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쌍벽루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마령면 임진로 2262
'삼계석문 암각서'에서 0km
제9호
바로가기
합미산성
'삼계석문 암각서'에서 0.4km
제6호
바로가기
완월루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마령면 원강정1길 40
'삼계석문 암각서'에서 0.7km
제15호
바로가기
삼우당터
'삼계석문 암각서'에서 3.1km
제8호
바로가기
도장각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마령면 계남길 30-7
'삼계석문 암각서'에서 3.1km
제16호
바로가기
쌍계정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마령면 임진로 1890
'삼계석문 암각서'에서 3.3km
제10호
바로가기
한들공소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진안읍 중평길 4-6
'삼계석문 암각서'에서 3.5km
제11호
바로가기
김대거 종법사 생가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성수면 원좌길 33-10
'삼계석문 암각서'에서 3.7km
제19호
바로가기
갖추게 되었습니다. 이런 지형을 '수문(水門)'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삼계석문이 오수분지의 물이 빠져나가는 수구(水口) 역할을 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정말...합니다. 1.2. 단구대와 석련대: 차별 침식의 증거, 그리고 암각서의 미스터리 삼계석문의 양쪽에는 마치 문지기처럼 우뚝 솟은 두 개의 거대한 바위가...
행복한 여행 기록(2025-01-04 01:59:47)
쌍벽루:전북 진안군 마령면 임진로 2262 삼계석문 암각서:전북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산 21-7 쌍벽루 가는 길은 관리가 안되어 뱀이 나올것 같은 우거진 풀숲을 헤쳐가야 한다 급격한 고령화로 밭이 방치되어 우거져 있어 있던길로도 갈수가 없다 뱀에 물릴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삼계석문"이라 쓰여 있다. 최치원의...
pgu1224님의블로그(2023-09-20 12:05:00)
각자된 바위(석계삼문)가 보인다. 이곳 구로정에서의 거리는 약 70m, 삼계석문으로 가면서 되돌아 본 구로정 중간에서 강변으로 내려가는 길도 있다. 삼계석문이...조성한 것으로 구로정에서 서쪽으로 약 70m정도 떨어진곳에 있는 암각서를 말한다. 폭4.7* 두께 2.2* 높이7.5 m의 거대한 바위에 해서체로 三磎石門...
지리산동남쪽(2024-10-28 23:03:35)
신라후기의 학자 최치원과 조선 중종때 관리 신잠 등을 제사 지내는 곳으로, 교육 기능과 제사 기능을 모두 갖고 있다.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에 자리래 무성서원이라고 하며, 최치원과 신잠 등을 모시고 제사지내고 있다. 원래는 태산서원이라 하던 것을 1696년에 임금으로부터 이름을 받아 무성서원이라 하게 됐다. 앞...
이종근의 한국문화 스토리(2024-08-19 07:58:31)
조선 후기 다산 정약용처럼 그로 하여금 고독 속에서 자신과 대화함으로써 ‘전화위복’의 위대한 업적을 남기게 한 셈이다. 그는 새로운 국가체제와 사회질서 확립을 위한 유(儒)·불(佛)·선(仙) 통합사상의 기초를 마련하였으며, 자연 보호와 홍수 예방을 통해 민생 안정을 도모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인공 생태 숲...
고독과외로움연구소 孤獨書院Solitude&Loneliness LAB(2025-04-05 07:30:00)
원신암마을 신암교에서 바라본 위쪽 신암마을 신암교에서 바라본 아래쪽 전경 신암1교 아래쪽 임하 마을에 신암방죽(신암제)이 있는데, 홍수피해 예방 및 농업용수로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신암방죽(신암제) 이 신암저수지 물은 데미샘에서 흐른 섬진강 물길과 합류하여 반송리 마을로 흘러 갑니다. 반송리 원반마을...
인생2막 붕붕여행부부(2025-05-02 11:59:00)
마이산의 서쪽으로 뻗은 산줄기 능선을 따라 축성된 삼국시대의 포곡식 석성이랍니다. 이 합미산성으로 오르는 등산로 옆에 있는 쌍벽루와 그 아래 삼계석문 암각서도 볼만 하답니다. 주소 : 전북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산21-7 조선 시대에 천안 전씨·영산 신씨·동래 정씨·남양 홍씨·연안 송씨 등 5개 성씨에 의하여...
말그미(2022-07-22 13:27:20)
진안군 향토문화유산 제5호 _ 삼계석문 암각서( 三溪石門 巖刻書) 지정일 : 2016.12.28 소재지 : 전북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산21-7 삼계석문 암각서는 *최치원(崔致遠, 857~?) 의 글씨를 탁본하여 새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계석문(三溪石門)'이라고 쓰인 글씨 우측에 '萬曆十八年庚寅年' 이라는 연대가 새겨져 있어...
기리여원(2022-04-30 15:01:48)
潭) 암각서와 삼청동(三淸洞) 어필각이 으뜸이다. 향로봉으로 불리는 구룡쟁주(九龍爭珠)의 여의주 바위는 언제나 의연하다. 상이암(上耳庵)의 암자 명칭은 '주상(임금)의 귀에 하늘에서 성수만세(聖壽萬歲) 소리가 들렸다'는 설화에서 유래한다. 상이암 칠성각의 명필 편액 ▲상이암 칠성각 편액천년 고찰 기도터와 잘...
청도블로그(2025-01-20 19:04:00)
외 월계 송림이 추앙되어 오늘에 이른다. 삼계석문 암각서 풍경 삼계석문 암각서 풍경 삼계석문 암각서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국도 30호선 도로가에 있는 삼계석문 암각서는 최치원(857년∼?)의 글씨를 탁본하여 새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계석문(三溪石門)이라고 쓰인 글씨 우측에 만력십팔년경인년(1590년 선조23년...
자연이 주는 감동 Beautiful Korea 구석구석 이곳에(2024-10-02 12:10: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