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공유창묘역 지도 이미지

문희공유창묘역 166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문희공유창묘역
문화유적지정번호
서울시유형문화재 제96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묘역
소재지도로명주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암로79가길 49
소재지지번주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190
지정일자
1995-01-25
소유주체구분
사유
규모
510.6㎡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유창 선생과 그 후손들의 묘로 수량은 분묘2基, 면적은 석물6基이며 토지 510.6㎡(보호구역 18,790.6㎡)임. 신도비란 왕이나 2품 이상의 공신들의 평생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무덤 가까이에 세워두는 것으로, 이 비는 고려말·조선초의 유명한 문신인 유창 선생의 업적을 기리고 있으며, 비가 서 있는 이 일대에는 유창의 묘와 그 자손들의 묘가 함께 자리하고 있는데 우람하게 버티고 서 있는 이 비 외에도 여러 석조물들이 남아있어 당시의 석조미술과 묘제연구에 중요자료가 되고 있음.
관리기관전화번호
02-427-4027
관리기관명
강릉유씨대종회
데이터기준일자
2022-07-21
제공기관코드
3,240,000
제공기관명
서울특별시 강동구

블로그 리뷰

  • 문희공유창묘역 | (한남검단)금암분맥 : 금암산.고덕산 - 서울과 경기도의 경계를 넘나들며 암사동 한강속으로..

    전기·후기에 걸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묘표, 장명등, 석상 등이 두루 갖추어져 있으며, 1863년(철종 14년) 예조판서 신석우(申錫愚)가 찬하고, 오위도총부...백과] 김정경신도비 [金定卿神道碑]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 ​ 묘역은 닫혀 있어 일자산 등산로 입구에서 좌측으로 무조건 치고 오르면.. ​ 여기 묘역...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2024-06-02 16:13:00)

  • 문희공유창묘역 | [서울 단독다가구상가 매매/투자] 강동구 상일동 임장후기 1. - (지역사진 및 설명)

    모두 아실텐데, 1980년대 강동구가 계획도시로 만들어 졌다고 어제 급번개에 오신 분이 말씀해 주셨는데, 아마도 이같은 이유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 ​ 문희공 유창 묘역에 앞에 있는 신축빌라들의 모습입니다. ​ 이 지역은 다세대빌라는 간간히 눈에 띄는 정도인데, 지도에서 보시는 것처럼 문희공 유창 묘역 앞에 집중...

    단독다가구 이야기(2020-12-22 06:10:00)

  • 문희공유창묘역 | //////서울특별시 지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지정명칭 변경 고시 (펌)//////

    따라 ‘문희공 유창 묘역’으로 변경한다. 유형문화재 제104호 강사상신도비 (姜士尙神道碑) 정정공 강사상 묘역 (貞靖公 姜士尙 墓域) 조선 선조 때 우의정을 지낸 정정공 강사상 부부 묘역과 신도비 포함한 석물들을 문화재 지정대상으로 하므로 지정명칭 변경기준에 따라 ‘정정공 강사상 묘역’으로 변경한다. 유형...

    SAWAJIRIZZANG  ♡♡♡(2008-12-03 01:23:00)

  • 문희공유창묘역 | 금오산 전설 삼의인(三宜人)

    조선 후기의 야담집 『조선기문(朝鮮記文)』에서도 주원장 이아기가 나온다. "주원장은 경상도 웅천의 주씨 노부부의 아들로 5살이 되던 해, 고승을 따라 절에 들어갔다가 15세에 하산했으며 총명하고 민첩했다.“라고 적혀있다. 또 『조선민간전설집(朝鮮民間傳說集)』에서도 “주원장이 중국으로 건너가 나라를 세웠다...

    행운의 목향(幸運の牧鄕)(2025-04-17 22:11:00)

  • 문희공유창묘역 | 알쏭달쏭 어려운 문화재 이름, 알기 쉽게 바꾼다 /서울시

    조선 후기의 저명한 유학자로 서인(西人)세력을 대표하는 우암 송시열의 명륜동 집은 집 자체는 멸실되고 현재 ‘증주벽립’이라고 하는 송시열 친필 글씨가 새겨진 바위만 남은 상태인데 지정명칭이 ‘우암구기각자증주벽립(尤庵舊基刻字曾朱壁立)’이라는 어려운 이름으로 지정되어 있어 송시열의 호와 한자를 아는...

    ♧ 三參柒 ♧(2008-10-28 13:39: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