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주소 충북 진천군 문백면 사양리 58 - 대표전화 043-539-3624 (문화관광팀) - 모바일 전화 0435393624 - 충북나드리 주소 : 바로가기 - 소개 사양영당(思陽影堂)은 고려 후기 명종 때의 문신인 이공승(李公升)의 영정을 모신 곳으로, 이공승은 청주 출생으로 첫째가 나랏일이고, 둘째가 개인의 일이라는 신념으로 공과...
충청북도 관광명소정보(2023-05-11 03:40:34)
일자 : 2004.9.25) ※ 추가 지정되었던 회화류(14점) 중 윤증 초상(3점)과 영당기적(1점)은 보물(윤증 초상 일괄, 2006.12.29.지정)로 지정됨. 국가민속...재 지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종학길 10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시 대 조선시대 후기 / 1744년(영조 20년) 해제일 2006.11.13 보물 제 1495호 윤증 초상...
문화유산 사진첩 《STORY:GE》(2025-01-18 22:11:00)
고려 후기 문신이자 조선 초 성리학자입니다. 고려가 이성계에 망하자 관직에서 물러나 고향 구미 선산에 내려와 학문을 닦고 제자들을 길러내며 살다 가신 분...있답니다. 생가 터를 시작으로 지주중류비, 채미정, 길재선생 묘소, 야은영당, 금오서원, 그리고 금산에 있는 청풍서원까지 소개하려고 합니다. 예전에도 한...
한빛과 함께 여행 가자!(2024-08-12 10:00:51)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사양리에 있는 이공승의 영정을 모신 영당. 사양영당(思陽影堂)은 고려 후기 명종 때의 문신인 이공승(李公升)의 영정을 모신 곳으로, 이공승은 청주 출생으로 첫째가 나랏일이고, 둘째가 개인의 일이라는 신념으로 공과 사를 분명히 가린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고려 의종 때에 금나라에 사신...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2013-10-05 13:31:49)
중기후기에, 여러 가지 공물(貢物)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납세 제도. 방납(防納)의 폐해를 시정하기 위하여 일찍이 조광조, 이이, 유성룡 등이 제기하였으나 광해군 즉위년(1608)에 이르러서야 이원익 등의 주장에 따라 경기 지역부터 처음 실시하였다. 지역에 따라 쌀 대신에 베를 거두기도 하였는데, 고종 31년...
실크스크린인쇄 우주산업(2025-03-13 08:09:00)
조선 후기 대표적인 산림이자 소론의 영수로 추앙받던 명재 윤증(1629~1714)은 당대의 거목 우암 송시열의 제자였다. 하지만 둘은 서로 정적이 되었다. 두 사람 간의 회니시비(懷尼是非)의 진상과 서인이 노론, 소론으로 갈라진 배경은 이랬다. 충북 영동군의 월류봉(月留峯). 우암 송시열은 달도 머물다 간다는 월류봉...
고산자(GO山者)(2024-12-18 21:18:00)
사양영당(思陽影堂) 사양영당( 思 陽 影 堂)은 고려 후기 명종 때의 문신인 이공승( 李 公 升)의 영정을 모신 곳으로, 이공승은 청주 출생으로 첫째가 나랏일...청렴결백함을 기리기 위해 1726년(영조 2)에 건립되었습니다. 사양영당( 思 陽 影 堂)은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인 이익공( 二 翼 工) 겹처마 맞배지붕의...
여행은 행복이다(2020-04-12 21:18:00)
에 영당으로 건립하였다. 1871년(고종 8)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17년에 다시 중건하였다. 경내에는 사당·내삼문·외삼문·적취당·고사·경각·전사청이 있다. 사당은 정면 3칸의 맞배지붕집으로 담이 둘러져 있어 내삼문을 통하여 출입하게 되어 있다. 강당인 적취당은 정면 5칸의 팔작지붕...
대한민국 숙박 정보(2024-08-09 08:32:57)
조선 후기 위정척사 운동을 전개한 대표적 인물인 포천 출신 최익현의 시문집이다. 1909년과 1931년 두 차례 활자로 간행되었으며, 모두 48권 24책이다. 저자의 위정척사 사상과 활동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최익현(崔益鉉)[1833~1906]의 본관은 경주이고, 경기도 포천현 내북면 가채리에서 출생하였다. 가세가 기울자...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2024-09-08 16:36:00)
조선후기 족보의 간행과 이에 따른 조상숭배 대상의 확대가 됨에 따라 각 문중에서 선조의 행적 재평가(追崇․旌閭․伸寃․追贈), 유적(遺蹟)의 현창(유허비와 신도비 건립, 누정․재실․정사․영당의 건립), 서원(書院) 및 사우(祠宇) 건립, 문중권위의 홍보(선조의 문집간행) 등 앞 다투어 행하였기 때문이다. 원성...
산은 스스로 푸르고 물은 절로 차가우네(2023-08-04 19:59:58)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