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충화 오덕사 어필각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오덕로86번길 105
'충화 선조대왕 태실비'에서 0.8km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9호
바로가기
충화 현미리 고인돌
'충화 선조대왕 태실비'에서 2.9km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41호
바로가기
서천 봉선리 유적
'충화 선조대왕 태실비'에서 3.9km
사적 제473호
바로가기
양화 우종손묘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 양화북로72번길 125
'충화 선조대왕 태실비'에서 3.9km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155호
바로가기
충화 팔충사
'충화 선조대왕 태실비'에서 4.1km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25호
바로가기
충화 지석리 고인돌
'충화 선조대왕 태실비'에서 4.1km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26호
바로가기
충화 손덕조 정려
'충화 선조대왕 태실비'에서 4.2km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118호
바로가기
임천 이이명 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옥곡로20번길 34
'충화 선조대왕 태실비'에서 4.2km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127호
바로가기
한복 후기 전주 한옥마을에서는 한복 안 입은 사람이 더 독특해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전주 한옥마을에서 한복... blog.naver.com 경기전 예종대왕태실과 비 예종태왕의 태를 묻은 곳으로 태실비와 함께 있다. 비는 거북이모양의 받침돌 위에 비신을 세우고 용무늬 머릿돌을 얹은 모양이다. 이미 일제시대에 훼손...
태양의 대지, 숲속의 용(2025-04-22 06:05:00)
세종대왕이 상왕인 태종을 모시기 위해 지었고 1482년 성종이 대비전의 세 명의 대비 세조비 정희왕후 예종비 안순왕후 덕종비 소혜왕후 성종이 세 명의 대비를 위해 지은 효성 지극한 궁궐 왕실 가족이 머물렀던 생활공간 창경궁은 아픈 역사를 간직한 궁궐 1909년 일제가 조선 왕실을 비하하기 위해서 궁궐 안의 전각...
사진으로 보는 민재의 성장일기(2025-03-27 10:24:00)
건립이 결정됐다. 조경묘 정묘는 조선 후기 사묘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원기둥에 이익공의 공포, 높은 기단과 월대, 지붕의 양성 바름(용마루...대표로 4명이 나와서 4배를 올렸고, 필자도 함께 했다.(사진 下) 예종대왕 태실과 비 왕가에서는 아이가 태어나면 그 태(태반과 탯줄)를 태항아리에 담아서...
그랜트, 그 길 위에서 바람결의 내음을 맡는다(2025-04-21 19:47:00)
지나 후기에 진경산수로 꽃피게 된다. 또한 인물화, 새나 집승을 그린 영모화, 풀과 벌레를 그린 초충화 부문에서도 큰 발전을 이루었다. 인물화는 성종 때의 화원이었던 최경이, 영모화는 이암이 잘 그렸다. 초충화는 신사임당의 그림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안견 안견은 도화서 소속의 화원으로 조선 초기 최고의...
visionmusic3173님의 블로그(2025-03-24 16:47:00)
창덕궁, 후원은 자연을 그대로 살려 지어 그 가치가 더 크다고 알고 있는데요 선조들의 지혜까지도 엿볼 수 있습니다. 병자호란을 겪은 인조가 항복의식을 치른...들린다는 전설이 있다고 하죠 얘들아~ 들리니? 😁 ✅ 풍기대, 성종대왕태실비 : 풍향 관측을 위해 설치된 관측시설과 성종대왕의 태가 모셔진 태실비 계단...
로다의 친절한 지구여행가이드(2024-11-17 11:34:00)
예종대왕태실 및 비는 조선 8대 임금인 예종의 태(胎)를 봉안한 태실과 태실비이다. 왕이나 왕실의 자손이 태어났을 때 탯줄을 모셔두는 곳을 태실이라 하며, 완주군 구이면 원덕리 태실 마을 뒷산에 있던 것을 오늘날의 위치로 옮겼다. 조선시대 왕실의 태실과 태실비의 대표적인 사례로, 조선왕실의 제왕문화와 태실...
대한민국 쇼핑 정보(2024-11-27 09:31:56)
전하태실비’를 개각하여 세운 것으로, 등이 4엽화문으로 장식된 귀부대좌 위에 용과 구름무늬로 새긴 이수를 가졌다. 비신 전면에는 ‘주상전하태실(主上殿下...있었으므로, 명종 태실도 대체로 양호하게 관리되었다. 그러나, 선조조에는 한때 지역 품관(品官)의 투장(偸葬) 사건과 태실난간 훼손 사건이 발생한 적...
강토의 사진(문화재) 이야기, 가끔은 낚시도(2024-09-22 22:00:00)
등의 태실비입니다. 그러나 1977년 12월, 이곳을 보수, 정비하면서 금성대군, 화의군, 단종 등의 태실로 추정되는 자리에서 토기, 태호, 분청인화문 대접, 분청상감 연화문 뚜껑 1식과, 명기가 있는 지석2점 등이 출토되어 현재 국립대구박물관, 경주박물관, 경북대학교 박물관 등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한편 가까이엔...
데이터 고래의 여행(2024-08-12 22:22:33)
선조대왕 태실비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17호이다. 본래 선조 대왕 3년에 건립한 태실비는 태봉마을에 방치되어 있고, 영조 때 새로 만든 두 번째 태실비가...지식백과] ■충화면(忠化面)은 충청남도 부여군 중남부에 있는 면이다. 충화는 계백, 성충, 흥수, 혜오화상, 억례복류, 곡나진수, 복신, 도침 등 팔충신이...
배 창랑과 그 일행 =山君들(2024-01-26 12:58:28)
태실 소 재 지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44 경기전 시 대 조선시대 중기 / 1578년(선조 11년) 전북특별자치도 민속문화유산 제 26호 예종대왕 태실비 소 재 지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44 경기전 시 대 조선시대 중기 / 1578년(선조 11년) 전주 조경묘 정묘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문화유산 사진첩 《STORY:GE》(2024-11-07 20:23: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