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수 덕 정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태성1길 199
'여산척화비'에서 1.7km
5
바로가기
문수사 목조여래좌상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천호산길 140
'여산척화비'에서 3.4km
9
바로가기
봉곡서원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황화로 290
'여산척화비'에서 4.4km
15
바로가기
용화산성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도천2길 35-108
'여산척화비'에서 5.2km
8
바로가기
금곡리 전통한옥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금곡3길 12
'여산척화비'에서 6.1km
29
바로가기
무명용사 기념탑
'여산척화비'에서 6.4km
32
바로가기
화암서원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산길 145
'여산척화비'에서 6.6km
15
바로가기
간재선생유적
'여산척화비'에서 6.7km
14
바로가기
안녕하세요. 여산 숲정이순교성지 장소 : 전북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301-16 여산숲정이순교성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301-16 여산 숲정이 성지...옛 동헌 뜰에는 당시의 박해 사실을 증명하듯이 대원군의 척화비가 서있다. 숲정이 성지 순례길 숲정이 성지 주변 주변이 공원으로 꾸며져 있어서...
지나간 여행일기 및 일상(2025-03-14 18:12:00)
생가, 여산향교 대성전, 남원사 미륵전, 문수사 대웅전, 백지사터, 현재는 관광객들에게 개방되어 있지 않은 호남 유일의 자연동굴인 천호동굴(천연기념물 177호), 대원군척화비, 천주교성지 등 많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두여...
데이터 고래의 여행(2024-10-01 22:34:46)
놓은 척화비(斥和碑)는 현재 호남지역에 단 세 개만 남아있는 귀중한 역사 유산입니다. 이 비석은 여산에서 천주교 신자들이 처형당했던 역사를 직간접적으로 증언하고 있는 기념물이기도 합니다. 또한 여산동헌은 고대소설 『이화전(李華傳)』의 무대이고, 병자호란 때의 피난 기록인 『병자일기(丙子日記)』와도 관련...
익산 이야기(2024-07-12 08:47:00)
풀까지 뜯어 먹었다는 일화가 전해 내려오는 곳이다. 여산 동헌 1980년 3월 8일 전라북도유형문화재 제93호로 지정되었다 동헌 오르편에 여산 척화비가 보인다. 여산척화비 礪山斥和碑 여산면 인근 초등학교에서 발견된 것을 여산동헌으로 옮겨왔다. 조선 후기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거치면서 백성들에게 서양에 대한...
유리안나의 소소한 이야기(2016-06-17 14:52:35)
제7호로 지정되었다. 여산면 인근 초등학교에서 발견된 것을 여산동헌으로 옮겨왔다. 조선 후기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거치면서 백성들에게 서양에 대한 항전...洋夷侵犯非戰則和主和賣國)”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여산척화비 [礪山斥和碑] (두산백과) 대원군 집정 때 1866년 병인박해가 심해...
길 떠나는 미나래 가족 이야기(2016-01-31 15:00:00)
여산척화비(礪山斥和碑) 익산시 향토유적 제7호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445-2(여산면 동헌길 13 (여산면)) 2002년 5월 30일 익산시 향토유적 제7호로 지정되었다. 여산면 인근 초등학교에서 발견된 것을 여산동헌으로 옮겨왔다. 조선 후기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거치면서 백성들에게 서양에 대한 항전의식을...
여행하며 역사도 만나고 맛집도 찾는...(2016-05-16 00:10:00)
많이 잡수신듯한 전라북도 기념물 제116호 느티나무가 위풍당당하게 서 있습니다. 청사 오른 편엔 익산 향토유적 제7호로 지정된 여산 척화비가 한자리 차지하고 있습니다. 조선 후기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거치면서 백성들에게 서양에 대한 항전 의식을 심어주기 위하여 흥선대원군이 전국에 세웠던 척화비 중의 하나...
가톨릭성지+순례여행(2017-04-11 14:35:00)
시대 후기의 건조물로 추정된다. 건축양식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목조건물로 지붕은 팔작지붕의 형태를 하고 있다. 앞부분의 주춧돌의 높이가 뒷면의 주춧돌...한칸 마련되어 마루 밑으로 사람이 드나들며 불을 땔 수 있게 하였다. 여산 동헌 느티나무 전라북도 기념물 제116호 이 느티나무의 유래에 대한 기록이 남아...
취월당 유람록(醉月堂 遊覽錄)(2011-07-20 13:02:18)
이 건물은 3단의 계단식 건물 터 제일 상단부에 들어서 있는데, 조선시대 후기에 건축한 것으로 보인다. 벽과 방의 구조는 근래 일부 개조하여 본 모습은...옛 동헌 뜰에는 박해 사실을 증명하듯이 대원군의 척화비가 서있다. [여산성당(礪山聖堂)] [여산성당(礪山聖堂)]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196 여산성당...
개미실사랑방(2011-07-28 00:10:00)
조선 후기 전라관찰사를 지냈고 문장가로 문명을 날린 이서구가 작사하여 불리어 왔다는 단가 호남가 가사에도 "여산석에 칼을 갈아 남평루에 올라앉으니 어떠한 방외지국이 경거하게 뜻을 두랴." 하여 여산이라는 이름의 유래를 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려 이전까지 황산(5만의 신라군과 계백의 오천 결사대가 전투를...
역사랑 문화랑 생태랑 - 밤재 황영선의 이야기 마당(2017-01-25 16:42: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