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선무원종공신녹권
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선하동길 56
'개천사 부도군'에서 5.1km
화순군 문화유적 제11호
바로가기
한달문 옥중서한
'개천사 부도군'에서 5.1km
화순군 문화유적 제31호
바로가기
고문서(6점)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벽동길 9-13
'개천사 부도군'에서 6.6km
화순군 문화유적 제1호
바로가기
벽지리 충효사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벽동길 9-13
'개천사 부도군'에서 6.6km
화순군 문화유적 제2호
바로가기
화순 오류리 효자각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오류촌길 20
'개천사 부도군'에서 6.7km
화순군 문화유적 제61호
바로가기
춘양면 소장 고문헌(고문서)
'개천사 부도군'에서 6.7km
화순군 문화유적 제63호
바로가기
장범루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오류안길 50-27
'개천사 부도군'에서 7.2km
화순군 문화유적 제14호
바로가기
도장마을 소장 새마을 운동 기록물
'개천사 부도군'에서 7.6km
화순군 문화유적 제62호
바로가기
칠장사부도군 등산거리 : 5.3km 2시간 칠현산 정상 풍경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과 죽산면에 있는 걸쳐있는 높이 516m 산이다. 산기슭에 칠장사가 있다. 이름의 유래는 일곱 사람의 어진 사람이 나왔다는 의미의 칠현산(七賢山)이 되었다는 얘기도 전해지고 있다. 또 다른 유래는 고려때 혜소국사가 일곱 도적을 제도하여...
이오니스웨어러블 공기청정기(2025-05-11 05:39:00)
충주 개천사에 있던 실록을 이곳으로 옮겨 와 보관했다 다시 가져갔다고 할 정도의 기록도 있으니, 사찰 자체의 연혁 기록은 끊김이 없는 듯 하다. ●조선 후기에는 선조의 계비 인목대비가 아들 영창대군과 아버지 김제남의 명복을 비는 원당으로 삼고, 사찰을 크게 고쳐 짓고 직접 글씨를 쓴 불경과 족자를 절에 내려...
LIVING PLUS---생활의 기록(2024-09-27 12:19:00)
충주 개천사에 있던 실록을 이곳으로 옮겨와 보관했다 다시 가져갔다고 한다. 조선 후기에는 선조의 계비 인목대비가 아들 영창대군과 아버지 김제남의 명복을 피는 원당으로 삼고 사찰을 크게 고쳐 짓고 직접 글씨를 쓴 불경과 족자를 절에 내려주었다. 이후 여러 차례 화재가 일어났으나 절을 지키려는 스님들의 노력...
무지개빛 세상♡(2024-08-06 07:44:00)
함께 개천사 사적을 이전 봉안함 공민왕1년(1389)1383년 이전 사적을 복장 함 중종1년(1506)흥정대사에 의해 중창 됨 인조1년(1623)인목대비에 의해 중창 됨 현종12년(1671)사찰중수, 칠장사 향수사적비 건립 현종15년(1674)세도가에 의한 방화 - 북쪽으로 사역을 옮겨 중수 숙종2년(1676)요사채 중수 숙종20년(1694...
행복한 미랑씨의 뷰티풀라이프. 소중한 삶~~!!(2024-01-21 19:53:00)
고려 혜소국사 크게 중창했다. 고려 우왕 9년 왜구의 침입으로 충주 개천사에 두었던 사적을 이곳에 옮긴 적이 있고, 여러 번 이축과 증축, 중건하여 오늘까지...아래 칠장리 어귀 오른쪽 산기슭에 14기의 부도가 횡렬로 있다. 조선 후기의 부도로 추정 칠장사 부도군 안내문 칠장사 당간 칠장사 당간은 총 높이 9.75m...
오리알터(2023-08-24 18:09:00)
충주 개천사에 있던 고려조의 역대 실록을 이곳에 옮겼을 정도로 당시 교계에서는 중요한 사찰이었다고 한다 1674년부터 수차례 중건하였으며 1970년대 이후 지속적인 보수를 통해 지금의 가람을 이루고 있다고 함 널찍한 주차장에서부터 천왕문, 범종루, 누각 등 칠장사의 일부 전각들이 보인다 그중 이 누각의 모양이...
끌림:둘러보기(2023-12-08 21:00:00)
광덕사와 개천사에 내린 교지이다. 내용은 두 사찰의 잡역을 경감하라는 것으로, 현재 보관편의를 위해 각각 3쪽으로 잘라 첩장해 원상을 변형시켰으며 부분적으로 글자가 마모돼 있다. <천안 광덕사 조선사경>은 보물 제1247호로 같은 날 지정됐다. 광덕사에 전해지는 사경(寫經)으로, 불경의 내용을 정성스럽게...
푸솔의 천안이야기(2023-06-09 19:25:00)
고려 후기에 운주사의 불탑과 불상이 집중적으로 건립되었다. 1394년(태조 3) 남평과 화순이 분리되었고 화순감무가 동복감무를 겸하게 되었다. 1405년(태종 5) 동복현이 폐지되어 화순현에 합쳐졌으며 1407년 복순현(福順縣)으로 개칭되었다. 1416년 다시 동복현이 분리, 독립되었고 화순현은 능성현에 합속되어 순성현...
화순은 아름다워(2023-09-24 07:00:00)
및 후기 곰치재 주차장에서 체조 곰치재 웅치[250m]는 화순군의 최남단인 청풍면 이만리와 장흥군 장평면 우산리를 이어주는 고개이다. 곰치, 곰치재라고도 한다. 명칭유래를 보면『여지도서』에는 “남쪽으로 장흥부와의 경계에 있는 웅치에서 오는 길이 44리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대동여지도』에는 봉미산(鳳尾...
위대한 여정(2015-01-10 10:30:00)
고려 후기에 이르면 기존의 방식대로 기단의 평면은 팔각을 따르지만, 탑신부의 몸돌을 타원형이나 구형으로 조성하는 등의 변화를 꾀한 부도들이 등장하는 데 몸돌이 구형으로 조각된 대표적인 사례가 정토사지 홍법국사실상탑이다. 8각 지대석(地臺石) 위에 복판연화문(複瓣蓮華文)이 장식된 복련석을 얹었고, 각...
현림의 소리(2020-02-08 20:23:12)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