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 지도 이미지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 35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
문화유적지정번호
시도유형문화유산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유물
불교조각
석조
불상
소재지지번주소
울산광역시 북구 대안동 739
지정일자
2019-01-10
소유주체구분
사유
향토문화유적소개
신흥사 석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본존인 아미타여래와 좌우 협시는 대세지와 관음보살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존불은 1649년 영색에 의해, 좌우 협시보살상은 이 보다 늦은 17세기 후반경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판단된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52-241-7292
관리기관명
울산광역시 북구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07-30
제공기관코드
3,720,000
제공기관명
울산광역시 북구

주변 관광 펜션

라온풀빌라 B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9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6476.75km

바로가기

더큐브하우스리조트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청산리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6476.75km

바로가기

한국컴퓨터(주)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101, 204동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6476.75km

바로가기

(주)한네트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6476.75km

바로가기

(주)하이원추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심포리 231-3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6476.75km

바로가기

빌라 마르디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상리 600-11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6476.75km

바로가기

(주)케이씨티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 102동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6476.75km

바로가기

콩매아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광대리 270-3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6476.75km

바로가기

(주)한상개발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6동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6476.75km

바로가기

(주)한국문학사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5동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6476.75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4호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1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6476.75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 D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2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6476.75km

바로가기

주변 관광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반구대안길 285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20.52km

바로가기

보문관광단지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로 446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22.34km

바로가기

외고산옹기마을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외고산 3길 36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27.08km

바로가기

작괘천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29.34km

바로가기

진하해수욕장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진하해변길 77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31.1km

바로가기

영남알프스 복합웰컴센터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알프스온천5길 103-8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31.4km

바로가기

대운산자연휴양림

경상남도 양산시 탑골길 270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31.66km

바로가기

대운산 내원암 계곡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대운상대길 382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32.52km

바로가기

통도환타지아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7길 68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33.08km

바로가기

간절곶 공원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간절곶해안길 205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33.33km

바로가기

내원사계곡(내원사)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내원로 207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34.87km

바로가기

통도사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36.61km

바로가기

주변 관광지 숙소

마우나오션 콘도미니엄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신대리 1265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3.22km

바로가기

솔레이 호텔

울산광역시 북구 산하동 1022-8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5.93km

바로가기

히든빌

울산광역시 북구 구유동 364-2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7.59km

바로가기

바다속으로

울산광역시 북구 어물동 1330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10.69km

바로가기

해비치

울산광역시 북구 어물동 214-7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11.24km

바로가기

호텔 다움

울산광역시 중구 반구동 22-6 호텔 다움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11.38km

바로가기

(주)성호리조트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괘릉리 1233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13.52km

바로가기

엘라포니시 풀빌라&호텔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 대본리 379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13.71km

바로가기

에이치에비뉴호텔 울산삼산점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 216-6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13.86km

바로가기

스타즈호텔울산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 224-17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14.01km

바로가기

여우비 관광호텔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 1640-6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14.06km

바로가기

판도라 호텔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동 1642-4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14.09km

바로가기

주변 관광 식당

계림성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상도동 609-10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39.24km

바로가기

부천성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이동 656-13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41.1km

바로가기

(주)해운대 암소갈비집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1225-1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58.98km

바로가기

대동할매국수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초정리 952-25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59.31km

바로가기

향옥정

경상남도 김해시 불암동 192-1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64.27km

바로가기

수손짜장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1062-10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64.56km

바로가기

가야마루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1104-9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64.83km

바로가기

경포장장어구이

경상남도 김해시 불암동 229-34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65.06km

바로가기

제이더블유웨딩컨벤션(주)

경상남도 김해시 삼정동 315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65.4km

바로가기

연지가든

경상남도 김해시 구산동 933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65.88km

바로가기

(주)초마김해점

경상남도 김해시 외동 1264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67.18km

바로가기

갑오삼계탕

경상남도 김해시 대청동 302-3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에서 74.65km

바로가기

블로그 리뷰

  •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 | 장마 속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로의 여행 중 만난 모전 석탑과 석조비로자나불 좌상의 가치

    특징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비로자나불의 특징이 있는데 왼손 검지를 오른손이 감싸 쥐고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비로자나불 좌상은 대구 동화사 석조 비로자나불상으로 9세기 양식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고 광배와 좌대까지 보전되어 있다고 합니다 목조 비로자나불 좌상도 있는데 국보입니다 합천...

    가자, 지금 ,길따라(2025-06-21 14:23:00)

  •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 | 경주 남산 삼릉-용잠마을 문화유산답사길(1) - 삼릉에서 선각여래육존불(2025.07.12.)

    신라 후기 조각 금오봉~용장사지 용장사지 삼층석탑(보물 186호) 자연암을 기단으로 활용, 독특한 삼층석탑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보물 187호) 부드럽고 온화한 미소, 신라 불상 양식의 정수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보물 913호) 절벽에 새겨진 대형 마애불, 압도적 존재감 6. 실제 산행기와 소요 시간 산행 시간: 보통...

    (주)건축사사무소 아라가야(2025-07-15 01:45:47)

  •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 | 성지 남산 삼릉, 삼릉곡 제2사지 석조여래좌상, 삼릉계곡마애관음보살상,삼릉계곡선각육존불,경주남산...

    대세지보살과 관음보살이 꽃쟁반을 받쳐들고 있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 ​ 삼릉계곡 선각육존불 석가여래 보현보살 문수보살 ​ 보살은 깨달음을 추구하면서 중생을 돕는 존재를 가리킨다. ​ 보현보살(普賢菩薩, 산스크리트어:समन्तभद्र, Samantabhadra, 사만타바드라)은 ​ 불교의 보살로써 이치, 선정, 실천을 맡고 있는데...

    여행 등산 깨알 팁 TiP(2025-05-04 23:32:00)

  •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 | 600년의 역사를 이어온 조선 왕실의 원찰, 흥천사(興天寺)

    있는 신흥사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계비 강씨의 능인 정릉의 조포사(제사에 쓰는 두부를 만드는 절)였다. 정릉이 이장되면서 몇 번 옮겨지다가 1794년(정조 18)부터 지금의 자리에 정착되었다. • 문의 및 안내: 02-929-6611 • 홈페이지: http://www.heungcheonsa.net 흥천사 · 흥천사 연혁 · 회주스님 인사말·법문...

    인기 여행 중(2025-06-28 00:10:00)

  •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 | 삼척 태백산 신흥사(新興寺)

    조선 후기에 현 위치인 삼척시 근덕면 동막리로 옮겨 중창하고 광운사(光雲寺)라 개칭하였다. 영담대사비명 이후 운흥사(雲興寺)로 개칭되었으나 화재로 소실...건물은 설선당. 1821년(순조 21) 삼척부사 이헌규(李憲圭)가 중창하면서 신흥사(新興寺)로 개칭되었다. 심검당 삼성각 진영각 요사채 종각 현존하는 당우로는...

    흐름과 변화(2024-12-10 15:34:00)

  •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 | 2025 궁궐문화원 정기답사, (3)법주사 성보박물관

    법주사 석조희견보살입상, 보은 법주사 복천암 학조화상탑, 보은 법주사 동종, 보은 법주사 소조사천왕상, 보은 법주사 사천왕문 등입니다. ​ 그 외 충청북도 문화유산 등 수많은 국가유산들을 보유하고 있는 문화유산의 보고입니다. ​ ​ ​ 보은 법주사 신법천문도 병풍 보물/조선시대 ​ 신법천문도(新法天文圖)는 1742...

    궁릉사(宮•陵•寺)둥이님의 블로그(2025-06-10 06:54:00)

  •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 | 오대산 월정사 성보박물관 방문후기

    삼척 신흥사 석조관음보살좌상 상원사 문수동좌상 복장 사리 박물관 안으로 들어서자, 은은한 조명이 비추는 유물들이 조용히 말을 걸어오는 듯했어요. 불상, 탱화, 불경, 목판, 그리고 목조 건축의 부재들까지… 하나하나가 오대산의 긴 시간과 깊은 신심을 고스란히 품고 있었습니다. 스님은 각 유물 앞에서 걸음을...

    브링유(2025-05-30 17:44:00)

  •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 | 경북 의성군 "지장사" (337번째)

    의성 지징사 극락보전 극락보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으로 조선 후기 건축물이다. 불단 위에는 18세기 중반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금동 아미타...신중 탱화와 칠성 탱화가 봉안되어 있다. 목조대세지보살좌상 의성 지장사 극락보전 목조대세지보살좌상 높이 84cm, 무릎 폭 32.5cm 의성 지장사 극락보전...

    사찰여행(2025-06-10 14:31:00)

  •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 | 월정사 성보 박물관, 월정사, 상원사

    의궤) 삼척 영은사 석가삼존 도와 복장 유물 평창 오대산 중대 신중도 영월 보덕사 사성전 후불탱화 오대산 월정사 중대 향각 석가모니도 삼척 신흥사 석조 관음보살 좌상 ​ 월정사 월정사는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五臺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문수 신앙의 중심이자 진신...

    자연과여행(2025-05-01 10:00:00)

  • 신흥사 석조관음·대세지보살좌상 | 이숙희의 돌아온 성보 8. 문경 운암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대세지보살좌상

    보살상, 석조아미타불상 한 구와 ‘신중탱’ ‘현왕탱’ ‘산신탱’ ‘후불탱’ 두 점, 부도 두 기 등이 있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1920년대 운암사에는 아미타불상과 관음·지장보살상으로 구성된 목조아미타삼존불상이 봉안되어 있었다는 것인데 회수된 불상은 관음보살상과 대세지보살상이라는 사실이다. 불상의 구성...

    옛책의 香氣 [書卷氣 文字香](2025-01-27 05:42: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