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자운 사우 지도 이미지

윤자운 사우 48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윤자운 사우
문화유적지정번호
향토유산 제3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건조물
소재지도로명주소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남포방조제로 821-48
소재지지번주소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관당리 산37-1
지정일자
1991-12-10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무송윤씨
규모
1동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이 사우는 병조판서 예문관 대제학을 지낸 문도공 윤회와 영의정을 지내고 무송부원군에 봉해진 문헌공 윤자운을 제향하는 사우이다. 원래 이 사우는 성종25년(1494) 경기도 양주군 백석면 홍죽리에 건립되었으나, 그 곳에 사는 윤자운의 후손들이 괴학하여 관리가 부실해짐에 따라 1725년 웅천읍 소황리 지역에 사는 윤자운의 후손들이 위패를 모셔다가 웅천 소황리에 재건립하였다. 그러니 소황리에 군사시설이 들어거면서 현 위치로 옮겨졌다. 이 문헌사는 현 위치에 옮겨지기 전까지만 해도 보령지역에서 가장 전통적인 사우 건축의 양식을 보존하고 있었지만 이전하면서 주초석만 옮겨왔을 뿐 나모지는 새로 만든 것들이다. 웅천 무송윤씨는 임지왜란 후 입향하여 지금까지 세거해 오고 있다. 종증에서 관리하고 제향한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41-930-6582
관리기관명
충청남도 보령시청
데이터기준일자
2023-11-28
제공기관코드
4,510,000
제공기관명
충청남도 보령시

주변 관광 펜션

블로그 리뷰

  • 윤자운 사우 | 21.9.25 양주 윤자운묘-해우령전첩비-조영무별묘-무림군묘-최재.최혁효자정문-빗접바위-조대림묘-윤의립...

    하니, 윤자운이 머리를 숙이고 그대로 따랐으며, 매양 도적을 대하여 반드시 대인(大人)이라고 일컬으니, 듣는 자가 비루하게 여겼다. 아침 저녁으로 일찍이 어머니의 집을 지나면서 보살피지 아니함이 많았으므로, 그 마을 사람이 서로 이르기를, ‘이 할머니는 아들이 없다.’고 하였다.” 하였다. — 《성종실록...

    산나드리(2022-12-04 21:40:00)

  • 윤자운 사우 | 정자詩로 만난 인물-남구만(南九萬)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서인의 중심인물이었으며, 문장과 서화에도 뛰어나 시조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의 지은 약천(藥泉) 남구만(南九萬 1629 인조 7 ~ 1711 숙종 37)이 백암사(白巖寺)에 입구에 있는 쌍계루에 포은(圃隱) 정몽주에 지은 시운에 차운한 시다. 또 한명의 조선시대 걸출한 선비의 뒷자락의...

    오인교의 전라도누정기행(2020-04-20 15:04: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