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최유경 효자비
'문정영당'에서 0.1km
청주시 향토유형 제141호
바로가기
경주이씨 효부각
'문정영당'에서 1.2km
청주시 향토유형 제127호
바로가기
용계리 고분
'문정영당'에서 1.4km
청주시 향토기념 제27호
바로가기
곡산연씨 효부각
'문정영당'에서 1.4km
청주시 향토유형 제138호
바로가기
김극 충신각
'문정영당'에서 1.8km
청주시 향토유형 제128호
바로가기
김한정 충신각
'문정영당'에서 1.8km
청주시 향토유형 제142호
바로가기
죽계사
'문정영당'에서 2.3km
청주시 향토유형 제139호
바로가기
죽림영당
'문정영당'에서 2.6km
청주시 향토유형 제115호
바로가기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주성동 내상문을 오르면 목은영당을 만난다. 영당 건물은 내진과 툇마루로 구성된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홑처마 맞배지붕 목조...대문을 세우고 담장을 둘렀다. 목은 이색(牧隱 李穡, 1328 ~ 1396)은 고려 후기 대사성, 정당문학, 판삼사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소소한 일상과 여행_길아래 그곳(2025-03-30 07:34:00)
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겸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다. 본관은 양천(陽川)으로, 자(字)는 문보(文甫)·문부(文父...老人), 구주노인(九疇老人), 동서노인(東序老人), 이서포옹(二書圃翁),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다음 자료는?? : 강원도 삼척시 정라동 육향산 미수사에서...
민초나라(2025-04-15 15:58:00)
고려후기 절의를 지킨 세 학자를 여말삼은(麗末三隱), 고려삼은(高麗三隱) 이라 하며 흔히 삼은이라 부른다. 목은 이 색(牧隱 李穡), 포은 정몽주(圃隱 鄭夢周), 야은 길 재(冶隱 吉再) 선생을 말하는 것이다. 이곳 삽교읍 이리의 루산영당은(樓山影堂) 한산이 씨 (韓山 李氏) 목은(牧隱) 이색(李穡) 선생의 영정을 모신...
꼼방울(2023-08-23 17:42:47)
조선 후기 정치사적 영향에 따라 서원으로 사액까지 받았으나 영당으로 바뀌게 된 사례로서, 서원 철폐령 이후 서원 건축의 잔존 양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라고 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제천 황강영당 및 수암사 [堤川黃江影堂-遂庵祠]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이제 황강영당을 한바퀴 돌아보고 다음 여행지...
산나드리(2024-03-14 07:34:00)
시호는 문정 文貞이다. 아버지는 판서 김익희이고 사계 김장생의 증손이다. 학문적인 가정의 분위기에 젖어 학문이 일찍이 성숙하였으며, 송시열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여러 학문을 폭넓게 연구하였으며, 특히 역사에 밝았다. 문집으로는 『돈촌유고』가 있다.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김만증 초상 (金萬增 肖像...
문화유산 사진첩 《STORY:GE》(2024-12-07 21:57:00)
많은 수량. 이는 복권되고 나서 1744년 문묘 배향 이후, 기념 서원과 영당을 매우 많이 설립, 그의 초상 봉안 수요가 그만큼 많았다. 송시열은 조선 중기 대표...학문적 권위와 정치적 정당성을 공인받게 되었다 시호는 문정(文正). 【참고문헌】 조선 후기 심의 초상 연구(심경보, 고려대 대학원 석사논문, 2014...
인생, 숙제가 아니라 축제다(2025-03-29 06:00:00)
조선 후기 절의의 상징으로 대중들에게 얼마나 확산되었는지 잘 보여 주고 있다. 시대의 지성 서계 박세당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 선생은 현종 1년(1660년...결과 당시 지조와 절개의 상징이었던 매월당(梅月堂) 김시습 선생의 영당을 조성할 수 있었고 향후 청절사로 지역 유림들의 지지로 발전시킬 수 있었다...
바람의길(2024-05-16 23:44:47)
비교해서도 압도적으로 길다. 안동권씨 화천군파 종중 황강영당이 소장하고 있는 초상화의 복제품이다. 다른 하나는 선산곽씨 용문영당이 2010년 기탁한 초상화...씨 화천군파 종중 황강영당이 소장하고 있는 초상화의 복제품 송시열은 조선 후기 효종~숙종 대 문신이이자 학자로서 김장생·김집의 제자이며, 주희와...
문화재? 문화재!!(2025-02-17 21:06:00)
詩)」·「영당요(詠唐堯)」·「한벽루(寒碧樓)」·「여홍애집구(與洪厓集句)」 등의 시구가 전해지고 있다. 禹倬(우탁) 1262년(원종 3) ~ 1342년(충혜왕 복위 3...卓甫), 탁보(卓夫), 백운(白雲), 단암(丹巖), 역동(易東), 문희(文僖 고려후기 영해사록, 감찰규정, 성균좨주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개설 본관은 단양...
웃음이 넘치는 글방(2024-11-15 10:21:00)
조선 후기의 소규모 사당터이나 배치가 북쪽을 향해 있어 매우 특이한 유적이다. 아마도 고려의 왕도인 개성을 잊지 않겠다는 의미를 담은 듯하다. 1996년 8월부터 2억 9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사당, 삼문, 담장 등을 말끔히 복원(1997년 10월 준공)하여 지금의 '송산사'라고 부르고 있다. 복원된 현재의 건물은 앞면...
걸림이 없는 삶님의 블로그(2024-02-19 10:58: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