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굴암사마애여래좌상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굴암길 46
'부조묘'에서 2.2km
안성시 향토유적 제11호
바로가기
굴암사마애선각좌불상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굴암길 46
'부조묘'에서 2.2km
안성시 향토유적 제12호
바로가기
유양식선생묘
'부조묘'에서 2.4km
안성시 향토유적 제35호
바로가기
윤삼산 신도비
'부조묘'에서 3.4km
안성시 향토유적 제37호
바로가기
삼죽 기솔리 국사암 석조여래입상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텃골길 80-100
'부조묘'에서 6.2km
안성시 향토유적 제42호
바로가기
목신리 보살상
'부조묘'에서 6.4km
향토유적 제55호
바로가기
양성 석조여래입상
'부조묘'에서 6.6km
안성시 향토유적 제35호
바로가기
유언호선생 묘 및 신도비
'부조묘'에서 6.7km
안성시 향토유적 제21호
바로가기
수 있는 자격을 일컫는 것으로 사당에 계속 두면서 기제사를 지낼 수 있다. 조선후기로 내려오면 문중 차원에서 시호도 받지 못하거나 학자로서도 크게 명성을...이러한 불천위 제사의 대상이 되는 신주를 모셔 둔 사당을 부조묘(不祧廟)라 한다. 2023년 도로변에 세워진 모재 김안국의 부조묘를 알리는 입석과 신도비...
소소한 일상과 여행_길아래 그곳(2025-02-20 16:51:00)
선생부조묘, 세계거석테마파크와 화순 운주사는 여러해 전 조선일보에서 화순과 관련, 신비롭고 새로운 시각의 기사가 게재되어 있어 올려본다. [아래 글은 여러해 전 조선일보에서 "신비의 땅 화순"이란 제목 박종인 기자님이 작성하신 기사임을 밝혀 둡니다 ] # 미스터리 1. 운주사 천불천탑을 하룻밤 만에 쌓은...
지리산동남쪽(2025-01-15 21:50:33)
유림들의 노력으로 현재의 위치에 옮겨 세워 제사를 지내게 하였고, 현재에도 2월 8일이 되면 후손들이 모여 제사를 지낸다. 이곳에는 문익점 부조묘와 관련된 조선 후기(18세기 말∼19세기 말)의 각종 증명서 15점이 보존되어 있는데, 모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유물전시관 부조묘에 보존된 여러 문서들...
중형서실(中馨書室)(2024-05-02 20:18:00)
김수온 부조묘를 관람하고 나서 향한 곳은 선곡리였다. 선곡리는 신선 선 자에 계곡 곡 자를 써서 신선이 모여 살았다는 뜻의 이름을 가진 농촌 마을이며 지역 주민들이 지칭하던 이름 중에 서느실(선우실)도 있다. 이 곳은 조선 중기의 학자 최흥림이 을사사화 이후 보은으로 낙향하여 그 이후 일가를 이루고 살았던...
다락방일기(2025-03-31 17:53:15)
조선 후기의 화가 국오(菊塢) 정홍래(鄭弘來, 1720 ~ 미상)의 작품입니다. 영정각에 새로 그린 영정이 있는데, 남농화화백 아산 조방원 화백과 무궁화화백으로 유명한 후손 조동희 화백이 정홍래 영정 작품을 보고 그린 것이다. 조선시대 개혁정치의 상징인 조광조(趙光祖,1482~1520)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晛溪 斗井軒 Sugisa(2024-10-28 11:11:30)
서재, 내삼문, 영당 등 부속 건물과 1985년 건립된 유허비가 함께 있어 조선 후기 사우 건축의 역사를 보여줍니다. 지산재는 최치원과 경주 최씨 문중의 역사를...문의처: 062-607-2332 지산재 더보기 광주 남구 '필문 이선제부조묘' • 주소(위치): 광주광역시 남구 구만산길 34 (원산동) • 이용시간: 상시 • 휴무일...
참도움(2025-02-02 23:10:38)
조선 후기 고종 때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 조치로 영천(永川 )지역의 모든 서원들도 헐렸다. 일부는 서당으로 명맥을 유지해 오다가 대부분 후대에 복원됐다. ▲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55호로 지정된 용계서원(龍溪書院) 영천시 자양면 용산리에 위치해 있으며 조선 초기 문신인 경은 이맹전(耕隱 李孟專)의 학덕과...
송풍수월 (松風水月)(2025-03-27 21:32:00)
삼고 있으며, 백창직의 12세손이 정신재공 백장(靜愼齋 白莊, 1342~1418), 18세손이 정해군 백수장(貞海君 白壽長, 1469~1543)이다. 정해군 백수장의 별묘[부조묘]가 전라남도 민속문화유산이다. 조선후기 장흥 남면(현 용산면) 상금 주변도(「장흥부지도」, 1872년, 규장각) 열호재 터자리는 1704년(숙종 30 갑신)에...
향토학(2025-02-09 15:38:51)
이복생(李福生)과 부인 원주김씨 양위, 석보군의 장남 양위의 위패를 모신 부조묘로 전주이씨 석보군파에서 소유관리하고 있다. 1905년 창건 당시에는 초가집...후손들이 세운 비이다. 묘각앞에 위치한다. 공적비(功績碑) '후기현종제위께서는 유아시조석보군사우를 중수함에있어 기공이지대함으로 후손에게 숭조...
현스바비큐아카데미(2025-01-04 06:06:00)
영천으로 내려가는 김에 – 매년 춘분 지난 후 일요일에는 경북 영천에서 열리는, 참가대상이 18,000명 정도 되는 규모의 종친회(벽진이씨 생육신 이맹전의 부조묘(不祧廟) 제향 및 판서공파 총회) 모임에 16개 지파 중의 하나의 대표자로 참석하러 내려가는 김에 22일(토) 저녁 대구에서 열리는 초등학교 대구 동기회...
슬기로운 백수생활 시즌2(2025-03-24 17:27: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