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대복사 철불좌상
'대복사 극락전'에서 0km
도지정유형문화재 23호
바로가기
대복사 동종
'대복사 극락전'에서 0km
도지정유형문화재 24호
바로가기
남원 사직단
'대복사 극락전'에서 0.5km
도지정기념물 79호
바로가기
남원 만인의총
'대복사 극락전'에서 0.8km
사적 272호
바로가기
남원 만복사지
'대복사 극락전'에서 1km
사적 349호
바로가기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대복사 극락전'에서 1km
보물 43호
바로가기
남원 만복사지 오층석탑
'대복사 극락전'에서 1.1km
보물 30호
바로가기
남원 양사재
'대복사 극락전'에서 1.1km
남원시 향토문화유산 2호
바로가기
남원 대복사 극락전 목조불좌상 – 전북 남원[29. 了] 석불좌상이야 옥외에 있던 것을 요사 안으로 모시는 바람에 뵙기가 어려워진 것이지만 목조불좌상이...사찰문화재』에 불교회관에 있는 것이라고 등재되어 있었으며, 조선 후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했다. 높이는 70, 무릎 넓이 57cm 규모이다. #전북 #남원 #남원...
문화재? 문화재!!(2023-11-22 23:30:00)
무량사 극락전, 화엄사 각황전과 함께 우리나라 3대 불전 가운데 하나인 중층(重層) 전각이다. 정면 7칸, 측면 4칸의 다포계 팔작지붕 건물로 건평 170평, 높이 약 19m에 이르는 대규모 건물이다. 위층에 비하여 아래층의 높이가 훨씬 낮아서 탑파와 비슷한 비례를 보이며, 정면에는 모두 살문을 달았고 좌우 측면의 1칸...
강토의 사진(문화재) 이야기, 가끔은 낚시도(2024-11-02 22:10:00)
있어도 생각이 고이는, 평범하지만 결코 평범하지 않은 모습의 탑. 대복사 극락전 철불좌상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3호. 철불은 고려시대에 만든 것으로 높이...둘레가 177㎝이며, 종 어깨 위의 가장자리를 장식한 꽃잎 무늬장식은 고려 후기의 종에서 나타나는 양식이다. 칠성각. 그리고 그 옆으로 스님들 마음 공부...
나는 사소한 것에 목숨을 건다~♡(2012-09-23 20:57:41)
돌로 쌓은 것이 아니라 한개의 돌을 깍아서 만든 통계단이라고 한다. 대복사 극락전의 철불좌상(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3호) 철불좌상은 고려시대에 만든 것...만든 것이라고 하는데 종 어깨 위에 가장자리를 장식한 꽃무늬는 고려후기의 종에서 나타나는 양식이라고 한다. 요사채 꽃이라고는 아직 개나리와 매화뿐...
산사에서의 풍경소리(2014-04-10 00:39:45)
입지름 58.4cm, 주종장 정우·신원·해원·지감·혜학, 전북 남원 대복사 대복사 극락전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 종은 1635년에 주성되었으며, 만든 이는 정우淨祐...인물형 입상대는 대흥사 탑산사 종(1233년)에도 등장하지만 조선 후기 종에 주로 볼 수 있는 문양으로, 법주사 숭정9년명 종(1636년), 쌍계사 종(1641년...
종, 그 울림의 미학(2008-11-22 23:55:21)
위해 선원사(禪院寺)를 창건하고, 객산인 교룡산의 강한 기운을 누르기 위해 대복사의 전신인 대곡암(大谷庵)을 창건한 것이다. 따라서 풍수적으로 볼 때 대복사...이름을 따서 대복사로 사찰명을 바꾸었다고 한다...한국전통사찰 극락전 중정은 부재로 어지럽다. 석탑과 석등 석불 부재는 옛영화 보다는 오히려 처연한...
옛님의 숨결. 그 정취를 찾아(2008-06-07 19:30:32)
조선 후기에 절이 크게 쇠락하였고, 그 후 절 이름이 대복사로 바뀌었습니다. 그와 관련된 이야기가 다음과 같이 전합니다. 어느 날 남원의 벼슬아치 강대복(姜大福)이 새로 부임하는 군수를 맞이하기 위해 집을 나간 사이에 한 비구니가 와서 그의 처에게 가사 한 벌을 시주하도록 청하였습니다. 이에 그의 처는 남편과...
낙출허 樂出虛(2021-02-27 05:55:42)
든 대복을 설득하였고, 이에 감화한 대복이 마침내 지은 절이 바로 대복사라는 것입니다. 이 설화에 따르면, 조선 중기에 폐사된 뒤 작은 암자로 있다가 조선 후기에 중창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이후 다시 폐사로 버려져 있던 것을 1938년 박경찬(朴敬贊)과 그의 부인 황(黃)씨가 중건하였습니다. 건물로는...
여행은 행복이다(2017-10-13 14:30:00)
것이다. 이 설화에 따르면, 조선 중기에 폐사된 뒤 작은 암자로 있다가 조선 후기에 중창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후 다시 폐사로 버려져 있던 것을 1938년...건물로, 아미타불을 주존으로 모시고 불상 뒤에 후불탱화와 신중탱화· 지장탱화가 걸려 있다. 대복사 안내 표지판 극락전 관등 칠성각 극락전 앞 돌 부처상
춘향과 이도령의 러브스토리(2011-05-10 14:15:00)
남원 대복사 동종(1635년)에서도 확인된다. 상대에는 뇌문과 하대에는 연화당초문을 유려하게 시문하였고 연곽과 연곽 사이의 종신 상부에는 연꽃을 지물로 든...정우―신원이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쌍계사 동종과 같은 계열의 종으로서 조선후기 범종양식 뿐 아니라 17세기 승장계 범종 연구의 좋은 자료이다. 김천...
韓氏아저씨블로그(2018-07-31 00:00: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