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정사 부도군 지도 이미지

월정사 부도군 59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월정사 부도군
문화유적지정번호
문화재자료 제42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석조문화재
소재지도로명주소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50
소재지지번주소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산1
지정일자
1984-06-02
소유주체구분
사유
소유자명
월정사
향토문화유적소개
추후 업데이트 예정
관리기관전화번호
033-339-6617
관리기관명
월정사
데이터기준일자
2021-09-15
제공기관코드
4,280,000
제공기관명
강원도 평창군
홈페이지 주소
전화번호

주변 관광 펜션

라온풀빌라 B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9

'월정사 부도군'에서 6354.18km

바로가기

더큐브하우스리조트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청산리

'월정사 부도군'에서 6354.18km

바로가기

빌라 마르디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상리 600-11

'월정사 부도군'에서 6354.18km

바로가기

(주)케이씨티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 102동

'월정사 부도군'에서 6354.18km

바로가기

(주)하이원추추파크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심포리 231-3

'월정사 부도군'에서 6354.18km

바로가기

한국컴퓨터(주)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101, 204동

'월정사 부도군'에서 6354.18km

바로가기

(주)한국문학사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5동

'월정사 부도군'에서 6354.18km

바로가기

콩매아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광대리 270-3

'월정사 부도군'에서 6354.18km

바로가기

(주)한상개발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206동

'월정사 부도군'에서 6354.18km

바로가기

(주)한네트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산 154-1번지

'월정사 부도군'에서 6354.18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4호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1

'월정사 부도군'에서 6354.18km

바로가기

라온풀빌라 D동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신평리 117-12

'월정사 부도군'에서 6354.18km

바로가기

주변 관광지 숙소

이랜드파크 켄싱턴 호텔 평창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간평리 221-1 외 8필지

'월정사 부도군'에서 5.35km

바로가기

(주)현대엘리엇호텔앤드리조트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차항리 266-14

'월정사 부도군'에서 9.02km

바로가기

알펜시아 에스테이트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용산리 226-73 외 2필지

'월정사 부도군'에서 10.78km

바로가기

인터컨티넨탈 알펜시아 평창 리조트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용산리 225-3 외 9필지

'월정사 부도군'에서 11.21km

바로가기

서림관광호텔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하진부리 100-48 서림호텔

'월정사 부도군'에서 11.37km

바로가기

홀리데이인스위트(2차)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용산리 219-9

'월정사 부도군'에서 11.38km

바로가기

케이에이치강원개발 알펜시아타운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용산리 195-1

'월정사 부도군'에서 11.41km

바로가기

홀리데이 인 리조트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용산리 200-3

'월정사 부도군'에서 11.57km

바로가기

아이원리조트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용산리 161-1

'월정사 부도군'에서 12.11km

바로가기

용평5차연립형휴양콘도미니엄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용산리 149-3

'월정사 부도군'에서 12.71km

바로가기

용평5차단독형휴양콘도미니엄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용산리 139-1

'월정사 부도군'에서 12.73km

바로가기

드레곤밸리 호텔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용산리 130

'월정사 부도군'에서 12.89km

바로가기

블로그 리뷰

  • 월정사 부도군 | [2025. 06.07]월정사 성보박물관2. 2층도 샅샅이 살펴 봅시당~~~ 불화와 나한상들 @_@

    고려 후기, 공민왕 대 왕사에 임명되어 불교계를 이끌었던 선승. 해부(寧海府)에서 태어났다. 속성은 아(牙)씨, 속명은 원혜(元惠), 법명은 혜근, 법호는 나옹 또는 강월헌(江月軒)이다. 아버지 아서구(牙瑞具)의 벼슬은 선관서령(膳官署令)이었고, 어머니는 영산군 사람 정씨(鄭氏)이다. 1376년(우왕 2) 경기도 여주...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고 ㅋㅋ(2025-08-18 17:25:00)

  • 월정사 부도군 | 월정사 석탑과 적멸보궁의 연원. 부록(1)

    고려후기 문인이자 관료로, 원종(元宗), 충렬왕(忠烈王), 충선왕(忠宣王), 충숙왕(忠肅王)대에 모두 관직을 역임하였다. 민지는 충렬왕 21년(1295) 보각국사...발(楓岳山 長安寺事 蹟記跋)·33년「보개산석대기 (寶盖山石臺記)」 및「오대산월정사사적 (五臺山月精寺事蹟)」강릉 굴산사조와 오대산에 많은 저술도 하였다...

    후세백작의 지평(2025-06-20 23:42:00)

  • 월정사 부도군 |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문화축전

    월정사 부도헌다례 2. 부대프로그램 - 오대산 승시 - 오대산 전국학색 백일장 및 사생대회 - 탄허대종사 선서 함양 전국휘호대회 - 불교합창단 찬불가 경연대회 3. 소비자 참여 프로그램 - 탑돌이 참여 프로그램 ◎ 주위 관광 정보 ⊙ 오대산 선재길 - 홈페이지 https://www.durunubi.kr/ - 국립공원관리공단 오대산...

    대한민국 축제공연행사 정보(2025-09-26 12:22:49)

  • 월정사 부도군 | 양양 국립 미천골 자연휴양림(강원 양양군 서면 미천골길 115 , 서면 미천리 산 5) & 선림원지

    당시 월정사와 함께 불에 타 그 잔해만이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조성 내력과 연대가 새겨져 있던 선림원지 동종은 오대산 상원사의 동종, 성덕대왕 신종과 더불어 통일신라시대의 가장 빼어난 유물 중의 하나였다. 그렇다면 선림원지를 창건한 순응법사는 누구인가 ? 순응(順應)법사는 어느 때 태어나고 어느...

    태평양을 향하여(2025-09-06 06:46:22)

  • 월정사 부도군 | 평창...월정사 승탑원(2)

    상원사 답사(적멸보궁 제외). 4시 일행들과 만날 귀가하려면 잠시 쉴 틈이 없습니다. 월정사 승탑원 강원 문화유산 자료이며 지정 명칭은 월정사 부도군입니다. 조선후기 종형 부도를 비롯하여 근대에 봉안한 승탑이 있습니다. 2012년 답사하였으나 오늘은 각각 사진을 찍을 목적으로 들렸습니다. 스님들의 행장을 쉽게...

    옛님의 숨결. 그 정취를 찾아(2024-11-05 06:39:59)

  • 월정사 부도군 | 강릉 보현산 보현사.

    강릉시 성산면 보현길 396에 위치한 보현산 보현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인 월정사의 말사로,보현보살이 창건하셨다는 설화가 전하여 내려오고 있는데 650년...신 범일국사의 법맥을 이은 큰 스님으로. 범일국사가 889년에 입적하자 부도와 비석을 세우고 민규 알찬의 지원 아래 보현사에 주석하게 되었고. 보현사...

    살포시 떠나는 맛집 여행, 그리고 캠핑 이야기.(2025-10-11 11:32:00)

  • 월정사 부도군 | ♧원효를 만나다♧106 홍천-수타사(공작산)

    본사인 월정사의 말사이다. 수타사는 708년(신라 성덕왕 7)에 창건하여 우적산(牛寂山) 일월사(日月寺)라 하였다. 창건 이후 영서 지방의 명찰(名刹)로 손꼽히던 일월사는 1568년(선조 2) 현재 절의 위치로 옮겨 지으면서 공작산 수타사(水墮寺)로 개칭하였다.임진왜란 때 병화로 완전히 불타버린 수타사는 40여 년간...

    aire0117님의 블로그(2025-09-30 13:40:00)

  • 월정사 부도군 | 삼척시 근덕면 태백산 신흥사(20250828)

    1771년(영조 47)에 세운 화운당(華雲堂)의 부도를 비롯하여 송파당(松波堂)·주운당(珠雲堂) 등의 부도이며, 비는 1771년에 세운 화운당대사비와 이 절의 중창주...한 석가여래와 문수·보현 보살로 구성된 삼존불은 전형적인 조선 후기의 불상이다. 좌우의 문수·보현보살이 바깥쪽 손을 들지 않고 두 손 모두 무릎...

    전국 전통사찰(2025-09-01 21:44:00)

  • 월정사 부도군 | 평창 오대산 상원사

    조선 후기의 목조상으로, 불교 미술사적 가치가 높아 2011년 강원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평창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왕상 강원 유형문화유산 사진출처: 국가유산청 문수전 불단 좌측에 제석천단이 마련되어 있다. 사진은 보관을 벗은 모습과 쓴 모습의 제석천이다. ​ 조선 인조23년(1645)에 조성된 제석천...

    세월은 흘러 유적을 남기고(2025-10-04 13:38:00)

  • 월정사 부도군 | [대구 군위군] 자연닮은 치유농장

    떨어진 부도 골에 있었으나 외지 사람들이 자기 조상의 묘를 안장하기 위해 1928년 서편으로 50m쯤 옮겨 놓은 것을 1978년에 인각사 경내로 다시 옮겼다고 한다...왕희지의 유필을 집자하여 만들었으며, 지금은 형체가 많이 훼손되었으나, 비문은 오대산 월정사에 사본이 있어 알 수 있다. ⊙ 군위 인각사지 - 홈페이지...

    대한민국 숙박 정보(2025-09-22 13:05:59)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