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윤길 묘 지도 이미지

황윤길 묘 80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황윤길 묘
문화유적지정번호
55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묘 금석문
소재지지번주소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지축동 산 72-15
지정일자
2009-08-31
소유주체구분
사유
향토문화유적소개
조선조 중기의 인물인 황윤길의 묘소
비석과 문인석 등이 배치
임진왜란을 예고한 충신의 묘소
관리기관전화번호
031-8075-3396
관리기관명
경기도 고양시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05-28
제공기관코드
3,940,000
제공기관명
경기도 고양시

블로그 리뷰

  • 황윤길 묘 | 조선통신사와 양산 양산시립박물관 한일수교 60주년 기념 특별전 1

    정사(황윤길)와 부사(김성일) 간 정치적 대립도 심각. 1596년(선조 29) : 임진왜란 중 일본과의 강화 협상 수호 명목으로 파견. ​ ​ 조선통신사의 시작 조선통신사는 조선 국왕이 일본 막부에 파견한 공식 외교사절로, '통신通信'은 '신의를 나눈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는 단순한 외교사절이 아니라 조선과 일본 간의...

    바람꽃과 솔나리(2025-07-22 18:06:00)

  • 황윤길 묘 | 장수 황씨, 신라에서 1천년 뿌리의 가문, 조선의 정승 명문 가문의 그 훌륭한 인물들의 발자취를...

    문화재 등록 고택 보존 상태 양호하며, 후손 종중이 관리 산청 사월리 장수황씨 묘역 경상남도 산청군 사월리 소재 황수신 등 열성공파 조상 묘역 분포 황윤길 묘 및 신도비 임진왜란 당시 일본통신사로 조선의 전쟁 준비에 기여 묘역은 경북 영천에 있음 황정욱 묘 및 신도비 조선 후기 문신, 학자 효자 황춘억 정려...

    뿌리 3030T(2025-08-03 15:35:17)

  • 황윤길 묘 | 과거 제도 유래와 폐지 요약

    다름. 황윤길은 일본이 전쟁을 일으킬 기미 보임 김성일은 그렇지 않다. 병자호란 이후 - 대동법, 상평통보 화폐 신분제 변화. 몰락 양반은 농사 지음. 실학자 북학 운동. 고유의 역법(달력 만드는 계산법) - 중국 아라비아 조선 세 나라만 가능. 1687년 영국 뉴턴은 만유인력의 법칙 정리 '자연 철학의 수학적 원리...

    역사 속 인물 이야기(2025-07-18 17:28:02)

  • 황윤길 묘 | 창릉천 라이딩 - 흥국사와 황윤길 묘

    조선후기인 고종 5년 1867년에 승려 뇌읭이 약사전을 다시 세우고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여러차례 수리를 거듭해왔단다. 약사전 옆에 있는 나한전 내부의 모습을 찍어보았다. 약사전 뒤쪽의 공성각.... 약사전 뒤쪽으로븐 북한산 전망대로 올라가는 계단이 있다. 불교신자가 아니라면 흥국사에 오는 목적은 다들 이...

    매일매일 행복하게(2022-03-05 19:20:00)

  • 황윤길 묘 | 북한산둘레길 내시묘역길, 마실길, 영산군이전묘역, 숙용심씨묘표 봄나들이 <경천군 송금비, 여기소터...

    중~후기 무덤들이 물결을 이루고 있었다. 여기서 가장 오래된 묘는 자헌대 부(資憲大夫)로 승전관(承傳官)을 지낸 김충영(金忠英)의 무덤이다. 여기까지만 보면 대단한 곳이 있구나 싶겠지만 안타깝게도 그 묘역은 2012년 4월 귀신같이 사라지고 말았다. 상황이 이렇게 된 것은 후손들이 묘역을 정리해 조경개발업자에게...

    도봉산고양이의 여행이야기(2024-09-07 01:00:11)

  • 황윤길 묘 | 일본 대마도 국분사

    못하였는데, 황윤길이 장황하게 아뢰어 민심을 동요시킨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에 조정에서는 김성일의 의견을 선택하고 침략에 대한 대비를 하지 않지만...막부의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다시 쓰시마번을 통해 재개되었다. 조선 후기 통신사는 1607년 국교 회복을 시작으로 1811년까지 12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내 그리운 나라 (낭만방랑자)♬~(2012-02-28 10:27:47)

  • 황윤길 묘 | 아산의 명소 현충사에서 불멸의 장군 이순신을 만나고 왔어요

    전기부터 후기까지 사용하던 화기랍니다 총통의 종류는 지자총통,승자총통,현자총통이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조총 맞습니다 1589년(선조22년)황윤길 등이 일본에 사신으로 갔다가 오는길에 쓰시마 도주로부터 몇자루를 선물 받아 가지고 왔답니다 조선 정부는 당신 조총에 대해 관심이 없다가 임진왜란 때...

    하늘바라기(2022-06-07 16:36:00)

  • 황윤길 묘 | 조선 학자 김성일(金誠一)

    정사 황윤길의 말이 너무 지나쳐 왜적이 이르기도 전에 백성이 먼저 무너져 버릴 것을 우려하였다. 유성룡의 <징비록>에도, 이항복의 <당후일기>에도 그렇게 기술되어 있다. 아무튼 그의 이 같은 우려는 왜적의 침략과 더불어 현실로 나타났다. 더욱 중요한 것은 왜적의 침략에 대한 대비가 없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재봉틀의 국어방(2007-11-13 10:21:00)

  • 황윤길 묘 | 안동의 문화재를 고요히... 여유로이...찾아 볼 수 있길 바라며.

    다녀와서 황윤길은 일본이 침략할 것이라고 주장한 반면 김성일은 그렇지 않을 것이라 보고했다. 선조 25년(1592)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왕은 처벌할 것을 명했으나 서애 유성룡의 변호로 풀려나 각지에서 의병을 일으켜 많은 전공을 세웠다. 학문적으로는 퇴계 이황의 학문을 계승하여 퇴계학파의 일가를 이루었으며...

    LEMONA(2010-07-05 17:38:00)

  • 황윤길 묘 | 선비의 고장 안동여행

    찍은 며느리 봉화금씨 묘 과연 배산임수의 명당이다. ​ 3. 김방경장군 묘 고려후기 안동출신의 무신으로서 삼별초토벌을 진두지휘했다고하며 경순왕의 후손이라고...합의하여 서애선생을 왼쪽에 모셨다고 함. 우리에게는 임진왜란 전 황윤길선생과 일본에다녀와서 일본이 쳐들어올 것 같지 않다고 반대 주장을 한 것으로...

    패시브프러너(2020-11-17 17:46: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