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공간사
'문숙영당'에서 0km
청주시 향토유형 제135호
바로가기
윤령 효자각
'문숙영당'에서 0.2km
청주시 향토유형 제137호
바로가기
정선전씨 효부문
'문숙영당'에서 1.8km
53
바로가기
죽계사
'문숙영당'에서 2.5km
청주시 향토유형 제139호
바로가기
김극 충신각
'문숙영당'에서 2.5km
청주시 향토유형 제128호
바로가기
곡산연씨 효부각
'문숙영당'에서 3.2km
청주시 향토유형 제138호
바로가기
경주이씨 효부각
'문숙영당'에서 3.2km
청주시 향토유형 제127호
바로가기
용계리 고분
'문숙영당'에서 3.4km
청주시 향토기념 제27호
바로가기
문숙공 영당비(影堂碑, 우)가 있어요. 화해기념의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하지요. 문숙공 윤관대원수 묘역정화 준공 기념비 문숙공 윤관대원수 동상 건립 기념비 이곳은 기념관인데 잠궈져 있어요. 유리문을 통해서 내부를 봤는데, 내부에도 특이한 것은 없네요. 기념관 앞에서 바라본 모습예요. 좌측에 내삼문이 있고...
감자선생과 노룡거사(2023-11-17 06:45:00)
황강영당(黃江影堂)과 안동 권씨 화군군파 가문에 전하는 〈한원진 초상〉들과도 외모가 동일하여 그를 그린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작은 폭의 비단에 얼굴이 오른쪽으로 향하게 반신상으로 인물을 그렸다. 그리고 인물은 심의(深衣)를 입고 복건(幅巾)을 썼는데, 이는 유학을 숭상하는 학자들의 복식이었다. 얼굴은 짙은...
韓氏아저씨블로그(2024-01-23 00:00:00)
때문에 영당이라고 지칭하였다. 평강 채씨 가문에서는 채재공초상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기 위한 영담음 지어 상의당으로 지칭하었다. 상의당(현재 상의사) 건립에 대한 내용과 상량문 동 관린 기록이 상의당영조ㅣ 05 평강 채씨 가문의 생활문화 tnmgaslhundthep)enwmthwe 리선 수인와싱박많한에 기증위 핑강 재씨...
샘속에 옥을 찾아서(2024-01-06 10:56:00)
규모의 영당은 앞면 1칸을 개방하여 참배공간을 마련하고 뒤쪽은 통칸으로 3인의 영정을 모셨다. 만전당 홍가신(晩全堂 洪可臣, 1541 ~ 1615)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이자 문신, 문인이다. 본관은 남양(南陽, 화성시 남양). 자는 흥도(興道). 호는 만전당(晩全堂), 만전(晩全), 간옹(艮翁). 시호는 문장(文莊)이다. 중종...
소소한 일상과 여행_길아래 그곳(2023-06-08 20:22:00)
지정되면서 영당을 재건하였으며 영정은 2006년 보물 제1477-2호로 승격되었습니다. 사도세자의 죽음을 반대한 번 암 채제공은 조선 후기의 재상으로 본관은 평강, 자는 백규, 호는 번암이며, 부친은 지중추부사를 지낸 채응일이고 연안 이씨와 사이에서 청양(당시 홍주)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모친인 연안 이 씨는...
청양군 공식 블로그(2023-06-28 16:49:00)
회헌영당에 제향되었다. 묘소는 장단 대덕산에 있고, 경기도 부곡에 안자묘가 있다. 안향의 아들 안우기는 찬성을 지냈고, 손자 안목은 정당문학을 지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안침, 안당과 안위, 안현, 안상 3형제가 유명하다. [2] 안침은 세조 때 문과에 급제한 뒤 전라도 관찰사와 한성부윤, 대사헌, 경상도...
chaehyungseok1976님의블로그(2023-05-10 08:24:00)
받았으며, 영당에 최덕지과 김수항의 영정을 동시에 봉안하였다.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없어졌다가 1977년에 복설되었다. 현재 많은 고문서류와 목판 등이 보관되어 있는데 대표적인 고문서로는 원생들의 명단을 적은『서원청금안』25책, 『서원서재유안』2책, 『심원록』5책, 『합경재보노안』3...
백산블로그(2018-09-29 09:00:00)
조선 후기 문신인 류이좌(1763 ~1837) 와 후손이 1824년(순조24)에 채제공의 고향인 지금의 자리에 영당을 세우고 영정을 모셨다. 한동안 건물의 보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허물어졌는데 1989년에 영정이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 영당을 재건하였다.영정은 2006년 보물 제1477-2호로 승격되었다. 상의...
푸른나귀(靑驢)(2020-11-20 19:35:07)
1735] 문숙(文叔), 간재(艮齋), 소릉(少陵), 파릉(巴陵), 충정(忠貞) 조선 후기의 문신. 1689년 대사간이 되었으며 이듬해 희빈 장씨의 왕비 책봉에 반대했다. 1721년 소론의 영수로서 우의정이 되었다. 노론 4대신들이 건의하여 세제의 대리청정이 실시되자 이를 반대하여 철회시켰다. 1728년 이인좌 등이 밀풍군을...
점례컴퍼니(2023-06-12 09:27:00)
고간원지(叩諫院址) 고간원지( 叩 諫 院 址)는 고려 문신 문극겸을 모신 사당으로, 그 일대에는 고간원( 叩 諫 院)을 비롯하여 문숙공신도비, 재실, 충숙선조유덕추모비, 사당인 충숙공영당, 그리고 묘소 등이 있습니다.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면 추계리에 거주하는 남평문씨 집안에서 관리하며, 1984년 7월 26...
여행은 행복이다(2020-05-05 10:00: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