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조묘 지도 이미지

부조묘 68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부조묘
문화유적지정번호
안성시 향토유적 제5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사당
소재지지번주소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대농리 산24
지정일자
1986-05-22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밀양박씨잠공파종중
규모
1채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부조묘
관리기관전화번호
031-678-2502
관리기관명
경기도 안성시
데이터기준일자
2023-06-26
제공기관코드
4,080,000
제공기관명
경기도 안성시

블로그 리뷰

  • 부조묘 | 문익점 선생의 부조묘

    유림들의 노력으로 현재의 위치에 옮겨 세워 제사를 지내게 하였고, 현재에도 2월 8일이 되면 후손들이 모여 제사를 지낸다. 이곳에는 문익점 부조묘와 관련된 조선 후기(18세기 말∼19세기 말)의 각종 증명서 15점이 보존되어 있는데, 모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유물전시관 ​ 부조묘에 보존된 여러 문서들...

    중형서실(中馨書室)(2024-05-02 20:18:00)

  • 부조묘 | 전남 보성. 충선공 문익점 부조묘. 전남 유형문화재 제165호.

    신주를 사당에 영구히 제사 지내게 하는 특전이다. 조선시대에는 이와 같이 그 후손에 대해 여러 가지 특전과 혜택이 주어졌다. 여기 문익점 부조묘와 관련된 문서들은 조선 후기(18세기 말∼19세기 말)에 한정된 각종 증명서들이다. 현존하는 문서는 다음과 같다. ①견관도제문(1787년) ②수교(1811년)-8면 ③절목1...

    백산철학관(2025-05-28 05:00:00)

  • 부조묘 | 모재 김안국 불천위 사당, 문경공 모재 김안국 부조묘

    수 있는 자격을 일컫는 것으로 사당에 계속 두면서 기제사를 지낼 수 있다. 조선후기로 내려오면 문중 차원에서 시호도 받지 못하거나 학자로서도 크게 명성을...이러한 불천위 제사의 대상이 되는 신주를 모셔 둔 사당을 부조묘(不祧廟)라 한다. 2023년 도로변에 세워진 모재 김안국의 부조묘를 알리는 입석과 신도비...

    소소한 일상과 여행_길아래 그곳(2025-02-20 16:51:00)

  • 부조묘 | 화순 운주사, 조광조 유배지, 양참사댁과 학재고택.학포선생 부조묘,

    선생부조묘, 세계거석테마파크와 화순 운주사는 여러해 전 조선일보에서 화순과 관련, 신비롭고 새로운 시각의 기사가 게재되어 있어 올려본다. [아래 글은 여러해 전 조선일보에서 "신비의 땅 화순"이란 제목 박종인 기자님이 작성하신 기사임을 밝혀 둡니다 ] # 미스터리 1. 운주사 천불천탑을 하룻밤 만에 쌓은...

    지리산동남쪽(2025-01-15 21:50:33)

  • 부조묘 | [아이와 함께 가볼만한 곳] 파주 황희선생유적지 [방촌기념관, 반구정, 앙지대, 도라산전망대를 바라볼...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에 걸쳐 여러 관직을 두루 거치면서 문물과 제도의 정비에 노력했으며, 세종(재위 1418∼1450) 대에는 20여 년 동안 국정을 총리하는 의정부(議政府)의 최고 관직인 영의정부사로서 외교와 문물제도의 정비, 4군 6진의개척, 집현전을 중심으로 한 문물의 진흥 등을 지휘하여 세종 성세를...

    궈니파니님의 블로그(2025-08-31 21:35:00)

  • 부조묘 | 조선시대 연못과 주재성의 향기. 함안군 "주씨고가와 무기연당"

    주씨고가 & 무기연당 경남 함안군 칠원읍에 있는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는 조선 후기 연못을 찾아간다. 바로, 주씨고가 와 무기연당(국담)을 찾아간다. 이곳은...감은재(3칸)와 산림채인 안채(5칸)와 손님이 머물렀던 영빈사 사당인 부조묘가 있고, 휴식공간으로는 동쪽에 무기연당이 있다. ​ 무기연당은 국가민속문화재...

    여행 과 트레킹 그리고 맛집(2025-08-09 08:58:00)

  • 부조묘 | 무기리 주씨고가 - 함안이 품고 있는 자랑스런 국가민속문화유산 국담 주재성 고택^^

    함안군 무기1길 33 (칠원읍) ​ ​ ​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에 있는 조선 후기 국담 주재성 관련 주택이다. 이 건물은 조선 영조 때 국담(菊潭)주재성(周宰成)이...중문, 사랑채로서의 감은재(感恩齋), 살림채로서의 안채 그리고 사당으로서의 부조묘(不祧廟)를 갖춘 종가로서의 면모를 두루 갖추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여행하며 역사도 만나고 맛집도 찾는...(2025-08-24 00:00:00)

  • 부조묘 | 고창 안동김씨와 도암서원의 위상

    고려 후기,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평보(平甫), 호는 낙포(洛圃)이다. 고조부는 김방경(金方慶)이고, 할아버지는 김영후(金永煦)이며, 아버지는 부지밀직사사 김천(金천)이다.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해 대간을 지내고 개성윤(開城尹)이 되어 보리공신(輔理功臣)의 호를 받았다. 이성계(李成桂)가 위화도 회군을...

    상락대(2025-09-30 10:30:00)

  • 부조묘 | 도암서원(道巖書院)(20250810)

    조선 후기 김질(金質)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 도암서원는 안동김씨의 서원으로 1613년(광해군 5)에 김질(金質)의 효성과 학문을 기리어 그가 살던 집터에 창건하였다. 이후 1835년(헌종 1)에는 정유재란과 이괄의 난 때에 의병을 일으킨 증손 김경철(金景哲)을 배향하였으며, 1857년에는 김경철의 아우로 임진왜란 때...

    고창이그린열매마농원 이용찬(2025-08-25 05:29:20)

  • 부조묘 | 보은 :: 삼승면 선곡리 충청북도 민속문화유산, 서느실 마을 최혁재 고가와 최동근 고가

    김수온 부조묘를 관람하고 나서 향한 곳은 선곡리였다. 선곡리는 신선 선 자에 계곡 곡 자를 써서 신선이 모여 살았다는 뜻의 이름을 가진 농촌 마을이며 지역 주민들이 지칭하던 이름 중에 서느실(선우실)도 있다. 이 곳은 조선 중기의 학자 최흥림이 을사사화 이후 보은으로 낙향하여 그 이후 일가를 이루고 살았던...

    다락방일기(2025-03-31 17:53:15)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