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염수재(念修齋)
경상북도 고령군 운수면 흑수길 61-6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1.5km
14
바로가기
율수재(聿修齋)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운교길 14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2km
13
바로가기
대곡사(용화재)大谷祠(龍華齋)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큰골길 240-3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9km
6
바로가기
대곡사(용화재) 大谷祠(龍華齋)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큰골길 240-3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9km
6
바로가기
반곡재(盤谷齋)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반룡길 164-6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8km
12
바로가기
대분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8.2km
4
바로가기
후송재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벌지로 10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9km
10
바로가기
지지재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벌지2길 44-3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9.9km
7
바로가기
레드카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 314-3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32.33km
바로가기
클럽볼륨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 심곡리 1209-22 중앙상가 A-5동 2-26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51.27km
바로가기
슈퍼스타마마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 1564-11번지 2층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98.68km
바로가기
스카이슈퍼돔관광나이트클럽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684-1번지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156.19km
바로가기
자유의 여신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1133-8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199.29km
바로가기
뮤직&바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신평리 202-15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275.13km
바로가기
라운딩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동 262-14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303.27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 B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9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533.52km
바로가기
더큐브하우스리조트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청산리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533.52km
바로가기
한국컴퓨터(주)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101, 204동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533.52km
바로가기
빌라 마르디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상리 600-11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533.52km
바로가기
(주)케이씨티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 102동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533.52km
바로가기
(주)한국문학사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5동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533.52km
바로가기
(주)하이원추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심포리 231-3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533.52km
바로가기
콩매아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광대리 270-3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533.52km
바로가기
(주)한네트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533.52km
바로가기
(주)한상개발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6동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533.52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4호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1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533.52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 D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2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533.52km
바로가기
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대가야로 1216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85km
바로가기
대가야생활촌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신남로 81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7.46km
바로가기
부례관광지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우곡강변길 672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13.33km
바로가기
해인사 소리길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가야산로 1160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13.78km
바로가기
대장경테마파크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가야산로 1160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13.78km
바로가기
해인사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17.46km
바로가기
합천박물관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 황강옥전로 1558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21.86km
바로가기
산토끼노래동산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이방로 623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23.75km
바로가기
오도산 자연휴양림
경상남도 합천군 봉산면 오도산휴양로 398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24.08km
바로가기
신소양체육공원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24.29km
바로가기
구상문학관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구상길 191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24.91km
바로가기
가조온천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온천길161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25.51km
바로가기
대가야의 목금토-꿈꾸는 시간여행자센터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지산리 232-106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1km
바로가기
대가야호스텔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월막리 303-1 고령군향토문화학교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9.17km
바로가기
(주)가야호텔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1282-4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13.48km
바로가기
칸 호텔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내리 841-6번지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19.04km
바로가기
호텔G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내리 841-7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19.07km
바로가기
(주)에이더블유 호텔
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동 1198-6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21.44km
바로가기
호텔 엘리시아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 1089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22.25km
바로가기
HOTEL GA JO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일부리 1275 패밀리관광호텔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25.31km
바로가기
센트로 관광호텔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 292-2번지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25.57km
바로가기
하우스오브갤러리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1892-30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27.94km
바로가기
The house of gallery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139-12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27.98km
바로가기
엘디스리젠트호텔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 360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28.59km
바로가기
의령소바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서동리 491-30 의령소바본점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50.97km
바로가기
주문진메밀칼국수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북면 화천리 433-3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59.24km
바로가기
삼합짬뽕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북면 화천리 432-21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59.3km
바로가기
산수정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북면 지개리 644-3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2.47km
바로가기
명주샤브칼국수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정동 218-4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3.88km
바로가기
(주)풍성한고을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정동 332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4.09km
바로가기
고구려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두척동 455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4.24km
바로가기
곰달청기와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소계동 130-121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4.63km
바로가기
박말순(디벨로펀)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중동 437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4.63km
바로가기
1985금화중식당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팔용동 169-7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4.64km
바로가기
목민정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중동 427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4.65km
바로가기
아씨부뚜막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소답동 117-23
'봉평리 암각화(鳳坪里 岩刻畵)'에서 64.78km
바로가기
받은 것으로 보인다. 고령 봉평리 바위새김그림(高靈 鳳坪里 岩刻畵) 경북 고령 봉평리 고령 봉평리 암각화(高靈 鳳坪里 岩刻畵)는 2008년에 대가야박물관에서...지표조사 시 발견된 암각화 유적이다. 제작시기는 청동기시대 중기에서 후기 사이(대략 BC 600~300년)로 추정된다. 마제석검(磨製石劍), 세형동검(細形銅劍...
광주에서 떠나는 문화유산답사(2023-07-25 15:41:32)
봉평리 암각화 (高靈 鳳坪里 岩刻畵,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수량: 1기, 시대: 청동기시대, 지정일: 2021. 8.26.) 【문화재 설명】 고령 봉평리 암각화(高靈 鳳坪里 岩刻畵)는 2008년에 대가야박물관에서 실시한 문화유적 지표조사 시 발견된 암각화 유적이다. 제작시기는 청동기시대 중기에서 후기 사이(대략 BC 600...
강토의 사진(문화재) 이야기, 가끔은 낚시도(2024-05-09 22:50:00)
高靈 鳳坪里岩刻畵 (높을 고, 신령 령, 봉새 봉, 들 평, 마을 리, 바위 암, 새길 각, 그림 화) 고령군 운수면 봉평리에 있는 수직의 자연 바위 위에 새겨진...등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91호) 고령 봉평리 암각화 블로그 高齡社會 (높을 고, 나이 령, 모일 사, 모일 회) aging society 전체 인구...
햇살의 물고기학당(2024-02-11 18:14:00)
자료 보령죽청리고인돌 保寧竹淸里고인돌 충청남도 보령시 2000-09-20 유적건조물/무덤/무덤/지석묘 12기 13870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고령 봉평리 암각화 高靈 鳳坪里 岩刻畵 경상북도 고령군 2021-08-26 유물/일반조각/암벽조각/암각화 1기 쿠팡 파트너스 추천인 코드 : AF9956533 *본 광고는 쿠팡의 판매수수료와 연계...
리치캣의 현재 그리고 미래(2022-02-28 23:35:54)
岩刻畵)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蔚州 大谷里 盤龜臺 岩刻?) 4 국보 제4호 고달사지부도 (高達寺址浮屠) 여주 고달사지 승탑 (驪州 高達寺址 僧塔) 5 국보 제48호 월정사팔각구층석탑 (月精寺八角九層石塔)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平昌 月精寺 八角 九層石塔) 6 국보 제59호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 (法泉寺智...
송강 (松岡) 나들목(2014-06-20 12:56:00)
울진 봉평리 신라비 蔚珍 鳳坪里 新羅碑 신라 1988년 11월 04일 243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1 初雕本 顯揚聖敎論 卷十一 고려 1988년 12월 28일 244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7 初雕本 瑜伽師地論 卷十七 고려 1988년 12월 28일 245 초조본 신찬일체경원품차록 권20 初雕本 新纘一切經源品次錄 卷二十 고려 1988년 12월 28일...
고맙고 감사한 세상(2020-05-03 22:50:00)
와 岩刻畵 등이 전부이다. 더구나 이들 유적 가운데 발굴조사된 유적은 雲水面의 鳳坪里支石墓3)가 유일하며, 그나마도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 조사되어 고령지역...硏究에 있어 하나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Ⅱ.遺蹟紹介 1. 雲水面 鳳坪里 순평마을 支石墓群 및 遺物散布地 운수면 일대에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N o b l e L o g 노 블 로 그 N o b l e L o g(2005-05-31 04:09:00)
울진 봉평리 신라비 (蔚珍 鳳坪里 新羅碑) 국보 제243호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1 (初雕本 顯揚聖敎論 卷十一) 국보 제244호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7 (初雕本 瑜伽師地論 卷第十七) 국보 제246호 초조본 대보적경 권59 (初雕本 大寶積經 卷五十九) 국보 제247호 공주의당금동보살입상 (公州儀堂金銅菩薩立像) 국보 제...
박재봉의 '발길속으로, 삶과 여행'(2010-04-29 09:25:00)
그림인 암각화(岩刻畵)가 유명하다. 울주 대곡리·천전리, 고령 양전리, 경주 금장대, 포항 칠포리 등에 그 유적이 있다. 중국의 경우는 금문(金文)이 앞서고 석문(石文)이 그 다음이었으나, 한국은 초기 청동기시대에 문자를 사용한 흔적이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일부의 청동기 자료에는 그림만 있고 글자가 새겨진 것...
제국의 영광이여. 다시 한번(2006-11-05 21:30: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