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현도 오숙동 묘소
'문효영당'에서 2.3km
청주시 향토유형 제154호
바로가기
안동권씨 열녀각
'문효영당'에서 2.6km
청주시 향토유형 제61호
바로가기
오경례 효자각
'문효영당'에서 2.6km
청주시 향토유형 제62호
바로가기
오대남 충신각
'문효영당'에서 2.7km
청주시 향토유형 제64호
바로가기
보성오씨 삼기문중재실
'문효영당'에서 3km
청주시 향토유형 제60호
바로가기
열녀 진주정씨 정려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노호등곡로 30-13
'문효영당'에서 3km
세종시 향토문화유산 제63호
바로가기
보성오문 삼효각
'문효영당'에서 3.1km
청주시 향토유형 제73호
바로가기
오상진 효자각
'문효영당'에서 3.2km
청주시 향토유형 제65호
바로가기
있는 문효 영당은 1708년(숙종 34)에 문효공 영의정 경재 하연과 정교 부인 성산 이씨 부부 영정을 봉안한 진주 하씨 집안의 사당으로 일명 타진당이라 한다. 하연은 조선 전기의 학자로 정몽주의 가르침을 받았다. 21세에 과거에 급제하였으며 여러 벼슬을 거쳐 영의정까지 올랐다. 이곳에 봉안된 영정은 1467년(세종...
대한민국 관광지(2024-08-02 09:20:53)
사진후기로 대신한다. ☞ '시흥 늠내길 제3코스 옛길'을 역방향으로 다녀오다 - 2부를 시작하며... ▼ 소암천교에서... ▼ 아래를 내려다보니 저 약수터가...진주(晉州) 호 : 경재(敬齋) ·신희옹(新稀翁) 별칭 : 자 연량(淵亮), 시호 문효(文孝) 활동분야 : 정치 주요저서 : 《경상도지리지》 《진양연고(晉陽聯藁...
꿈★은 이루어진다.(2010-01-28 09:24:04)
목은 영당에는 이색의 영정이 봉안 되어있다. ●소 재 지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영모리 ●문화재지정 : 충청남도문화재자료 제125호(1984.05.17지정) ◇목은이색영정-보물 제1215호(1995.03.10지정) ◇가정. 목은선생문집판-충청남도유형문화재 제77호(1978.03.31지정) ◇목은선생신도비-충청남도문화재자료 제127호...
야촌 이재훈(2011-01-16 03:08:00)
선생영당, 장판각, 전사청, 강당, 영뫠, 교육관, 목은선생 신도비, 이종덕 효행비, 이종학선생 신도비, 이종선선생 신도비가 있다. 문헌서원은 이곡,이색선생의 사상과 철학을 연구하고 선양하는 일을 해야 할 것이다. 이곡선생의 차마설을 소개하시면서 내가 쓰는 것은 모두 내 것이 아니라 쓰고서 돌려줘야 하는 것...
오늘도 읽걷쓰(2013-03-09 22:11:00)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한산 이씨 시조인 윤경(允卿)의 6대손이며, 찬성사 자성(自成)의 아들이고, 색(穡)의 아버지이다. 1317년(충숙왕 4) 거자과(擧子科)에 합격한 뒤 예문관 검열이 되었다. 원나라에 들어가 1332년(충숙왕 복위 1) 정동성향시에 수석으로 선발되었으며, 다시 전시에 차석...
강토의 사진(문화재) 이야기, 가끔은 낚시도(2019-11-04 20:10:00)
조선후기 성격 초상화 소장처 전라남도 무주군 무풍면 북리길 40, 백산서원 제작시기·일시 19세기 수량 2폭 재질 비단 바탕에 채색 크기(높이, 길이, 두께...문신으로 본관은 진주이며, 자는 연량(淵亮), 호는 경재(敬齋),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부인 성주이씨(1390~1465)는 개성부윤 이존성(李存成)의 딸이다. 고려...
Mashup_치유바람숲(2017-06-05 00:40:00)
이색 선생의 충절에 절로 옷깃을 여미게 된다. 이색 선생의 묘소를 오며 가며 바라보는 영당의 배롱나무는 언제보아도 인상적이다. 한국 문화사, 국문학사의 귀중한 자료 가정목은선생문집판 고려 후기의 대학자인 가정 이곡(李穀,1298∼1351)과 그의 아들 목은 이색(李穡,1328∼1396)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만든 것...
춘장대해수욕장 둥지민박(2015-06-01 23:03:00)
꽃이 영당의 지붕위로 부채살처럼 펼쳐져 자연과 아름답게 어우러진 우리 전통건축의 자연미를 감상할 수 있다. 사철 언제든 들려보기에 좋은 곳이니 전통 역사와 함께 선인들의 숭고한 얼까지 간접 체험해보는 것도 좋다. 이용안내 연중무휴로 개방, 입장료 무료. 중앙광장 주변에 주차장, 화장실 등 관광객 편의시설이...
행복! 추억이 머물다간 자리~ 서도하이빌펜션(2013-06-19 18:06: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