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 지도 이미지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 55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
문화유적지정번호
문화재자료 제49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불상
소재지도로명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산정길 41
소재지지번주소
부산광역시 영도구 신선동3가 산6-1
지정일자
2008-12-16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복천사
규모
불상
조성시대
1922년
향토문화유적소개
불상
관리기관전화번호
051-419-4065
관리기관명
영도구청 문화관광과
데이터기준일자
2021-03-22
제공기관코드
3,280,000
제공기관명
부산광역시 영도구

주변 관광 펜션

라온풀빌라 B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9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6545.23km

바로가기

더큐브하우스리조트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청산리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6545.23km

바로가기

(주)한네트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6545.23km

바로가기

(주)한국문학사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5동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6545.23km

바로가기

빌라 마르디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상리 600-11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6545.23km

바로가기

한국컴퓨터(주)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101, 204동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6545.23km

바로가기

(주)하이원추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심포리 231-3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6545.23km

바로가기

콩매아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광대리 270-3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6545.23km

바로가기

(주)케이씨티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 102동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6545.23km

바로가기

(주)한상개발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6동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6545.23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4호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1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6545.23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 D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2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6545.23km

바로가기

주변 관광지

영도관광안내센터

부산광역시 영도구 봉래나루로 79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1.73km

바로가기

영도대교

부산광역시 중구 태종로 8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15km

바로가기

부산공동어시장

부산광역시 서구 충무대로 202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39km

바로가기

자갈치시장

부산광역시 중구 자갈치해안로 52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43km

바로가기

송도해상케이블카

부산광역시 서구 송도해변로 171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6km

바로가기

광복로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중앙로 1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61km

바로가기

용두산공원

부산광역시 중구 용두산길 37-55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65km

바로가기

부산영화체험박물관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로126번길 12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65km

바로가기

BIFF광장

부산광역시 중구 비프광장로 36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7km

바로가기

40계단테마거리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로135번길 13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81km

바로가기

송도해수욕장

부산광역시 서구 송도해변로 100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3.07km

바로가기

천마산조각공원

부산광역시 서구 천마산로 209번길 94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3.14km

바로가기

주변 관광지 숙소

벨리타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동 475-18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1.06km

바로가기

베이하운드호텔

부산광역시 영도구 대교동1가 68-1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1.64km

바로가기

그랜드베른호텔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동 321-12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1.86km

바로가기

부산비치관광호텔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동 523-44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27km

바로가기

굿올데이즈호텔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1가 22-2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48km

바로가기

수이호스텔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1가 21-12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48km

바로가기

(주)부산관광호텔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2가 12-1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49km

바로가기

그리핀베이 호텔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4가 7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5km

바로가기

윈덤그랜드부산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 123-15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55km

바로가기

브로시스 호텔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4가 5-3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56km

바로가기

스탠포드호텔 부산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5가 56-1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57km

바로가기

타워힐관광호텔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3가 20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57km

바로가기

주변 관광 식당

(주)해운대 암소갈비집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1225-1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13.81km

바로가기

대동할매국수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초정리 952-25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17.93km

바로가기

경포장장어구이

경상남도 김해시 불암동 229-34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19.09km

바로가기

향옥정

경상남도 김해시 불암동 192-1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19.15km

바로가기

오든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용원동 1353-6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0.9km

바로가기

제이더블유웨딩컨벤션(주)

경상남도 김해시 삼정동 315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1.03km

바로가기

충무횟집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용원동 1133-11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1.07km

바로가기

가야마루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1104-9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1.42km

바로가기

수손짜장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1062-10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1.58km

바로가기

보배반점용원점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용원동 1213-2 101호,104호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1.94km

바로가기

(주)초마김해점

경상남도 김해시 외동 1264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3.02km

바로가기

연지가든

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 933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에서 25.24km

바로가기

블로그 리뷰

  •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 | 부산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 - 부산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49호

    활동했던 ​ 승려 장인 완호(玩虎, 1869~1933)가 조성한 것임이 밝혀졌다. <2022.6.23 촬영, 부산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49호 부산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 대좌> 17세기 조선 후기 불상 양식을 이어받아 일제강점기에 근대적인 요소가 나타난다고 설명한다. ​ 안내에 나와 있는 고리광배를 제외하고는 구체적으로...

    부산 아재의 역사이야기 by 적연(寂沿)(2025-02-08 20:00:00)

  •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 | 창령 관룡사 용선대 석조여래좌상

    대웅전 안에는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대좌, 관음보살을 그린 벽화(수월관음보살도)가 있으나 사진 촬영 불가다. 조선 후기 관음보살도는 국내에 10여 점밖에...우리가 편하게 다니는 탐방로는 여러 사람들의 땀으로 정비된 것임을 새삼 느끼고 감사했다. ​ ​ 탐방로 정비가 필요해 보이기는 하다. ​ ​ 석조여래좌상이...

    나빌레라의 발길이 머문 곳(2025-07-01 07:47:00)

  •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 | 장마 속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로의 여행 중 만난 모전 석탑과 석조비로자나불 좌상의 가치

    특징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비로자나불의 특징이 있는데 왼손 검지를 오른손이 감싸 쥐고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비로자나불 좌상은 대구 동화사 석조 비로자나불상으로 9세기 양식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고 광배와 좌대까지 보전되어 있다고 합니다 목조 비로자나불 좌상도 있는데 국보입니다 합천...

    가자, 지금 ,길따라(2025-06-21 14:23:00)

  •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 | 03. 경주 남산(삼릉~용잠마을) 문화유산답사(2) - 삼릉계 석조여래좌상에서 상선암까지 (2025.07.12.)

    좌상 및 선각보살상이 남아 불국토 신앙과 불교미술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삼릉계곡 상선암 상선암(上禪庵)은 경상북도 경주시 남산 삼릉계곡 정상부 아래에 위치한 작은 암자다. 삼릉계곡은 신라 왕릉이 모여 있는 경주 남산 서쪽에 자리하며, 상선암은 남산에 남아 있는 사찰 중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한다. 이 암자는...

    (주)건축사사무소 아라가야(2025-07-16 01:25:50)

  •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 |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문화유산, 2018년)

    석조석가여래좌상(보물 1636호) 등과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여러 문화유산이 있다. 안동 봉정사 봉정사(鳳停寺)는 신라 신문왕 2년(682)에 의상대사...불렀다고 한다. 중심 법당인 대웅전에는 석가모니불상을 중심으로 문수보살, 보현보살을 좌우로 모시고 있다. 1962년 해체·수리 때 발견한 기록으로...

    국가유산사랑(2025-08-31 06:14:37)

  •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 | 청양 지역의 불교 문화재를 찾아다니다

    보통 석가여래를 주존으로 모시는데, 중앙의 석조대좌 위에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을 모시고 오른쪽에는 석조대좌 위에 철조약사여래좌상을 모셨다. 왼쪽에는 철조여래좌상을 주존으로 모시고 있다. 철조약사여래좌상과 석조대좌는 국보로 지정되어 있으며, 철조비로자나불좌상과 석조대좌는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들 불상...

    백발백수의 한걸음(2025-08-15 00:34:00)

  •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 | 강릉 보현사 ③ 보현사 대웅보전, 석조아미타삼존불상, 석사자상과 석탑부재, 영산전

    위시해 석조아미타삼존불상과 복장유물, 대웅보 전, 소조석가삼존·십육나한상·권속 및 복장유물 일괄, 소조보살좌상, 부도군 등의 지방문화재, 그리고 석사자상과 석탑부재, 조선 후기에 조성된 탱화 등이 전하고 있어 고색의 내음도 무지하게 풍부하다. 2. 대웅전 뜨락에 있는 늙은 돌덩어리들 대웅전 뜨락에는 막...

    도봉산고양이의 여행공간(2025-07-17 01:30:12)

  •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 | 팔공산 파계사(八公山把溪寺)를 처음 돌아보다

    좌상 및 복장유물(제992호)이 있고, 중요 민속문화재로 영조대왕의 도표(제220호)가 있습니다. ​ 이외 대구광역시지정 문화재를 비롯하여 석불, 석등 등 불교문화...210302 팔공산 파계사 극락전 ​ 지장전은 지장보살을 봉안한 전각입니다. 지장보살은 석가여래의 부촉을 받고 석존이 입멸한 뒤부터 미륵불이 출현할...

    파란하늘 창천 蒼天(2025-08-14 16:22:00)

  •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 |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9호_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

    이와 같은 외래요소가 새롭게 차용되었다는 점이 흥미롭다. 복천사 석조석가여래좌상과 보살좌상은 1922년이라는 정확한 조성연대를 알 수 있으며 근대 불교조각...도서 5.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5호 _ 복천사 석가영산회상도 6.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8호 _ 복천사 독성도 및 보장유믈 일괄 7. 부산광역시...

    기리여원(2022-06-05 12:33:30)

  • 복천사 석조석가여래 및 보살좌상 | 기장군 - 기장 장안사 대웅전, 장안사 명부전, 장안사 응진전

    조선 후기 부산 지역 건축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 -국가유산포털에서(부산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장안사 명부전 (長安寺 冥府殿) | 국가유산포털 | 국가유산 검색), 2025년 7월 7일 접속 명부전 정면 공포의 모습. 국가유산포털의 설명에 있듯이 보통 공포를 올리면서 지붕을 높이기도 하지만 지붕을...

    강토의 사진(문화재) 이야기, 가끔은 낚시도(2025-07-07 20:10: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