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봉수향낭 지도 이미지

운봉수향낭 57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운봉수향낭
문화유적지정번호
중요민속문화재 제41호
향토문화유적구분
민속자료
향토문화유적종류
장신구
소재지지번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89-4
지정일자
1979-01-23
소유주체구분
사유
향토문화유적소개
중요민속자료 제41호. 1979년 1월 23일 1점이 지정되었다. 크기 14.5×21cm, 박쥐 매듭 11.5×6.8cm, 위끈 길이 23.5cm, 아래 내려뜨린 줄 길이 49cm로서 15줄씩이다. 현존하는 향낭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며 궁중 왕실용으로 침상의 벽면에 장식한 것이라 한다. 향낭의 상단부는 큰 나비가 날개를 펼치고 중심의 운봉(雲鳳)을 감싸고 있다. 하단부에는 오복(五福)을 상징하는 5마리의 박쥐와 불로초가 연꽃잎 모양으로 중심부를 떠받치고 있다. 흰색 공단수지(貢緞繡地)에 평수 ·자련수 ·매듭수 등의 기법을 구사하였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2-515-5118
관리기관명
한국자수박물관
데이터기준일자
2021-08-27
제공기관코드
3,220,000
제공기관명
서울특별시 강남구

블로그 리뷰

  • 운봉수향낭 | 국가민속문화유산 제 41호 운봉수 향낭

    박물관 신사 분관 향, 푸른 연기靑煙 피어오르니 - 2층 제 3전시실 - 2024년 8월 27일(화) ~ 2024년 12월 21일(토) ​ 국가민속문화유산 제 41호 운봉수 향낭 조선시대 후기 / 19세기 ​ ​ ​ 국가민속문화유산 제 41호 운봉수 향낭 (雲鳳繡 香囊)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복식공예 수량/면적 1점 지정(등록)일 1979.01.26 소...

    문화유산 사진첩 《STORY:GE》(2024-09-08 11:29:00)

  • 운봉수향낭 | [취미]서울공예박물관 <향기로 만드는 공예>후기(조향공간 움틈/UMTM)

    조향사 후기 ​ 저 때는 아쿠아 마린(수련)향에 반했었는데, 취향(趣向)이 바뀌듯 취향(趣香)도 바뀌나보다. ​ 그다음으로는 모스(이끼)향이 좋았는데, 누가 청심환 향이라 하셔서 ㅋㅋㅋㅋ 나도 덩달아 내가 인센스랑 절향을 넘어서 약재향을 좋아하는구나 싶어졌다. ​ 또한 '진저(생강)'라는 이름에 긴장하고 향을...

    늙은 후회와 젊은 도전(2025-05-01 11:39:00)

  • 운봉수향낭 | 강남전시회 호림아트센터 고미술전시회 [향, 푸른 연기 피어오르니]

    전시의 마지막 즈음에 있는 선향을 위한 향꽂이 모양이 재미있었다. ​ 조선 후기에 사용된 '선향'은 향가루를 막대기 모양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현재이 우리에게...정도가 집안의 부를 말해주는 것 같다. ​ 국가민속문화유산 자수 운봉수 향낭 조선 19세기 ​ 전체적으로는 거북이 모양이고 봉황, 나비, 박쥐를 수놓은...

    바다별의 알아가는 ART(2024-09-26 16:06:00)

  • 운봉수향낭 | 자수,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되거든요. <운봉수 향낭> Ⓒ서울공예박물관 ​ ​ 향낭의 가장 위쪽에는 큰 나비를, 그 아래 원 안에는 봉황과 구름을 수놓았어요. 아랫부분에는 복을 상징하는 박쥐 5마리와 장수를 상징하는 불로초를 새겼습니다. <일월수 다라니주머니> Ⓒ서울공예박물관 ​ ​ 일월수 다라니주머니는 연화화생(蓮花化生)을 수놓은 두 개의...

    국가유산청 공식 블로그(2024-08-06 18:00:00)

  • 운봉수향낭 | 국가민속문화재, 운봉수 향낭(雲鳳繡 香囊)

    국가 민속문화재, 운봉수 향낭(雲鳳繡 香囊) 견(絹)에 자수(刺繡), 매듭, 높이 88cm, 폭 16cm, 조선 후기 봉황, 나비, 박쥐를 수놓고 매듭을 달아 만든 향주머니(香囊, 향낭)이다. 침실에 바람을 막는 용도로 커튼처럼 두루는 침장에 달아 장식하였다. 하얀색 직물로 주머니를 만들고 나비, 봉황, 박쥐, 불로초, 구름...

    즐거움을 찾아서~~(2022-02-12 20:12:56)

  • 운봉수향낭 | (서울공예박물관) 가을비 우산 속, 감고당 길을 걷다

    화조도의 한 종류로 노후의 평안을 기원한다. 53마리의 기러기가 압권이다. ​ ​ <자수 사계분경도>는 4폭 병풍으로 보물 제 653호로 고려후기 작품이다. ​ 활옷. 운봉수 향낭(조선 후기) 안경집 하이라이트 골무들의 합창. 여러가지 모양의 실패 보자기 형태도 다양하다. ​ ​ 위 주머니는 밥 주발을 넣어두었던 용도라는데...

    길따라 바람따라(2021-11-10 17:07:00)

  • 운봉수향낭 | 서울공예박물관 개관 전 사전관람

    자수를 전시하는 상설전시실 자수 화조도 10폭 병풍, 견에 자수, 19~20세기 자수 연화당초문 현우경 표지, 서울시유형문화제 제 443호, 견에 자수, 조선후기 운봉수 향낭, 국가민속자료 제 41호, 견에 자수, 매듭, 조선후기 3층은 보자기를 전시하는 상설전시실과 보자기 할아버지 허동화님의 기증품을 볼 수 있는...

    Highway to Hell(2021-07-18 19:13:00)

  • 운봉수향낭 | 공예박물관 1부, 자수 꽃이 피다

    직접 바탕 천에 그릴 수도 있으나, 만들어져 있는 도안을 목판으로 만들어 찍거나 천 위에 종이 수본을 올려 놓고 올겨 그리기도 한다. ​ ​ 운봉수 향낭 / 견에 자수, 매듭, 조선후기, 국가민속자료 제41호. 봉황, 나비, 박쥐를 수놓고 매듭을 달아 만든 향주머니(향낭)이다. 침실에 바람을 막는 용도로 커튼처럼 두루는...

    해찬솔의 여정(2023-02-06 16:04:00)

  • 운봉수향낭 | 공예박물관 1부, 자수 꽃이 피다.

    분량인데 중간 네 폭 정도 분량이 누락 되었다. 매우 고은 바탕 직물을 사용한 것에 비해 두꺼운 자수실을 사용하여 입체감을 살렸다. 운봉수 향낭 / 견에 자수, 매듭, 조선후기, 국가민속자료 제41호. 봉황, 나비, 박쥐를 수놓고 매듭을 달아 만든 향주머니(향낭)이다. 침실에 바람을 막는 용도로 커튼처럼 두루는 침장...

    바위솔의 쉼터(2021-11-13 10:29:00)

  • 운봉수향낭 | 운봉수향낭

    운봉수향낭 雲鳳繡香囊 ▒ 지정번호 : 중요민속자료 제41호 ▒ 지정연월일 : 1979년 1월 23일 ▒ 시대 : 조선시대 후기(19세기) ▒ 규모·양식 : 1점, 자수 ▒ 소 유 자 : 허동화 ▒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3가 296 운봉수향낭은 구름 위를 나르는 봉황을 수놓은 향주머니이다. 수향낭에는 매미ㆍ박쥐ㆍ나비...

    마레(2004-12-20 14:45: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