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원주김씨 묘역
'서곡리 고려벽화묘'에서 1.9km
파주시 향토유적 제31호
바로가기
운성부원군 묘
'서곡리 고려벽화묘'에서 4km
4호
바로가기
운성부원군묘
'서곡리 고려벽화묘'에서 4km
4호
바로가기
정곤수 묘역
'서곡리 고려벽화묘'에서 4.6km
파주시 향토유적 제28호
바로가기
하포리 지석묘
'서곡리 고려벽화묘'에서 5.1km
파주시 향토유적 제26호
바로가기
파평용연
'서곡리 고려벽화묘'에서 6.4km
파주시 향토유적 제10호
바로가기
미수허목선생 암각문
'서곡리 고려벽화묘'에서 7.7km
파주시 향토유적 제22호
바로가기
평도공 박은 묘역
'서곡리 고려벽화묘'에서 8.8km
파주시 향토유적 제25호
바로가기
고려 후기의 명문가로 자리하고 있었다. 그리고 권준의 차남 권적(權適)의 사위가 공민왕 때의 권신인 한수(韓脩)이다. 한수의 무덤도 고려벽화 묘에서 멀지 않는 곳에 있다. 그리고 한수의 차남이 한상질이니 사실상 권준과 한상질은 외증조부와 외증손자 관계이다. 청주 한씨 쪽에서도 외가와 관련된 제사를 600...
강병석(2023-06-13 22:17:00)
서곡리 벽화묘에서는 북두칠성과, 더불어 드물게도 오리온 좌의 삼태성이 확인되었다. 서삼동 고분 벽화는 청록색 천장 안쪽에 짙은 푸른색으로 원을 그리고, 그...수 있다. 그리고 그 바깥에는 100개가 넘는 많은 별이 둥그렇게 둘러져 있는 바, 고려의 천체 관측 확장을 짐작해볼 수 있다. 안동시 서삼동 천문도...
아하스페르츠의 단상(2018-04-28 04:13:14)
[역사 탐방 청자마을 백자고을]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 파주 서곡리 고려벽화묘, 고려 후기의 문신이었던 권준의 무덤 안에서 발견한 벽화야. 벽면 사방에는 열두 명의 인물상이, 천장에는 별자리 그림이 있어. 고려 시대 관리들은 어떤 옷을 입었는지 잘 알려 주는 귀중한 자료란다. 고려 인종의 시호를 올리며 지은...
한재영교수 영원불멸천명무한 인생사랑(2024-08-05 05:28:00)
파주 서곡리 고려 벽화고분의 벽화 1) 머리말 2) 네 벽의 십이지신상 가. 십이지신상의 배치 나. 십이지신상의 화풍 3) 천장의 성수도 4) 맺음말 2. 수락암동 벽화고분·공민왕릉·거창 둔마리 벽화고분의 벽화 1) 머리말 2) 수락암동 벽화고분의 십이지신상 3) 공민왕릉 벽화의 십이지신상 4) 거창 둔마리 벽화고분의...
동방박사의 여행견문록 https://japan114.tistory.com(2022-07-26 18:59:12)
알수있는 악사 시종 무사가 10명 그려져 있습니다. 고려시대는 개성 현릉 파주 서곡리고려벽화묘 장단 법당방석실분 거창 둔마리 벽화고분이 있습니다. 회칠을...것은 요동에서 볼수 있었습니다. 초기에는 벽면에 회칠이 마르기전에 그렸고 후기에는 직접 그림을 그렸고 광물가루를 이용해 해초를 이용해 태교 아교를...
역사이야기(2020-08-08 02:00:00)
않지만 양릉(陽陵)과 현릉(玄陵), 칠릉동7호분(七陵洞七號墳), 파주 서곡리 고려벽화묘 등 고분에 여전히 북두칠성을 그리는 전통이 이어져 왔다. 따라서...이르러 불교가 민간신앙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칠성을 본격적으로 신앙하는 전통이 생겨난 듯, 조선후기의 사찰에는 대부분 칠성각이 자리잡고 있다. 조선시대...
淸岩 美術史(2023-04-20 18:33:00)
조선 후기 실학의 선구자인 성호 이익의 ??성호사설?? 등을 분석한 결과 당시 조선 사회에서는 새로이 유입된 신법 천문도를 통하여 서양의 천문학과 만나 그...별자리인 북극삼성은 상고시대의 고인돌부터 고구려 벽화를 거쳐 고려의 능묘 천문도, 조선초의 석관 천문도까지 오랜 세월 동안 끊어질 듯하면서도 꾸준히...
霧津紀行(무진기행)(2008-11-04 10:51:00)
사신총(후기 사신도 시대의 개막), 통구 사신총(거북과 뱀의 꼬임이 역동적으로 묘사) 2. 백제 현재 남아있는 고분변화는 딱 2기이다. ① 공주 송산리 6호분 : 6세기 초반 추정, 벽돌전축분 무덤에 사신도(고구려의 영향, 현재 퇴색하여 거의 보이지 않는다) ② 부여 능산리 1호분 : 6세기 중반~ 7세기 초반 추정, 세련...
용가리의 힐링시골(2017-02-23 23:41: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