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동리 고분군 지도 이미지

선동리 고분군 68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선동리 고분군
문화유적지정번호
기념물 제10호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향토문화유적종류
고분
소재지도로명주소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산수로210번길 6-2,(선동리)
소재지지번주소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선동리 302-21
지정일자
2013-10-16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경기도 광주시청
규모
석실묘
조성시대
삼국시대
향토문화유적소개
신라의 한강 점유 시점에서 재지 세력과 이동 세력 등의 역사적 변동 양상을 살펴 볼수 있는 유적
관리기관전화번호
031-760-4821
관리기관명
경기도 광주시청
데이터기준일자
2023-11-22
제공기관코드
5,540,000
제공기관명
경기도 광주시

주변 관광 펜션

라온풀빌라 B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9

'선동리 고분군'에서 6458.99km

바로가기

더큐브하우스리조트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청산리

'선동리 고분군'에서 6458.99km

바로가기

빌라 마르디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상리 600-11

'선동리 고분군'에서 6458.99km

바로가기

한국컴퓨터(주)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101, 204동

'선동리 고분군'에서 6458.99km

바로가기

(주)하이원추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심포리 231-3

'선동리 고분군'에서 6458.99km

바로가기

(주)한네트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선동리 고분군'에서 6458.99km

바로가기

(주)한국문학사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5동

'선동리 고분군'에서 6458.99km

바로가기

콩매아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광대리 270-3

'선동리 고분군'에서 6458.99km

바로가기

(주)한상개발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6동

'선동리 고분군'에서 6458.99km

바로가기

(주)케이씨티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 102동

'선동리 고분군'에서 6458.99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4호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1

'선동리 고분군'에서 6458.99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 D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2

'선동리 고분군'에서 6458.99km

바로가기

주변 관광지 숙소

곤지암리조트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도웅리 534

'선동리 고분군'에서 4.95km

바로가기

홈브리지 캐빈호스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 310 삼성에버랜드

'선동리 고분군'에서 13.43km

바로가기

(주) 더숨디앤씨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전대리 473-13

'선동리 고분군'에서 14.18km

바로가기

주식회사 에덴낙원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목리 417-4

'선동리 고분군'에서 14.81km

바로가기

블룸비스타호텔앤컨퍼런스주식회사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전수리 570-3

'선동리 고분군'에서 16.2km

바로가기

호텔더클래스

경기도 이천시 중리동 465

'선동리 고분군'에서 16.28km

바로가기

바인호텔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 2191번지 바인호텔

'선동리 고분군'에서 16.99km

바로가기

리젠시호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249-5

'선동리 고분군'에서 17.15km

바로가기

메이트호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261-4번지

'선동리 고분군'에서 17.38km

바로가기

판교 카인드 관광호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261-3

'선동리 고분군'에서 17.39km

바로가기

호텔스카이파크 센트럴 서울판교점(HOTEL SKYPARK CENTRAL SEOUL PANGYO)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261-1

'선동리 고분군'에서 17.41km

바로가기

호텔 루이스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 3251번지

'선동리 고분군'에서 17.49km

바로가기

블로그 리뷰

  • 선동리 고분군 | 왕릉과 궁궐 > 대구·경북 무열왕릉

    이 고분군은 무열왕릉과의 입지 관계로 보아 왕이나 왕족의 분묘로 추정된다. 또 무열왕릉과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김인문 묘와 김양의 묘가 있다. 둘 중 큰 것이 무열왕의 둘째 아들 김인문의 묘이고 작은 것은 김양의 묘로 알려져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무열왕릉 (대한민국 여행사전, 2009. 3. 20.)* hanjy9713님...

    한재영교수 영원불멸천명무한 인생사랑(2024-04-28 13:37: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