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금신보 지도 이미지

양금신보 48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양금신보
문화유적지정번호
제308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기록유산
소재지도로명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35
소재지지번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169-17
지정일자
2002-02-14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강태중
규모
1책
조성시대
조선 광해군 2년(1610)
이미지정보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region=1&searchCondition=EC9691EAB888EC8BA0EBB3B4&searchCondition2=&ccbaKdcd=31&ccbaAsno=03080000&ccbaCtcd=38&ccbaCpno=3413803080000&ccbaCndt=&ccbaLcto=&stCcbaAsdt=&endCcbaAsdt=&heade
향토문화유적소개
양금신보는 조선 광해군 2년(1610)에 악사 양덕수(梁德壽)가 엮은 거문고 악보임.양덕수가 임진왜란을 피해 남원에 은거하고 있을 때 거기서 옛 친구인 임실현감 김두남(金斗南)을 만나 그의 권유에 따라 엮은 것임.
관리기관전화번호
055-740-0698
관리기관명
국립진주박물관
데이터기준일자
2024-01-03
제공기관코드
5,310,000
제공기관명
경상남도 진주시

블로그 리뷰

  • 양금신보 | 국가유산청, 해인사·성주사 불상 2건, 국가 보물 지정 예고

    조선 후기 병진년 가을에 편찬된 가야금 고악보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가야금 관련 문헌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야금 가곡 반주 음악을 담은 2권 1책 형식의 필사본으로, 총 59면 중 앞의 39면은 악보와 연주법, 뒷부분 20면은 한방의학 관련 글로 구성돼 있다. 현 소장처는 대전시립연정국악원이다...

    imagekim님의 블로그(2025-07-04 07:00:00)

  • 양금신보 | 향당 교주(鄕唐交奏) 와 삼현육각(三絃六角)

    고려 향악곡들이 임진왜란이 끝나고 불안정한 시기였던 1610년에 편찬된 <양금신보>에서는 그 곡명이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미 이 시기에 전승되지 않은 것...그 제목만 전하게 되는 변화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까지 전해진 중국에서 수입된 당악곡은 보허자⋅낙양춘인데, 이 당악 계통의 음악들...

    풍각쟁이(2025-07-19 11:00:00)

  • 양금신보 | [공지] 고악보 서발(8) 낭옹신보

    조선 후기 김성기(1649~1725)의 거문고 가락을 모은 악보로 『어은보(漁隱譜)』와 『낭옹신보』 2종이 전한다. 종래 막연하게 『어은보』가 정본에 가깝고 1779년(己亥)의 것이며 『낭옹신보』(1788, 戊申)가 좀 더 나중 것이라 추정되어 왔으나, 최선아는 수록 악곡을 바탕으로 『낭옹신보』가 더 고형으로 무신년을...

    모르는 요셉(2024-11-12 16:27:00)

  • 양금신보 | 2025 중등 임용고시 서울 최종합격 수기 ( 교직이수 / 피아노 전공 / 재수 / 1차 +4.33 / 최종 +9.24 )

    어! 양금신보스럽게 생겼다”와 같은 수준에 도달하게 되더라고요. ‘악보’를 본다는 느낌보다는 ‘그림 작품‘을 본다는 느낌으로 접근했어요. ​ 처음엔 교재에 수록된 고악보 관련 이론과 악보형태를 동시에 살펴 보았고, 이론을 어느 정도 암기한 후에는 악보만 따로 모으는 작업을 하여 카드 맞추기 게임하듯이 공부...

    버섯구이님의 블로그(2025-02-20 14:50:00)

  • 양금신보 | 한국 전통 음악 가곡: 역사와 특징, 그리고 현대적 해석

    조선 시대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인 정형화가 이루어졌습니다. 고려 말기: 《양금신보(梁琴新譜)》에 따르면 가곡의 원형은 만대엽(慢大葉), 중대엽(中大葉), 삭대엽(數大葉)으로 구분됨 조선 전기: 궁중과 사대부층에서 주로 연주됨 조선 후기: 시조 문학과 결합하며 발전, 남창(男唱)과 여창(女唱)으로 구분됨 근현대...

    하늘을 여는 우리의 소리(2025-03-04 18:05:29)

  • 양금신보 | 동서고금을 초월한 음악 이야기(국악과 서양음악의 접점들)

    악학궤범>에는 음악에 7개의 조가 존재한다고 했는데 광해군 시기의 <양금신보>에는 4개의 조만 살아 남았다. ​ 이 중에서 가장 높았던 우조(위라는 뜻) 평조(황조평조), 우조 계면조 2개가 보편화되어 지금까지 전한다. 개론서를 보면 조선 후기에는 사람들이 높은 음역을 좋아해서 높은 우조의 곡이 많이 작곡...

    미래형교사:에듀테크로 신나는 수업(2025-04-08 01:06:00)

  • 양금신보 | 국립국악박물관 문헌실

    영인본) 조선시대 전기 / 1470~1495년(성종 연간) ​ 보물 제 283호 금보 (영인본) 조선시대 중기 / 1572년(선조 5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 제 594호 양금신보 (영인본) 조선시대 중기 / 1610년(광해군 2년)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유산 제 546호 삼죽금보 (영인본) 조선시대 후기 / 1841년(헌종 7년) ​ 서울특별시 유형...

    문화유산 사진첩 《STORY:GE》(2024-08-31 22:40:00)

  • 양금신보 | 국악개론9

    수 있는 조였음을 알 수 있다. 삼지로 대표되는 낙시조는 나중에 평조가 되었 고, 팔조로 대표되는 우조와 함께 조선 후기로 이어졌다. ② 「양금신보」의 평조와 우조 1610년에 편찬된 『양금신보』라는 거문고 악보에는 거문고 악조로 평조와 우조 두 가 지가 소개되어 있다. 이 악보에 의하면 평조는 거문고 대현 제...

    젠틀원더우먼(2023-12-10 07:39:53)

  • 양금신보 | 예술체육 (藝術體育)Art and Physical Education : 음악학 (音樂學) Musicology ⇒ 한국음악학 (韓國...

    조선 후기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궁중음악문화는 쇠퇴하고, 선비들의 풍류음악(정악, 正樂)과 서민들이 즐기던 민속음악이 크게 발달하였으며, 갑오경장 이후 서양음악이 유입되면서 ‘창극(唱劇)’이라는 새로운 형태가 발전되었다. ​ 19세기 말부터 유입된 서구음악과 일제의 식민지정책은 우리나라의 음악...

    열린생각(2024-09-02 11:50:00)

  • 양금신보 | 10/26 - 고악보 1

    수록곡: 만대엽, 한림별곡, 여민락, 보허자 등 ​ ​ *조선 -전기: 경안법(농현, 퇴성, 시김새X) -과도기: 금합자보(경안,역안 모두) -후기: 역안법(시김새 풍부) -> 양금신보 (역안 多) 양금신보 양덕수가 지은 거문고악보 만대엽, 중대엽 수록 (삭대엽은 악보없이 언급만) 가곡 연구에 귀중한 자료 (양금신보 중대엽에 4개...

    꿈동산(2024-10-26 20:47: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