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남산성 지도 이미지

서천남산성 27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서천남산성
문화유적지정번호
도지정기념물 제96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성터
소재지지번주소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 산22-1
지정일자
1995-03-06
소유주체구분
국유
소유자명
서천군
향토문화유적소개
충청남도 서천군 남산 정상부를 둘러 쌓은 산성으로, 가로·세로 30∼40㎝ 크기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성벽을 쌓았다.둘레 620m의 성은 폭 2.6m의 남문터와 폭 2.5m의 서문터가 확인되었으며 성안에는 6∼9m의 통로가 성벽을 따라 돌아가고 있다. 현재 성벽은 남쪽과 북쪽에 남아있고, 벽이 붕괴된 지점에서는 삼국시대 토기조각과 기와조각이 발견되었다. 발견된 유물을 통해 삼국시대에도 이미 주거지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석축의 둘레가 1,545척이고 성안에는 우물이 1개있었으며, 세종 때 지세가 좋지 못하여 읍성을 옮겼다고 한다. 이를 통해 적어도 이곳이 세종 때까지는 산성이나 읍성의 기능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이곳은 주위를 조망할 수 있고 서해의 움직임과 금강 입구를 감시할 수 있어, 백제 때부터 변방을 지키는 요충지역였을 것으로 보인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41-950-4764
관리기관명
충청남도 서천군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04-17
제공기관코드
4,580,000
제공기관명
충청남도 서천군

블로그 리뷰

  • 서천남산성 | 신호서정맥(금북기맥) 5구간 서천 남산(南山 146.9) 24.03.02

    서천읍 남산리 서천남산성 사이의 고개지점이다. ​ 충남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 경계의 남산(南山 146.9)은 상고시대부터 조선조 초까지...봉남리, 서천군 서천읍 남산리 경계의 신산(新山 137)은 지형도에 표기되지 않은 봉우리로 남산과 500m거리로 인접한 봉우리 지점이다. ​ 8. 산행후기 삼겹살...

    걸음동무, 걸음동무의 산행 블로그(2024-03-03 07:32:00)

  • 서천남산성 | 서천 중태산~남산

    금강으로 빠져드는총 69km의 산줄기다, 남산 정상부에 축조된 길이 468m의 서천남산성은 동서 방향으로 산줄기가 이어지는데 남쪽은 급경사를 이루고 북쪽은 두...매재 해발60m ​ 14:23. 남산 해발146.9m ​ 14:55. 종료..봉남리 해발10m 후기: 보슬비가 흩날리는 이번 산길의 호서정맥이 해발고는 낮아도 찾는이 드물어선...

    풍경속으로(2024-02-22 13:32:00)

  • 서천남산성 | [산유화 남산성]산유화야, 님을 떠나보내는 곳(서천 남산성을 찾아)

    직전 "서천남산성" 이정표 발견 좌측 마을을 지나 주차 후 임도를 따라 산으로 오름 2. 탐방 산 아래 취락마을 골목같은 길을 따라 오르려니 마을 끝으로 언듯봐도 아낙네들의 빨래소리가 들릴 만한 우물터가 보인다. 한 때 이 우물은 남산성 백제 군사들이 떠날라 마시었을 테고 한 때 이 우물은 남산성 인근 현민들이...

    자국의 美(2011-06-28 18:23:00)

  • 서천남산성 | 료녕성 개원시 -연개소문의 근거지 무성-부여성

    개성을 천남생과 연합하여 부여성을 점령후 만여명을 포로로 잡고 부여지역 40여성을 정복하여 포로 3만여명을 참수한다. 단동의 서남인 대행성(낭낭성)을 점령...왕성에 부여부를 설치하여 현재의 개원시 후삼태촌으로 평원성과 황룡산의 산성이 있고 부여부에 대나주 연진주 동산현 영녕현을 세운다. 부여의 성동 30리...

    중국과 세계의 역사 인문 지리(2017-05-06 18:43:00)

  • 서천남산성 | 우리고장의 문화재 탐방 <2> 성곽-산성(山城)

    혼축성인 반면, 서쪽 성벽은 순수 토축성으로 확인되었다. 그 주변에서 고려후기의 청자조각과 기와조각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백제성이라기보다는 고려후기의...발굴지의 모습과 문화재를 훼손하고 있는 방송국 송신탑. ▲ 서천남산성(舒川南山城) 서천남산성은 시도기념물 제96호로 서천읍 남산리와 마서면 봉남리의...

    뉴스서천(2007-06-24 12:36:00)

  • 서천남산성 | [홍익인간 319] 사국(四國) 시대 백제(百濟) 연대기 1

    부여 후기에 북부여가 쇠퇴하자 한(漢)과 우호적 관계를 지녔던 것으로 보인다. 서기전108년에 발해만 유역의 낙랑은 소위 한사군(漢四郡)이 되어 서기313년에 고구려에 의하여 완전히 소멸되기까지 낙랑군이라는 이름으로 생멸을 반복하였는데, 한반도 평양의 낙랑은 서기37년에 고구려의 호동왕자로 인하여 고구려에게...

    물음표 느낌표 ... 마침표™ 그리고 예향(睿響)(2018-01-23 12:56:34)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