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담양중정사지마애상
'담양중정사지마애여래좌상'에서 0km
전라남도 담양군 유형 2-2
바로가기
담양 궁산리 구암지석묘
전라남도 담양군 수북면 구암길 48
'담양중정사지마애여래좌상'에서 2.1km
전라남도 담양군 유형 9
바로가기
대성사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추성1로 419-170
'담양중정사지마애여래좌상'에서 3.6km
전라남도 담양군 유형 4
바로가기
월산사
전라남도 담양군 월산면 월산길 50-9
'담양중정사지마애여래좌상'에서 5.2km
전라남도 담양군 유형 15
바로가기
월계리방형분
'담양중정사지마애여래좌상'에서 5.4km
전라남도 담양군 유형 17
바로가기
한재초교석불상
'담양중정사지마애여래좌상'에서 5.9km
전라남도 담양군 유형 2-4
바로가기
쌍계당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대치3길 14
'담양중정사지마애여래좌상'에서 6.1km
전라남도 담양군 유형 16
바로가기
담양철도교(오례철도교)
전라남도 담양군 봉산면 마항길 1
'담양중정사지마애여래좌상'에서 6.8km
전라남도 담양군 유형 10-1
바로가기
각형의 중정(中庭)을 중심에 두고 상설전시실인 선사실·역사실·불교미술실과 야외전시실을 배치하였다. 선사실에는 부여 지방을 중심으로 충남지역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 유물들을, 역사실에는 사비시대의 백제 유물과 삼국시대 유물들을 전시하였다. 불교미술실에는 사비시대 백제의 불교미술품들이 전시...
건 셀(2024-10-22 21:00:01)
마모가 심해 입상인지 좌상인지 분명하지 않지만 대체적인 윤곽선을 보면 입상인 것으로 여겨진다. 손의 형태와 얼굴 표정도 정확하지 않다. 담양 중정사지 마애여래좌상(磨崖如來坐像).. 2003년6월30일 담양군 향토유형문화유산 제2-3호로 지정되었으며, 역시 두기의 마애불 중 하나이다. 암벽 하단에 생긴 자연적인...
돌구름(2012-08-08 08:43:25)
대둔사지(大屯寺誌)>(1823)를 편찬한 혜장(1772~1811)은 창건자의 활동 시기로 볼 때 이들 기록은 모두 신빙성이 없다고 보았다. 따라서 지금으로선 대흥사의 정확한 창건 시점을 밝히기 매우 어려운 상태다. 그러나 현재 사찰 내에서는 대체로 아도화상의 창건설을 따르고 있다고 한다. 응진전 앞에 세운 삼층석탑이...
이 풍진 세상에(2023-07-15 06:31:32)
식 중정형 가람배치를 가진다. 김천 직지사 대웅전 가구의 구성 및 부재의 표현기법은 조선후기의 건축적 특징이 잘 표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임진왜란 직후 재건된 불전들의 경향을 보이며, 아름답고 뛰어난 기법을 보여주는 내·외부 많은 벽화와 불단이 남아 있는 등 보물로 지정해 보존할 역사적·예술적·학술적...
바롱이와 떠나요!(2024-01-05 05:50:22)
담양군 수북면 궁산리 용구산 중턱에 위치한 중정 절터의 문화유산 담양 중정사지 마애여래좌상 소재지 전라남도 담양군 수북면 궁산리 산 71 지정번호 향토유형문화유산 제2-3호 규 모 높이 2.4m 시 대 고려시대 지정일 2003년 6월 30일 궁산리 산기슭에 자리한 이 절터는 증정사터라고 하지만 고증할 길이 없다. 절터...
오아시스의 산(山) 사이로(2009-10-23 23:13:41)
있다. 마애불이 커 사진을 다 담을 수가 없었다. 여기에서 기거한 흔적이다. 자료조사. 교통 41-1. 야영장, 09시터미널출발. 하차 궁산리 담양 중정사지 마애여래좌상(潭陽 中井寺址 磨崖如來坐像) 전남 담양군 수북면 궁산리 산71 향토유형문화유산 제2-3호. 시대 고려시대 지정일 2003년 6월 30일 궁산리 산기슭에...
kwkm38(2017-08-31 17:59:00)
중정사지中井寺趾 병풍산 투구봉 네비;수북면 궁산리 367-13 주차;수북 궁산리 산46-1 용천사 기도처 담양 중정사지마애상;향토유형문화유산2-2호 담양 중정사지마애여래좌상;향토유형문화유산2-3호 려말이후 높이7m 폭3m(도인풍) 석탑옥개석 동학혁명전적지;전남 담양군 수북면 궁산리 산 90 군량미 저장소 출처 : 우리...
문화재정보(2016-06-29 00:43:37)
폐사지로 중정사지 혹은 불당터로 불리운다. 사찰의 연혁, 폐사 시기는 전하지 않는다. 20세기 초반 간행된 사탑고적고네도 사지의 2기 마애불에 대한 언급이...로 표기되어 있다)으로 설명하고 있다. 주나라 천자? 아니면 명나라 태조? 담양군청 홈페이지 글을 보자. " 얼굴과 어깨 및 몸통의 외곽선을 4조선으로 구획...
옛님의 숨결. 그 정취를 찾아(2013-10-11 07:32:04)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은 충주박물관 실내전시관에 전시되어 있다. 머리는 나발(螺髮)에 육계(肉髻)가 솟아 있고, 이마에는 백호공이 뚫려 있다. 눈은 선정...충주박물관으로 옮겨온 것이다. 이 불상과 삼층석탑이 있던 곳은 고려시대 사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구암리 석불입상은 전체가 하나의 화강암으로...
임종헌의 세상사는 이야기(2016-11-09 17:29:22)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을 비롯 선사대사 유물관에는 보물88호인 탑산사 동종등 많은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고, 국내최대 부도전에는 서산대사 부도등 다양한 문화유산과 설화 등을 만날수 있다. ‘두륜신 대둔사’ 궁금해 하는 사람이 많았던지 편액 아래에 '대흥사 옛 이름'이라고 설명해 놓았다. 편액 글씨는 전주 명필...
태평양을 향하여(2015-08-22 07:20:56)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