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난원종공신녹권 지도 이미지

청난원종공신녹권 41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청난원종공신녹권
문화유적지정번호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146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고문서
소재지도로명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서동로99번길 18-9
소재지지번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315-38
지정일자
2019-12-20
소유주체구분
사유
규모
1권
조성시대
조선
향토문화유적소개
청난원종공신녹권
관리기관전화번호
041-830-2622
관리기관명
충청남도 부여군청
데이터기준일자
2023-12-05
제공기관코드
4,570,000
제공기관명
충청남도 부여군

블로그 리뷰

  • 청난원종공신녹권 | 부여군, 충남도 유형문화유산 1건 지정 및 2건 지정 예고

    충남일보 조서정 기자]충남 부여군은 3월 20일 자로 충남도에 의해 '류명 청난원종공신녹권'이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고, '임천 칠산서원 책판', '부여 강동공...충청도의 직역에 상관없이 많은 사람이 정공신 ․ 원종공신으로 녹훈되었다는 점에서 조선 중 ․ 후기 신분제 변화와 지역 향토사 연구에 중요한 가치를...

    충남일보 공식 블로그(2025-03-20 10:08:00)

  • 청난원종공신녹권 | [전국네컷] 12월 2일, ‘무안, 부여, 서울, 순천’의 뉴스!

    묘법연화경은 1493년 무량사에서 간행한 목판본으로, 조선 전기 불서 간행과 목판 인쇄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가치를 인정받았다. 또한 류명 청난원종공신녹권이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예고되었다. 이 문서는 1605년 책록된 청난원종공신에 내려진 공신임을 증명하는 것으로, 조선 중․후기 신분제...

    뉴스로 공식블로그(2024-12-02 17:28:00)

  • 청난원종공신녹권 | 충남도, 역사 숨결 깃든 문화유산 2건 신규 지정

    1. 천안 각원사 소조보살좌상 2. 백자청화 이기하 지석 3. 류명 청난원종공신녹권 도 관계자는 예고된 유산들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고, 차기 도 문화...승격을 위한 기반을 다질 계획이다. 이번 신규 지정된 문화유산들은 조선 후기 생활사와 전기 인쇄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를 통해...

    노마드뉴스(2024-12-03 08:37:00)

  • 청난원종공신녹권 | 보물 제1380호 신경행 청난공신교서 및 관련문적 (辛景行 淸難功臣敎書 및 關聯文籍)

    조선 후기 수량: 일괄(1축,4건,4책) 분류: 국왕문서/교령류 지정일: 2003.08.21 소유자: 영산신씨충익공파종중 소재지: 충북 괴산군 문화재형태: 권자장 해제...敎旨), 시장(諡狀) 등 5종 6점이며 그의 후손들과 관련이 있는 유물은 청난원종공신록권(淸難原從功臣錄券)과 이십공신회맹록(二十功臣會盟錄) 및 이십일공신...

    경주이씨 월성군후 용재공파(2019-05-07 12:40:02)

  • 청난원종공신녹권 | 홍성의 역사가 펼쳐지는 곳 「홍주성 역사관」 박물관미술관여행 기념품

    조선 후기의 무신이었던 전운상田雲祥 (1694~1760) ​ 1740년 전라좌도수군절도사로 있으면서 특수전함인 해골선을 건조하였고 경상도병마 절도사 시절인 1746년에는 육상병기인 독륜전차를 발명하였다 전운상 교지 해골선은 바다의 송골매 처럼 가볍고 빠른 배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해골선 이름이 해골선이라고 해서...

    하늘 나그네(2022-07-09 09:23:00)

  • 청난원종공신녹권 | 애연사와 군방영당 - 괴산[3]

    글이다. 청난원종공신록권은 이몽학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선조 38년(1605) 4월 16일에 공신도감에서 신경행의 아들인 주부(主簿) 신면(辛勉)에게 내려준 녹권이다. 이 녹권은 공신에 대한 대우와 포상규정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조 원종공신관계 연구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그밖에 이십공신회맹록 및 이십일...

    문화재? 문화재!!(2009-08-06 23:41:00)

  • 청난원종공신녹권 | 문정공 석탄 이신의

    원종공신녹권과 400년 전의 거문고를 비롯하여 각종 교지, 준호구, 호구단자, 토지매매문서, 양자입안 등 조선시대 양반들의 삶을 매우 사실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옛 기록들이 선보인다. 남녀가 평등하게 재산을 나누었던 조선사회의 모습과, 노비로 하여금 토지매매를 하던 조선 양반가의 모습 등은 오늘날 우리에게 잘...

    온고지신(2009-11-08 22:51: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