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제시조 지도 이미지

영제시조 59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영제시조
문화유적지정번호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유산 제6호
향토문화유적구분
무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음악
소재지도로명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구마로40길 21
소재지지번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송현동 50
지정일자
1990-05-15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박선애
규모
1인
향토문화유적소개
시조창은 시조시(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를 가사로 하여 노래부르는 것을 말하며, ‘시절가’, ‘시절단가’, ‘단가’라고도 한다. 가장 오래된 기록은 영조(재위 1724∼1776) 때 학자 신광수의『석북집』「관서악부」로 이세춘이 시조에 장단을 붙였다는 시가 나온다. 순조(재위 1800∼1834) 때 간행된『유예지』와『구라철사금자보』에서는 시조의 악보가 처음으로 나타난다. 그 후 가곡의 영향을 받아서 시조곡조가 보급됨에 따라 지역적 특징을 지니고 나뉘게 되었다. 영제시조는 경상도를 중심으로 한 시조창이다. 평시조와 사설시조가 가장 많고, 뚝뚝 끊어지게 불러서 경상도 특유의 액센트가 강하게 나타나며, 씩씩하고 웅장한 느낌을 준다. 악기 없이 장구나 무릎장단으로 일시적 연주를 하기 때문에 초장과 중장, 끝장단에서 5박자가 줄어들기도 한다. 음계는 3음의 계면조(슬프고 처절한 느낌을 주는 음조)와 5음의 우조(맑고 씩씩한 느낌을 주는 음조)로 되어있다. 영제시조는 “영남시조가 좋다”라는 말에서 “영판좋다”라는 속담이 생겨날 정도로 음악성이 뛰어나며, 점잖고 격조가 높아 궁중에서까지 소중히 여기던 시조창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다른 지역의 시조창에 비해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어서 무형문화유산로 지정하여 보호하게 되었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53-667-2194
관리기관명
대구광역시 달서구청
데이터기준일자
2023-09-23
제공기관코드
3,470,000
제공기관명
대구광역시 달서구

블로그 리뷰

  • 영제시조 | 영제시조 명창들

    라는 말이 영제시조의 음악성을 높이 평가하는 데서 유래했다고 전해질 만큼 깊은 예술성을 인정받아왔습니다. ​ 다음은 영제시조를 빛낸 대표적인 명창들입니다. ​ 1. 조선 후기의 3대 명창 고종 시대에 영제시조를 크게 발전시킨 세 명의 명창입니다. 이들은 영제시조의 맥을 잇는 중요한 인물들로 평가받습니다...

    예찬건님의 블로그(2025-08-14 08:32:00)

  • 영제시조 | 감독 영화 <어쩔수가없다> CGV 롯데시네마 시그니처 굿즈 TTT 아트카드 특전 후기 이병헌 손예진 주연

    특전 후기 즐겨주시기 바랍니다🪴 ​ 소개 ‘다 이루었다’는 생각이 들 만큼 삶에 만족하던 25년 경력의 제지 전문가 ‘만수(이병헌)'. ​ 아내 ‘미리(손예진)', 두 아이, 반려견들과 함께 행복한 일상을 보내던 '만수'는 회사로부터 돌연 해고 통보를 받는다. ​ “미안합니다. 어쩔 수가 없습니다.” ​ 목이 잘려 나가는 듯...

    오늘은 여기까지(2025-10-26 01:02:00)

  • 영제시조 | 조선시대 풍류문화와 음악

    조선후기: 양금, 생황 더 첨가 ▪︎전문악사들을 초청한 풍류: 줄풍류합주 가야금, 거문고,비파, 피리, 해금, 대금 +장구 + 가곡, 가사 노래 전문 가객의 노래에 선비들이 한두 악기로 반주 전문 연주가들이 함께 어울린 음악 ▪︎악보편찬: 연주하는 음악을 기억하기 위한 기보방법 고안 풍류방의 금객, 가객들은 자신들이...

    슬기선생님의 음악시간(2025-10-11 00:06:00)

  • 영제시조 | 국악과 서양음악에서 나타나는 지역적 특징(시조, 판소리, 민요, 힙합, 서양음악사 등)

    도움이 될까 해서 쓰는 글이다. 국악에는 정가가 있으며 가곡, 가사, 시조 등 조선 후기 풍류방에서 부르던 성악곡을 말한다. 이 중 시조는 음악적으로 시조창을...지역별로 특징이 다르다. 서울 중심의 경제와 전라도(완제), 경상도(영제), 충청도(내포제) 등의 향제가 있다. 장단 구성도 경제와 완제는 다르다. 글...

    미래형 교사(2025-04-18 23:48:20)

  • 영제시조 | 시절가요(時節歌調)/시조 형식 時調形式 /우리 나라 고유 형식인 '평시조, 사설시조'에 대해

    평시조는 영제의 것이 꿋꿋해서 맛이 있고 지름시조는 경제의 것이 장엄해서 좋고 사설시조의 경우 완제나 내포제가 구수하다는 평을 하기도 한다. ​ 시조는 3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장단은 5박과 8박이 섞여 있는데, 1장과 2장은 경제의 경우 5 · 8 · 8 · 5 · 8박이며, 3장이 5 · 8 · 5 · 8박이다. 이 장단의...

    흙숲지기(2024-12-30 11:05:00)

  • 영제시조 | 삼국지(三國志, 진수)》 + 《자치통감(資治通鑑, 사마광)》을 바탕으로 한 정사 연도 및 공부내용 (중복...

    189 : 영제 사망, 동탁 집권, 낙양 불태우고 장안 천도 AD 192 : 동탁 피살 → 군웅할거 본격화 AD 200 : 관도대전 (조조 vs 원소) AD 208 : 적벽대전 (조조 vs...220)_ 수도 낙양 - 전기 (AD 25 ~ 150년대) : 광무제~안제, 안정과 번영 - 후기 (AD 150년대 ~ 184) : 환관·외척 전횡(專橫), 정치 혼란 (專: 혼자서...

    단벌신사의 잠 안오는 밤 ☾(2025-09-21 16:03:00)

  • 영제시조 | 조선시대 국가제사의 구분: 정제와 속제

    司寒)ㆍ영제(禜祭)ㆍ포제(酺祭) 등처럼 생업과 관련된 신, 선목(先牧)ㆍ마사(馬社)ㆍ마보(馬步)처럼 군대에서 중요한 말과 관련된 신, 문선왕(文宣王)이나 역대시조(歷代始祖)처럼 유교 이념과 역사라는 인문적 중요성을 가지는 신 등을 중사(中祀)와 소사(小祀)로 삼았다. ​ 이들 정제의 대상은 자연환경, 국가에서 중시...

    한국 음식사 연구노트(2025-08-15 22:12:00)

  • 영제시조 | 고시조 3장 6구 구조가 변함없이 이어져 온 까닭

    정형이 아니었다. 기녀·규방 여성·평민까지 폭넓게 향유하며, 창작·감상 공동체가 동일한 장단·소절(음보) 규범을 공유했다. 조선 후기 풍류방(風流房) 에서는 시인·묵객·가객이 모여 시조·가곡을 번갈아 부르며 장단이나 음수의 어긋남을 즉시 지적·교정하였다(풍류방 항목) EncyKorea. 이 집단 검수는 활자...

    시조앤시 리뷰(2025-05-14 17:03:00)

  • 영제시조 | 트립앤미 진안 전주 국내패키지여행 마이산 탑사 은수사 한옥마을 ft 여행가는가을

    탑영제 연못은 원래 탑이 비치는 곳이라고 하는데 실상은 산이 반영되고 있다네요. ​ ​ 돌탑 체험장은 마음과 눈으로 돌을 쌓아두고요. ​ ​ 발걸음을 재촉해 도착한 마이산 탑사에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던지~~ 어휴~~ 이곳 탑사는 CNN이 선정한 한국의 아름다운 사찰 중 하나로 이갑용 처사의 노력으로 만들어진 한국의...

    솔베이지의 마음이 머무는 곳(2024-11-06 23:49:00)

  • 영제시조 | [이환수 칼럼] 대전에서의 시조창 이야기

    짓고, 후기에 이르러서는 평민들도 활발히 참여하였다. 한편, 시조창은 우리 전통성악(正歌인 가곡, 가사, 시조와 俗歌인 민요, 판소리, 잡가 등)의 한 갈래로, 시조시(時調詩)에 곡조를 붙여 노래로 부르는데, 18세기 조선 영조 때 평양사람 이세춘(李世春)이란 분이 처음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전국적으로 널리 보급...

    대한뉴스방송(2025-01-21 21:36: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