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강서당 지도 이미지

부강서당 81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부강서당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형문화유산 제8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소재지지번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상평리 213-1
지정일자
2009-09-01
소유주체구분
사유
향토문화유적소개
대산 이상정, 천사 김종덕, 정재 류치명을 향사하기 위해 1837년 건립 후 2005년 현 위치에 중창함.
관리기관전화번호
054-870-6245
관리기관명
서 점
데이터기준일자
2023-11-15
제공기관코드
5,160,000
제공기관명
경상북도 청송군

블로그 리뷰

  • 부강서당 | [걸어서 인물속으로] 16. 반계 유형원 - 부안 우반동에 오다

    저절로 부강하게 된다.’는 유형원의 실사구시實事求是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기존 유학자들 사이에 논쟁이 많았던 이理와 기氣, 도道와 덕德, 체體와 용用에 대응하여 큰 반향을 불러왔다. 균전론均田論과 경자유전耕者有田은 토지개혁의 핵심이었다. ​ 아쉽게도 유형원은 생전에 반계수록을 출판하지...

    뱅기노자(2025-10-14 18:33:00)

  • 부강서당 | 개화파와 수구파의 대립

    조선후기, #개화파, #수구파, #김옥균, #박영효, #위정척사파, #임오군란, #대원군, #고종, #민씨정권, #근대화, #일본, #청나라, #조선역사, #시니어콘텐츠...나라의 운명을 두고 벌어진 치열한 이념 대립! 새로운 문물을 받아들여 부강한 나라를 만들자는 개화파와 조상의 전통을 지켜야 한다는 수구파. 이들의 갈등은...

    빛나는 인생(2025-09-16 20:38:23)

  • 부강서당 | "책으로 세상과 싸운 실학자, 성호 이익 – 안산 성호박물관에서 보낸 시간"(+이익선생묘 방문후기)

    선생 서당 바깥 부근, 삼문 여기서 '삼문(三門)'은 명칭에서 유추해 볼 수 있듯, '세 개의 문이 있는 출입구'라는 뜻을 갖고 있다. ​ 사실상 성호이익 선생의 유적지(묘소)는 유교적 전통을 바탕으로 지어졌기에, '문' 하나에도 담겨진 의미가 있다. ​ '유교적인 입장'으로 봤을 때 삼문은 '안쪽'과 '바깥쪽'으로 분류가...

    꿈꾸는 작가의 일기(2025-04-30 17:24:00)

  • 부강서당 | 국어/영어교육과 지망생 필독! 학생부를 뒤집을 '한국사' 연계 탐구 주제 15가지

    시대 서당은 지금의 초등학교와 같았어. 훈장님은 한 교실에서 7살짜리부터 15살짜리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아이들을 동시에 가르쳤지. 이게 어떻게 가능했을까? 비밀은 '개별 맞춤형 교육'에 있었어. 훈장님은 아이 한 명 한 명의 수준에 맞춰 진도를 다르게 나갔고, 일대일로 질문하고 답하는 문답법을 주로 사용했어...

    이치쌤의 대입 전략 아카이브(2025-09-02 03:06:22)

  • 부강서당 | 한국 근대 교육사: 혁신적 변화

    서원, 서당 등으로 교육 기관이 나뉘었죠. 교육 내용은 사서삼경 중심, 암기 위주 방식이었답니다. 양반 계층에만 교육 기회가 집중되어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한계가 있었어요. 평민들은 교육을 받을 기회가 제한적이었고, 암기 위주의 교육은 창의적인 사고를 저해했죠. 갑신정변과 갑오경장을 통해 근대 교육...

    Wizard's house(2025-08-01 14:31:13)

  • 부강서당 | 도산 안창호기념관과 백범 김구의 경교장, 대한민국 독립운동의 숨결을 따라 걷다 – 서울에서 만나는...

    관람후기 포스팅 입... m.blog.naver.com ​ https://m.blog.naver.com/iksuk/223031440081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독립 그날이 오면' 전시회 (1919년을 가슴에 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떠나갔나 히노마루 어깨띠 걸고 황토언덕 넘어, 이른 아침 베잠방이 바람으로 태극기... m.blog.naver.com...

    긍정 아이콘! 열정 부자! 月人(2025-04-25 07:24:00)

  • 부강서당 | 퍼온글, 황현필의 진보를 위한 역사 후기

    백산서당, 2004.)은 이 책의 이러한 주장과 거리가 한참 멉니다. 이 책에 수록된 글들은 '식민지근대화론'을 허황된 괴설로 치부하는 것이 아니라 식민지근대화론이 제기될 수 있었던 1960년대 이후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연구사적 맥락을 설명하는데 집중합니다. 또한 식민지근대화론을 단순한 식민지미화론으로 치부...

    신극원 블로그(2025-08-11 07:37:00)

  • 부강서당 | 대구 강문화관 디아크와 강정보 (2024.09.29)

    선비들은 부강정과 영벽정, 세심정, 하목정 등 강변에 누각과 정자를 지어 글을 쓰고 학문에 관한 토론을 벌였다 때때로 강을 유람하며 경관에 심취해 시를 남기기도 했다 당시 선비들이 뱃놀이를 하던 모습은 '금호선사선유도'에 고스란히 남겨져 있다 17세기 초 낙동강과 금호강은 지역 유림들이 모여 뱃놀이를 하면서...

    (주)건축사사무소 아라가야(2024-10-02 00:19:47)

  • 부강서당 | 교사추천도서 한국사추천 조선, 무엇이든 법대로

    나라를 부강하게 하라 농부에게 해산물을 바치라니요 누가 엽전을 훔쳐 갔을까 최고 권력을 견제하라 살려면 줄을 잘서야 한다​​ ​ 억울한 사람이 없게 하라 군량미...사회적 요구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도 미리 귀띔해 줍니다 ​​ ​ 아, 옛날 서당에서는 반장을 접장이라고 불렀대요 같은 나이인데도 양반 사성이와 천민 명이...

    멜리데(2024-08-28 13:15:00)

  • 부강서당 | [1014]한국통사_1864년부터 1911년까지 쇠약해지는 구한말 아픈 역사

    조선후기에 우리의 현실을 그렇지 못했다는 점이다. 흥선대원군이 내치는 열심히 했지만, 외국에 대해 문을 걸어 잠그고 폐쇄정책으로 일관했다. 그 결과로 일본이 메이지유신으로 앞서나갔지만 우리는 도리어 퇴보하는 원인이 되었다. 나라를 이끌어가는 리더들이 당파싸움으로 서로의 이권을 챙기기에 급급했고, 국력...

    ValueCreation(2025-02-28 22:30:2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