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集)’. 면암집(勉菴集)‘, ‘지봉유설(芝峯類說)’, ‘농가십이월속시(農家十二月俗詩)’,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해동죽지(海東竹枝)‘ 등의 문집(文集)에 정월(正月)을 비롯한 각 달의 세시풍속(歲時風俗)이 소개되거나 시문(詩文)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고려시대에는 팔관회(八關會), 연등회(燃燈會) 등 불교...
꽃이랑 풍경이랑.(2025-01-29 09:32:39)
조선 후기의 지사. 1868년 경복궁 중건과 당백전 발행에 따르는 재정의 파탄 등을 들어 흥선대원군의 실정(失政)을 상소하여 관직을 삭탈당했다. 이후 일본과의 통상조약과 단발령에 격렬하게 반대하였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항일의병운동의 전개를 촉구하며 전북 태인에서 의병을 모았다. 그러나 순창에서...
반짝반짝 빛나는 관광통역안내사 blog *^^*(2025-01-29 11:01:00)
월령》, 《면암집》, 《해동죽지》 같은 문헌에서 설날을 4대 명절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설날은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풍속으로 고려시대에 다양화되었고, 조선시대로 이어져 오늘날 정착하였습니다. 주요 명절로 설날은 빠지지 않았는데 이는 설날이 이미 오래 전부터 중요한 명절로 여겨졌다는 것을 알 수 있게...
고래부동산(2025-01-28 11:40:00)
2003년 10월 19일 포천군이 도농복합시로 승격하면서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가 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가채리 [加采里]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면암집으로 유명한 최익현 선생은.. 면암 중앙 도서관 신북면 가채리 770 면암집勉庵集 최익현이 저술한 글을 모아 1909년 간행된 문집. 조선 후기 위정척사 운동을...
초보산꾼 발길 닿는 곳(2024-09-08 16:36:00)
조선시대의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나이가 삼재에 해당하는 사람은 문설주에 매 세 마리를 그려서 붙인다.”라고 하였고, 조선후기 문인 최익현의 『면암집(勉菴集)』에는 “민간에서 닭과 호랑이 그림을 붙여 삼재를 막았다.”라고 적고 있다. 이로 보아 조선시대에는 삼재라는 개념이 널리 확산되었던 것으로...
수달님이 이뽀(2023-09-17 21:47:00)
조선후기 장령, 돈녕부도정, 승정원동부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 항일운동가.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찬겸(贊謙), 호는 면암(勉菴). 경기도 포천 출신. 최대(崔岱)의 아들이다. 6세 때 입학해 9세 때 김기현(金琦鉉) 문하에서 유학의 기초를 공부하였다. 14세 때 경기도 양근(楊根) 벽계(蘗溪)에 은퇴한 성리학의 거두...
도암정 마을(2024-06-28 10:02:00)
조선 후기 문신인 소하(小荷) 조성하(趙成夏, 1845~1881) 선생은 만물상을 바라본 감회를 노래한「만물초(萬物草)」라는 시의 기구에서 “畵難畵出詠難詩-그림으로 그리기도, 시로 읊기도 어렵고”라 하여 완전무결하게 만들어 낸 조화옹의 위대한 솜씨인 만물상을 천의무봉(天衣無縫)이라 노래하였고, 승구에서는...
시와 음악, 그리고 이야기(2024-06-09 12:30:00)
최익현(1833~1906)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의병장이다. 을사늑약 체결 이후 전북 태안에서 의병을 모집하였다. 약 400명의 의병을 이끌고 관군과 일본군에 대항...음식물을 거절하고 단식을 계속하다가 굶어 죽었다. 문집에 《면암집》이 있다. 유한라산기(遊漢拏山記) / 최익현(崔益鉉) 고종 10년 계유년(1873년...
들풀에서 줍는 행복(2024-10-02 18:31:00)
저서는 『면암집』 40권, 속집 4권, 부록 4권이 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최익현'(최익현(崔益鉉)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aks.ac.kr)) 자료 중에서] '최익현 선생 묘' 아래쪽에는 '예산 최익현 선생 재실'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사람이 살고...
강토의 사진(문화재) 이야기, 가끔은 낚시도(2024-03-31 23:06:00)
연원 부원군 이광정의 5세손인 연안 이씨의 맏아들로 태어났다고 하네요 조선후기 시대의 변혁과 청양에 대한 전시내용 면암 최익현 선생에 대한 전시공간...1877년 흑산도에 유배 중인 최익현이 자신의 형에게 보낸 간찰과 면암집 3.1운동 포토죤과 청양의 문화에 대한 전시공간 충남 무형문화재 '춘포짜기'에 대한...
navykanggu님의블로그(2023-09-23 15:00: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