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남원 만복사지 석조대좌
'남원 만복사지 당간지주'에서 0km
보물 31호
바로가기
남원 만복사지 오층석탑
'남원 만복사지 당간지주'에서 0.1km
보물 30호
바로가기
남원 양사재
'남원 만복사지 당간지주'에서 0.1km
남원시 향토문화유산 2호
바로가기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남원 만복사지 당간지주'에서 0.1km
보물 43호
바로가기
남원 만복사지
'남원 만복사지 당간지주'에서 0.1km
사적 349호
바로가기
남원 관왕묘
'남원 만복사지 당간지주'에서 0.8km
도지정유형문화재 22호
바로가기
남원 관왕묘 적토마도
'남원 만복사지 당간지주'에서 0.8km
도지정유형문화재 259호
바로가기
목기장 노동식
'남원 만복사지 당간지주'에서 1km
도지정무형문화재 11-3호
바로가기
그 위에 연꽃을 조각하였습니다. 남원 만복 사지 관람 후기 이번에 방문한 전북 남원시의 만복 사지는 작년까지 당간지주가 도로변에 위치해 있었는데 도로를...두구가 당간 지구와 함께 서 있는 모습이 새롭게 보였으며 남원시에서 만복사지 터를 더 발굴하고 있는 느낌이 들었으며 남원 여행 시 만복 사지를 추천...
임신영작가의 사진 사랑방(2025-03-12 00:00:00)
일치되어 가람배치 연구에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만복사지5층석탑(보물 30)과 통일신라 후기~고려 전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만복사지석불입상(石佛立像:보물 43), 만복사지석좌(石座:보물 31), 만복사지당간지주(보물 32), 석인형(石人形) 등이 보존되어 있다. 사적 제349호로 지정되어 있다. 남원만복사지 전북특별...
가볍게 떠나는 불교여행(2025-02-21 05:28:00)
덕분이지 진지함이 묻어 났다. 고려시기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오층석탑, 석조대좌, 당간지주, 석조여래입상 등 국가지정 문화재를 볼 수 있었다. 남원 만복사지는 광한루 가는 길 동선에 있다. 차 한잔의 여유를 만복사지에서 가졌다. 여행의 넉넉함도 큰수레와 함께 했다. 광한루는 1419년 유배 온 황희기...
최복룡교수와 함께하는 해설이 있는 문화관광역사건축(2025-04-21 15:26:00)
신라 후기에 도선이 창건하였다고 하나 현존하는 유구는 고려 문종(1046~1083) 이후의 것이라고 합니다 총면적 3,200평에 가운데 목탑을 세우고 동,서,북쪽에...불탔다고 하네요 일단 큽니다 3,200평 맞은편 도로 너머도 만복사지 달리 말하면 만복사지를 가로질러 도로를 내었단 소리 ㅉㅉ 도로 너머인 여기도...
필림(2024-05-02 07:17:00)
조선후기 촉나라 장수 관우의 소상을 봉안한 사당.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건물. 남원 - 관왕묘 네이버 블로그 南原廣寒樓 (남녘 남, 언덕 원, 넓을 광, 찰 한, 다락 루) 남원시 천거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목조건물. 정면 5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 양식이다. 춘향전으로 많이 알려졌으며 본래 이름은 광통루...
햇살의 물고기학당(2024-08-30 12:01:00)
조선 후기에는 절이 매우 퇴락하였던 것을, 뱀으로 화할 업보를 면하게 된 ‘대복(大福)’이라는 한 중생이 자신의 죄를 참회하고 사찰을 중수함으로써 그의...대복사로 사찰명을 바꾸었다고 한다.1980년대 초까지만 해도 매우 번창하여, 남원지역 불교학생회와 청년회가 이곳 대복사를 중심으로 왕성한 활동을 한 까닭...
대한민국 레포츠 정보(2024-01-22 13:41:22)
고려 후기에는 왜구가 국경과 변방을 침범하여 노략질을 하는 일이 잦았다. 왜구가 지리산 방면을 집중적으로 공격해 들어오자 조정에서는 삼도통사 이성계를 보내어 왜구를 토벌케 하였다. 이성계는 의제(義弟) 이두란과 더불어 1380년(우왕 6) 운봉읍 화수리의 황산 일대에서도 노략질을 일삼는 왜구들을 완전히 소탕...
우리나라 구석구석을 찾아서(2023-10-03 22:09:18)
석불입상, 당간지주, 석인상등이 있어 규모가 매우 큰 사찰이었다고 하며 만복사지 부근에는 백뜰, 썩은 밥배미, 중상골 등의 지명이 있어 당시의 사찰 규모를 추정할 수 있다. 백뜰은 만복사지 앞 제방을 말하는데, 승려들이 빨래를 널어 이곳이 온통 하얗다 해서 붙여진 지명이고 썩은 밥배미는 절에서 나온 음식물...
대한민국 음식점(2024-01-22 13:39:57)
신라 후기의 승려로 본래 심원사(深源寺)에 머물다가 후에 실상사에 들어와 이 절의 두 번째 창건주가 되었다. 진성여왕 7년(893년)에 77세로 입적하니 왕은 그의 시호를 수철화상이라 하고, 탑 이름을 능가보월이라 내리었다. 탑은 신라 석조부도의 전형적인 양식인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삼아 맨 아래 바닥돌에서...
바른생활 True Life(2024-04-07 07:11:00)
한다. 당간지주는 문 앞에 내걸던, 부처의 공덕을 기리는 그림이 있는 깃발이 있던 곳인데 일종의 버팀기둥이다. 받침부까지 생각하면 전체 높이는 5미터 정도...추정한다고 하는데, 만복사의 웅장함을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 만복사지 오 층 석탑은 현재 4층까지만 남아있다. 보물 제 43호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이다...
.(2023-07-06 20:20: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