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성석린 선생 묘
'성여완 선생 묘'에서 0km
향토유적 22
바로가기
청해사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포천로2721번길 22
'성여완 선생 묘'에서 2.6km
향토유적 25
바로가기
조영원 선생 공적비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옥수로58번길 4
'성여완 선생 묘'에서 2.9km
향토유적 24
바로가기
이사검 선생 묘
'성여완 선생 묘'에서 2.9km
향토유적 38
바로가기
김중행 선생 묘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옥수로127번길 24
'성여완 선생 묘'에서 3.5km
향토유적 27
바로가기
조경 선생 묘
'성여완 선생 묘'에서 4.9km
향토유적 42
바로가기
박순 선생 묘 및 신도비
'성여완 선생 묘'에서 5.7km
향토유적 47
바로가기
금수정
'성여완 선생 묘'에서 5.8km
향토유적 17
바로가기
성석린선생 묘 바로 옆 능선에 있다. 성석린선생의 아버지이다. 성여완(成汝完) 묘(墓) 포천시 향토 유산(1986년 4월 9일지정) 조선전기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고일2리 산24 성여완(成汝完)[1309~1397]은 고려 후기 및 조선 초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창녕(昌寧)이고, 초명은 성한생(成漢生), 일명 광자(匡自)관련항목...
현스바비큐아카데미(2025-03-13 09:09:00)
세기 후기에 많이 보이는 비석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옥개석 양 측면에 조각되어 있는 쌍조의 모습과 옥개석 뒤 밑 부분에 2단씩 조각되어 있는 연목(椽木...가로 22㎝, 세로 49㎝의 규모를 지닌 이것은 성리학의 대가 성혼(成渾)선생의 문집책판으로 284매로 되어있다. 우계문집(牛溪文集)은 원집 6권과 속집 6권...
▶꼬끼오의 여행이야기(2025-03-21 21:54:09)
立石)’이라고 되어 있다. 위의 묘비 2기는 내용으로 보아 성여완의 세 아들인 성석린·성석용·성석인이 1401년(태종 1)에 건립하였음을 알 수 있다. [현황] 성여완 선생 묘는 1986년 4월 9일 포천시 향토 유적 제21호로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성여완 선생은 고려 후기 및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고려 왕조의 국운...
昌寧成氏(2014-01-30 14:09:00)
■성여완 선생 묘(成汝完先生墓) [생졸년] 1309년(충선왕 1)~1397년(태조 6) ↑소재지>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고일 2리 산24번지. ↑구 묘비석 ↑근대 새로세운 묘비석 ●성여완(成汝完) 1309~1397댸인 고려후기와 조선초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창녕(昌寧). 호눈 이헌(怡軒).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1336년(충숙왕 5...
야촌 이재훈(2009-01-25 03:37:56)
조선후기의 것으로는 믿기지 않을 만큼 매우 빼어나다. 특히 이 신도비는 뒷면에 ‘복천부부인 오씨비갈(?)명’이란 전액 아래 별도의 비문을 새긴 것으로...시대 임금의 글과 글씨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소중한 유적이다. 인평대군묘 위쪽에 있는 능창대군묘도 찾아보았다. 인평대군묘 재실 직전 좌측 길 따라...
문화재? 문화재!!(2023-10-08 23:30:00)
고려후기에 5대를 연이어 1품에서 3품 이상의 벼슬을 지낸 명문가였다. 성석린(정당문학,종2품) 성석용(밀직제학, 정3품) 성석연(지평, 종3품무관)은 성여완의 아들인데 이들도 고려의 높은 벼슬아치였다. 조선조에서 성석린은 영의정을, 성석용과 성석연은 대제학을 지낸다. 조선개국의 대들보 역할을 하였다. 조건...
명당 미학(2018-05-19 22:46:00)
은거한 성여완의 후손으로 함흥차사로 유명한 성석린의 종6대 후손으로 성혼은 성수침의 아들로 태어나 그의 문하에서 수학하다 휴암 백인걸 문하에서 성리학을...사람들은 공자의 위패가 모셔진 문묘에 들어가길 희망한다. 우계성혼선생도 정몽주 김굉필 조광조 등이 모셔진 우리나라 18명의 유학자 중 한 사람으로...
함박꽃나무의 용인 문화 관광 환경(2020-02-29 09:41:00)
부원군 성여완(汝完)의 아들, 성석린. 성석용(성삼문 조부)의 아우 성석연의 아들 성봉조는 세조와 동서지간으로 성종 때 우의정을 하였으며, ****참고로..상곡...성씨할머니의증조고시다. 즉.내,11대조비,창령성씨의아버지는,정혜공,성직선생이시고. 조고께서는형감을지내신,문준이시며.. 증조고께서는.참찬,문간공우계...
어풍대08블로그임다(2013-09-20 21:00:33)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문신을 지낸 성석린(1338∼1423)에게 내려진 왕지이다. 성석린은 공민왕 6년(1357)에 과거에 급제하여, 국자학유, 사관 등을 거쳐 조선시대에는 성균관사성, 제학, 영의정 등의 벼슬을 했다. 태조 이성계의 옛 친구로 태조와 태종 이방원을 화해시키는데 큰 역할을 한 인물이다. 이 왕지는...
재봉틀의 국어방(2010-09-08 19:48:00)
청욱선생( ***-****-****) 대한현공풍수지리학회 서울지부장 최종훈 드림 *아래의 자료는 당일 주최측에서 배부하여 드립니다. (1)성석연( ?-1414)묘: 서울시 서초구 우면동 형촌마을 여말. 조선 전기의 문신, 대제학. 형조. 호조. 예조 판서 창녕부원군 성여완(汝完)의 아들, 성석린. 성석용(성삼문 조부)의 아우...
대한풍수문화연구소(2004-12-10 11:44: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