14

'조욱 선생묘'에서 15.96km

바로가기

소노펠리체 빌리지 A~D 비발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팔봉리 산 279

'조욱 선생묘'에서 16.09km

바로가기

소노벨 타워 C 비발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팔봉리 1290-2

'조욱 선생묘'에서 16.09km

바로가기

소노캄 타워D 비발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팔봉리 1290-17

'조욱 선생묘'에서 16.23km

바로가기

소노문 비발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서면 팔봉리 1290-28

'조욱 선생묘'에서 16.32km

바로가기

블로그 리뷰

  • 조욱 선생묘 | 2024 10월 양평 물소리길 마지막 코스 (6코스, 용문산관광단지)

    대대로 묘를 쓰는 곳을 말하며, 세장동구란 이러한 땅으로 들어가는 마을 입구를 말합니다. 조욱선생은 세상으로부터 나를 감췄다 또는 묻었다 라는 은유적 표현으로 바위에 이렇게 새기게 되었다고 합니다. 조욱(1498∼1557)의 호는 용문과 보진재입니다. 19세에 과거에 급제하여 참봉을 지냈으나,벼슬을 버리고 용문산...

    어쩌다 이웃(2024-10-18 21:15:00)

  • 조욱 선생묘 | 윤민헌 선생의 묘를 보면서 인조반정에 대하여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언적, 조욱, 기대승 등 113명에 이르는데, 이들은 소학, 근사록에서 나아가 심경을 연구하는 단계까지 이어졌습니다. 이황 선생은 사제 관계로 학문을 전승하기보다는 독학으로 대성한 학자십니다. 만물 생성의 원리인 이와 변화 원인인 기가 호발한다는 이기 호발설을 주장하며 이와 기를 병존하는 존재로 파악하였고...

    노란우산(2021-02-13 23:57:00)

  • 조욱 선생묘 | (양평)북병사·청백리 이제신(李濟臣) 묘·신도비-전의이씨-

    ②후기(厚基), 배위-감역 김익휘(金益輝) 女 광산김씨 ■(19세-①)이중기(李重基) : 신계현령, 아들-①행건(行健) ②행원(行遠), 배위-임색(任穡)女 풍천임씨 □(20세-①)이행건(李行健) : 동지중추부사, 아들-①만웅(萬雄) ②만종(萬鍾), 배위-심대후(沈大厚) 女 청송심씨 (21세-①)이만웅(李萬雄) : 황해도관찰사...

    개미실사랑방(2023-07-25 00:10:00)

  • 조욱 선생묘 | 양평 물소리길 5코스(용문사가는길)-용문역,생활체육공원,용문산관광지

    트레킹 후기 양평 물소리길 4코스를 오전 중에 간단히 끝내고, 용문역 안으로 들어가 잠시 쉬었다가 다시 3번 출입구(하수종합처리장, 양묘사업소, 꼬부랑길 방향)로 나온다. 코스명이 용문사 가는 길인 것처럼 대부분 산객이나 여행객들은 1번 출입구로 나와 군내버스를 이용한다. 용문산, 중원산 등반을 위해 산우들과...

    프란치스코의 세상 이야기(2017-03-27 11:43:06)

  • 조욱 선생묘 | 양평 물소리길 6코스 은행나무길(용문사-용문역)

    고려 후기 양식으로 조각이 정교하고 화려하다. 1907년 일본군이 불을 질러 절이 전소되자 강원도 횡성에 있는 봉복사에서 이 불상을 모셔왔다고 한다. 용문사 금동 관음보살 좌상 용문산 기슭에 자리 잡은 용문사는 은행나무가 메인이지만 신라시대에 지은 천년 고찰이다. 전란의 상처를 고스란히 앉고 중창과 재건을...

    좋은풍경(2021-05-27 11:14:00)

  • 조욱 선생묘 | (경기 양평)천년 은행나무가 살아있는 용문사

    짓거나 묘를 쓰면 큰 인물을 예견할 수 있게 된다. 용문산 일대는 옛부터 윤승길, 조욱 등 사대부가들의 묘자리가 많기로 유명하다. 그만큼 좋은 기운이 있다는 뜻인데 근자에는 용문산국민관광단지로 개발되고 관광단지 안에는 여러 조각품, 옛 선사들의 시문, 농업박물관, 용문산지구전적비, 독립운동발상지비석 등이...

    야초의 역사문화유적 답사(2021-02-15 14:00:18)

  • 조욱 선생묘 | 양평 용문 세라믹 사이딩 35평 전원주택 시공

    이준경선생 묘(李浚慶先生 墓, 경기도 기념물 제96호)와 정창손 묘역 석물(경기도 문화재자료 제85호), 개군면 공세리에 이순몽장군 묘(李順蒙將軍 墓, 경기도 기념물 제92호), 옥천면에 양평 신복리 강맹경 묘역(姜孟卿 墓域, 경기도 기념물 제154호), 양서면 목왕리에 익원공 김사형 묘역(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07...

    좋은집을 짓는 좋은건축(2019-01-29 18:24:00)

  • 조욱 선생묘 | 양평의 歷史와 文化 총론

    4) 조욱 (1498~1557 호 용문, 조광조 문인, 詩文, 書畵에 능함. (5) 남언경(1528~1598)지평현감, 양명학자, 양근에 낙향하여 의병활동 (6) 이식(1584 ~ 1647, 호 택당(澤堂), 교육자, 4대문장가, 홍길동 (7) 권철신(1736-1801, 정조, 정약전, 정약용, 이존창, 유항검 스승, 양명학 (8) 유득공(1749~? 양근군수, 북학파...

    맥결의 이상향(utopia)(2022-10-03 11:17:00)

  • 조욱 선생묘 |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에서 만나요. 양평고을.

    있다. 조욱은 19세 때 생진 양과에 급제하여 순릉, 영릉 등의 참봉을 지냈고 후반에는 벼슬을 버리고 용문산에 은거하면서 경지를 가르쳐 많은 학자가 모여 들어 용문선생이라 칭하였다 한다. 재실과 묘우뿐이며 없어져버린 담장은 최근에 복원하였습니다. 유물로는 재실에 ‘雲溪書院院重建事實記’라는 현판이 보관...

    산벗 박우근(2020-02-16 20:19:00)

  • 조욱 선생묘 | 경기 #양평군 기행

    제자인 조욱이 제자를 가르치던 곳에 제자들이 세움. * 용문사 가는 길목에서 조금 들어가면 있음. * 작은 정자로 근래에 다시 세운 것이나, 정자 앞에 작은 못이 있고, 고목이 함께 어우러져 정자의 멋이 있음. * 양평군 용문면 덕촌리 산 137. ​ ○ #영호정(暎湖亭) * 본래 조선시대에 관에서 세워 풍류를 즐기던 영호...

    흐르는 강물처럼, 떠가는 구름처럼(2021-10-09 22:18: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