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 지도 이미지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 32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
문화유적지정번호
제648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고문서
소재지도로명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501
소재지지번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가좌동 900
지정일자
2019-08-01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경상국립대학교
규모
206점
조성시대
1895년~1921년
이미지정보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oid=001&aid=0011008173
향토문화유적소개
1895년부터 1921년까지 고종과 명성황후를 위한 다례와 조석 상식을 올리기 위해 제작된 206점의 고문서임.
관리기관전화번호
055-772-0114
관리기관명
경상대학교
데이터기준일자
2024-01-03
제공기관코드
5,310,000
제공기관명
경상남도 진주시

주변 관광 펜션

라온풀빌라 B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9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6596.56km

바로가기

더큐브하우스리조트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청산리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6596.56km

바로가기

빌라 마르디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상리 600-11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6596.56km

바로가기

(주)한네트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6596.56km

바로가기

(주)하이원추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심포리 231-3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6596.56km

바로가기

한국컴퓨터(주)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101, 204동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6596.56km

바로가기

(주)한상개발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6동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6596.56km

바로가기

콩매아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광대리 270-3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6596.56km

바로가기

(주)케이씨티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 102동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6596.56km

바로가기

(주)한국문학사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5동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6596.56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4호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1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6596.56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 D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2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6596.56km

바로가기

주변 관광지

진주성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626(본성동)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4.08km

바로가기

진양호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1번길 130(판문동)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6.03km

바로가기

경상남도 수목원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수목원로 386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17.98km

바로가기

하동레일파크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 경서대로 2446-6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19.26km

바로가기

이병주문학관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 이명골길 14-28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19.68km

바로가기

실안관광지

경상남도 사천시 노을길 138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24.24km

바로가기

하동코리아짚와이어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경충로 493-9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26.78km

바로가기

하동 플라이웨이 케이블카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경충로 461-7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26.9km

바로가기

당항포관광지

경상남도 고성군 회화면 당항만로 1116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29.12km

바로가기

벽계야영장

경상남도 의령군 궁류면 벽계로 201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31.57km

바로가기

벽계관광지

경상남도 의령군 궁류면 벽계로 201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31.57km

바로가기

산청중산관광지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지리산대로 525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34.67km

바로가기

주변 관광지 숙소

진주KAI관광호텔

경상남도 진주시 정촌면 예하리 1301-10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3.25km

바로가기

주식회사 호텔동방

경상남도 진주시 옥봉동 803-4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3.75km

바로가기

사천관광호텔 주식회사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 수석리 277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8.45km

바로가기

지수남명진취가

경상남도 진주시 지수면 승산리 209-9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18.03km

바로가기

아르비토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비토리 산 9-9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22.42km

바로가기

비토섬신우리조트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비토리 255-4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22.62km

바로가기

남일대리조트 호텔

경상남도 사천시 향촌동 707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25.48km

바로가기

라피스호텔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대벽리 178-26번지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27.22km

바로가기

비바체 하동호 리조트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상이리 301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28.9km

바로가기

오션스파호텔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신월리 592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31.08km

바로가기

신세계 리조트

경상남도 산청군 금서면 지막리 1118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34.9km

바로가기

남해 사우스케이프 오너스클럽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진동리 1332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35.71km

바로가기

주변 관광 식당

의령소바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서동리 491-30 의령소바본점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23.35km

바로가기

고구려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두척동 455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41.32km

바로가기

무학산오리하우스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교방동 468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42.16km

바로가기

한우미담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유산리 115-3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42.39km

바로가기

유로파크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해운동 68 유로스퀘어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42.44km

바로가기

하동가 식육식당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월포동 2-121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42.5km

바로가기

대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자산동 297-6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42.78km

바로가기

샌드비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구복리 226-2 버팔로레스토랑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43.33km

바로가기

수국정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구복리 376-1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43.54km

바로가기

백제령삼계탕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중성동 25-3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43.62km

바로가기

신포횟집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신포동2가 121-11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43.64km

바로가기

백제13월덕동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덕동동 196-1 백제삼계탕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에서 43.83km

바로가기

블로그 리뷰

  •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 | 전시_공경과 나눔의 밥상, 조선 궁중음식 들여다보기

    조선 후기에는 경기, 충청, 전라, 제주, 경상, 강원, 황해, 함경에서 진상품을 올렸다. (평안도는 중국 사신 접대의 부담이 있어서 제외) 지역 식재료를 궁궐까지 운반할 때, 식재료의 부패와 손상을 줄이기 위해 해산물은 말리거나 젓갈로 만들었고, 얼음을 사용하기도 했다고. 가뭄이나 태풍 등 천재지변이 일어났을...

    언니의 아지트(2024-12-15 06:56:00)

  •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 | 전남 보성 가볼 만한 곳, 보성 한국차박물관

    조선 후기 19세기에 새로운 부흥기를 맞는다. 이때 차 문화 부흥의 중심인물로는 해남 대흥사의 혜장(惠蔣), 초의(草衣), 범해(梵海) 등 승려와 정약용, 김정희 등 사대부들이었다. 이중에서도 초의선사는 '동다송 (東茶頌)』, 『다신전(茶神傳)』을 저술하고, 사대부들 과의 학문적 교류를 통해 차 문화 부흥의 중요한...

    생각의 섬(2024-08-06 09:29:00)

  •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 | 함녕전(咸寧殿)은 효덕전이라부르기도하다

    순종이 황제로 즉위하고 함녕전에 잠시 머물긴 했지만, 곧바로 창덕궁으로 이어했습니다. 결국 고종이 공식적으로 돌아온 것은 이미 국권을 뺏긴 후인 1912년...불렀습니다. 덕홍전(德弘殿)은 함녕전 옆에 있으며 원래 이곳에는 한때 명성황후의 빈전과 혼전으로 쓰이던 경효전(景孝殿)이 있었습니다. 1904년 대화재...

    내가 기억하고 싶은것(2024-03-26 05:59:00)

  •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 | 四字成語 총정리 799 (궁심탄광~궁정문학)

    조선 후기의 문신 박규문이 경기도 부천 지역에서 머물며 만든 문집. 1권 1책의 필사본. ​ 弓王古都 有感 (활 궁, 임금 왕, 예 고, 도읍 도, 있을 유, 느낄 감) 조선 전기의 문신 강회백이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홍원리에 있던 궁예의 옛 도읍지를 보며 지은 한시. 칠언율시七言律詩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거정徐居正이...

    햇살의 물고기학당(2024-06-12 22:45:00)

  •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 |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년 장서각 특별전·기획전 온라인 전시회 개최

    조선 후기 중흥의 발판을 마련한 내용을 조명했다. 〈기획전시-‘ᄇᆞᆯ긔, 물명으로 읽는 왕실문화’〉 기획전 ‘ᄇᆞᆯ긔, 물명으로 읽는 왕실문화’는 장서각 소장 왕실고문서 왕실발기류 948건 중 가장 대표적인 24건을 소개한다. 이 전시는 왕실 고문서로서 발기의 의미와 그 종류를 파악하고 왕실 의례에 활용되는 복식과...

    이강기(2022-12-09 11:20:47)

  •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 | CPN문화재TV - 유학자 조식 선생 유물과 고종황제 궁중 음식문화 자료, 문화재 되다!

    206점 중 명성황후와 관련된 다례발기는 2건이며, 나머지 204점은 고종황제와 관련된 다례발기이다. ​ 특히, 각각의 다례에서 고종과 명성황후가 살았을 때 실제...개수가 날짜별로 자세하게 기록돼 있어 궁중의 상차림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 궁중의례 연구는 물론 음식문화 연구 등에 중요한 자료다. 2002년 허영중...

    CPN문화유산(2019-08-08 11:14:00)

  •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 | [스크랩] 인사동, 북촌 한옥마을을 돌다.( 1)

    고치고 황제의 칭호를 사용한 것을 기념하는 의미도 담겨있다. 기로소는 정2품이상의 문관 중 70세이상 우대하는 제도로, 고려때의 기영회를 계승한 관제이다...숙종과 영조등이 60세를 바라보는 나이라 하여 미리 앞당겨 들어간것을 본받아 고종은 신하들의 건의에 따라 51세에 들어가게되었다. 동아일보 사옥 ( 서울...

    young poet(2010-11-10 08:35:40)

  •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 | 국립고궁박물관 관람기(4-1).

    조선 후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품. 왕실에서 산모가 미리 숙지해야 할 출산 전후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먼저 출산하는 장소, 산통이 시작되면 주의해야 할 사항, 해산 전에 가려야 할 음식 등을 기록하였고 그 뒤로 해산 직후 주의사항과 신생아의 태독 해독법, 배꼽 처리하는 법, 젖 먹이는 법...

    cds9494님의 블로그(2018-09-12 08:25:00)

  •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 | <대한제국기 황실 의례와 의물> 대한제국의 역사를 들여다보다

    무엇인지 자세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대한제국기 선원전의 다례와 제기 이 부분에서는 선원전의 다례와 제기를 통해 대한제국기 의례와 의례기의 변화 양상과...선원전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는데, 태조 및 고종의 직계 조상들을 황제로 추숭하고 제향 지내는 장소로서 고조황제의 정통성을 확립시키는 데 도움...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식 블로그(2021-10-18 20:38:00)

  • 고종황제·명성황후 다례발기 | 고종 · 명성황후 제사 상차림서 잊혀진 우리 음식 177종 발견

    발견 '나복황볶기탕' '조아승' 등 궁중음식 매뉴얼 '발기' 찾아 1920년 4월15 일 고종의 혼백을 모신 효덕전에서 다례를 행할 때 들어간 음식목록을 담은 다례 발기. 고종 황제(재위 1863~1907)와 그의 비 명성황후(1851~1895)의 장례기간과 사후 절기별 제사 때 바쳤던 궁중음식 498종의 명칭을 적은 목록 문서인 '발기...

    기주짱의 하늘꿈 역사방(2011-11-10 22:48:11)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