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건정 지도 이미지

낙건정 102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낙건정
문화유적지정번호
청주시 향토유형 제78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소재지지번주소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연제리 540-21
지정일자
2015-04-17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낙건정난국회
규모
1동
향토문화유적소개
조선후기 송시열 등이 세운 약정의 터에 박준학 등 난국계에서 1926년 중수한 정자임
관리기관전화번호
043-201-2437
관리기관명
충청북도 청주시
데이터기준일자
2023-11-28
제공기관코드
5,710,000
제공기관명
충청북도 청주시

블로그 리뷰

  • 낙건정 | 청주시 3월 매화 봄꽃구경 가볼만한곳 오송호수공원 낙건정 산책하기, 사계해담, 카페540 모임

    #청주산책 ​ ​ 오송호수공원 주변에는 낙건정이 있습니다. ​ 봄소식을 전해는 매화꽃 필무렵에 가볼만한곳 낙건정입니다. ​ 청주시 #오송가볼만한곳 : #낙건정 ​ 조선후기에 송시열, 송준길, 박연해, 박정룡 등이 시를 짓고 즐기기 위하여 모인 모임인 시사로 조직하였던 백련사의 상부상조와 예속상교 (서로 사귈 때에는...

    뭐라도 하자(2024-03-18 18:25:00)

  • 낙건정 | <謙齋 정선> 호암미술관: Part 2. 서울을 그리다: 한양과 근교 <경교명승첩> *한양 근교의 풍경*

    18세기. 아모레퍼시픽미술관 ​ 용정의 지는 해를 바라보며 그린 그림이다. 용정은 현재의 고양시 덕양구 행주 산성 남쪽에 해당한다. 이곳은 조선 후기 문신 김동필의 별장 낙건정이 있었던 곳이다. 화면 우측의 바위산에는 지는 해를 보며 담소를 나누는 두 사람이 앉아 있다. 복사꽃이 만발한 어느 봄날, 용정의 바위산...

    PASSEGGIATA(2025-04-07 01:33:00)

  • 낙건정 | 육백 년의 향기로 살아난 연제리 모과나무 3부

    공원이라 불리는 연제저수지(돌다리방죽)가 한눈에 조망되는 곳에 정면 2칸 측면 2칸 겹처마 팔작지붕의 구조로 세운 목조기와의 전통식 누정이다. 낙건정은 조선 후기에 세워진 약정(約亭)을 계승한 것이다. 기묘사화로 15년의 귀양살이에서 풀려나 연제리에 낙향한 강수 박훈 선생은 정암 조광조 선생과 함께 도학...

    교차로 엔진(2025-02-26 09:00:00)

  • 낙건정 |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1759)전- 호암미술관

    귀래정, 낙건정, 개화사 ​ 『장동팔경첩』 정선이 평생 살았던 장동 일대—지금의 서울 종로구 청운동‧효자동‧옥인동 등 서촌 지역—의 아름다운 풍경 8곳을 선별하여 화첩으로 남긴 작품이다. 그런데 이곳은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순절했던 선원 김상용이 살던 곳으로 그는 세도가이자 정선의 후원자였던 장동 김씨...

    홍채영의 Story(2025-07-10 17:32:00)

  • 낙건정 | 고양관광정보센터 DMZ평화의길고양프로그램

    버드나무,돌벵곶 기암절벽,우거진 늙은 소나무 등 행주 마을이 보입니다 한옥 기와집,초가 등이 그려져 있는데 기록에 의하면 이 일대는 조선후기 판서 김동필이 지은 낙건정(정자) 등 16개의 정자가 있었다고 합니다 면 관 군이 힘을 합쳐 지켜낸 행주산성 우리가 잘 아는 권율장군 이야기죠 시민의 품으로 오기까지...

    눈 부시게 푸른날은 hi talk(2024-10-18 22:56:00)

  • 낙건정 | 겸재 정선

    조선후기의 역대급 화가이다 ​ ​ ​ 압구정(鴨鷗亭), 세조 때 공신 한명회의 별장으로 현재 강남구 압구정동, 종이에 담채, 간송미술관, 위키백과 ​ ​ ​ ​ 김홍도의 풍속화와 더불어 ​ ​ ​ ​ 인곡정사(仁谷精舍), 인왕산 아래 있던 겸재의 집을 그림. 종이에 담채, 간송미술관, 위키백과 ​ ​ ​ ​ 진경산수화로 이름을 떨쳣다 ​ ​ ​ ​ 청풍계...

    하여 이야기(2025-04-26 00:29:00)

  • 낙건정 | [공지] 126(걸으며 생각하며)선유도에서 선유봉의 흔적을 찾다

    소악루, 낙건정, 귀래정, 개화사 등이다. 그런데 <선유봉> 이외에도 양화진을 그린 <양화환도>와 소악루를 그린 <소악후월> 등에도 선유봉이 있으니 이들 셋을 서로 참조해 가며 감상하면 근경으로서의 선유봉과 원경으로서의 선유봉, 옆에서 볼 때와 앞에서 볼 때 서로 다른 선유봉의 여러 모습을 입체적으로 완상할 수...

    tsyang55님의 블로그(2025-07-17 15:41:00)

  • 낙건정 | 謙齋 鄭敾의 陽川八景帖

    조선 후기의 화가 로 관념적인 남종화(南宗畵)에서 벗어나 조선의 실제 풍 경을 담은 진경산수화를 확립시켰다. 정선의 진경산수화는 65세 무렵 원숙한 경지에 올랐는데, 이때가 바로 정선이 양천현의 현령으로 근무하였던 때이다. 양천현은 오늘날의 강서구 일대를 관할하던 지역으로, 겸재정선기념관이 위치한 궁산...

    시정(詩庭)(2025-03-24 03:10:15)

  • 낙건정 | 수집가傳 - 겸재 정선 그림

    그린 산수화이다. 용정은 현재 고양시 덕양구 행주외동 일대를 부르는 옛 이름으로, 행주산성이 있는 덕양산(德陽山) 남쪽에 해당되는 지역이다. 또한, 조선 후기 문신이었던 김동필(金東弼, 1678–1737)의 별장이었던 낙건정(樂健亭)이 있었던 곳이기도 하다. 화면 좌측 상단 멀리 넘어가는 해를 뒤로한 채 산이 펼쳐져...

    문화유산과의 일상.. (文化遺産與日常)(2025-04-20 09:47:00)

  • 낙건정 | 양천 궁산 소악루(25.3.27)

    조선후기 성리학자 한원진(韓元震)과 인간과 사물의 심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또한 회헌(悔軒) 조관빈(趙觀彬:1691~1757), 포암(圃巖) 윤봉조(尹鳳朝:1680~1761), 사천(槎川) 이병연(李秉淵:(:1671~1751) 등과도 소악루에서 자주 어울렸다. 그들이 소악루를 방문하고 남긴 시문이 다수 전해지고 있다. 이들 외에도 정조...

    숲길(2025-03-28 14:30: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