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화동 장고분 지도 이미지

명화동 장고분 30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명화동 장고분
문화유적지정번호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22호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향토문화유적종류
옛무덤
소재지지번주소
광주광역시 광산구 명화동170-5
지정일자
1995-04-20
소유주체구분
국유
향토문화유적소개
영산강의 충적지 가장자리에 있는 평동저수지 위의 낮은 구릉에 있는 삼국시대 무덤이다. 명화동 전방후원 형태의 무덤은 봉분과 도랑의 모양, 원통형토기의 배치 등이 일본의 전방후원분과 비슷해 고대 한일관계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62-960-3827
관리기관명
광주광역시 광산구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03-29
제공기관코드
3,630,000
제공기관명
광주광역시 광산구

블로그 리뷰

  • 명화동 장고분 | [광주 맛집] 명화식육식당 / 기다림 / 후기

    대기표는 식당 카운터에 가시면 받을수 있습니다. ​ 그리고 잠시 식전 운동겸 식당 뒤에 있는 명화마을까지 걸어서 갔다왔는데요. 그러다 만난 광주 명화동 장고분. 날도 좋고 고즈넉하고 이뻤는데요. ​ 이런곳에 왜 고분이 있는지는 올라가니까 이유을 알았습니다. ​ 고분군 뒷쪽으로 펼쳐진 평동저수지가 예술이더라구요...

    움직이는 침대(2025-02-25 00:09:00)

  • 명화동 장고분 | “광산구 농촌동의 역사문화자원과 핫플레이스”

    조선 후기 명창 김창환의 생가, 남방식 고인돌군, 그리고 128년 역사를 지닌 광주 최초의 교회(한국기독교역사사적지 제13호) 등 다양한 역사문화자원이 어우러진 마을입니다. 희여재길을 중심으로 한 둘레길은 주민들이 일상 속에서 쉼과 이야기를 나누는 소중한 공간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 ✅ 동곡동 조선 명종 13년...

    광산구도시재생공동체센터(2025-04-10 09:49:00)

  • 명화동 장고분 | 무령왕을 찾아서(제23회 무령왕 탄생제 참가)/셋째 날: 후쿠오카, 가라츠(규슈국립박물관, 야메시...

    야요이 후기의 분구묘는 원형계와 방형계로 각각 발달하며 3세기 전반 야요이시대 종말기에 이르면 직경 20~30m의 원형분구묘의 한쪽에 제단이 붙는 무덤이 출현한다. ​ 현재 일본 고고학계에서는 이러한 분구묘를 전방후원분의 조형으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 또한 중국에서 그 기원을 찾기도 하였으나, 현재까지 일본...

    빛돌의 하루(2024-06-08 17:19:00)

  • 명화동 장고분 | 「영산강유역 전방후원형 고분」답사 후기 <1일차>

    「영산강유역 전방후원형 고분」답사 후기 <1일차> (작성완료) # 2010. 11. 09 <<일정 요약>> <1일차> 2010. 10. 23 (토) 오전 08:00 서울 출발 (서울 강남구...광주 광산구 월계동) 02:10 출발 02:50 「광주 명화동 장고분」도착 (광주 광산구 명화동) 03:15 출발 03:30 「신숙주 선생 생가」표지석 발견 (전남 나주시...

    현루 블로그。(2010-11-09 01:27:00)

  • 명화동 장고분 | [광주 여행]국립광주박물관 - 고대 일본은 백제의 식민지였다.(함평 예덕리 신덕고분 관람후기)

    같이 발견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전방 후원형 고분(장고분)은 전남 영산강을 일대로 심심찮게 발견되는데 지금 머릿속에 생각나는 대표적인 명화동 장고분, 월계동 장고분 등등이 있는데 일본에서는 아주 난리가 났다고 한다. 일본 고분을 증거로 그 당시 전남 영산강 이 일대에 일본 식민지가 있었다. 뭐 이런 억지...

    삼냥이 집사의 떼굴떼굴 남도 여행기(2021-09-26 00:10:00)

  • 명화동 장고분 | 한반도에 일본 무덤(전방후원분)이 있게 된 이야기

    기도 후기인 동일한 무덤을 한반도 남부에서 발견한 것이다. ​ 영광 월계고분, 함평 장고봉고분·신덕1호분·표산1호분, 광주 명화동고분·월계동1호분·월계동2호분, 영암 자라봉고분, 해남 장고산고분·용두리고분 등으로 모두 10여 기가 한반도 남부에서 발견되었는데, ​ 이것을 확대 해석하면, 한반도에 일본이 점령한...

    저그생각 연구소(2022-10-25 19:34:00)

  • 명화동 장고분 | [논문] 전방후원형 고분의 연구상황과 과제

    고분을 장고분과 다른 異形古墳으로 구분하였으나( 임영진 1996) 앞서 발표한 견해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임영진 1997a). 반면 박중환 은 전방후원형 고분의 입지와 매장시설, 분구 등을 검토하여 방형부의 발달정도에 따라 고분의 변천과정을 제시하였다( 박중환 1996). 그리고 한국의 前方後圓形 古墳과 日本의...

    N o b l e L o g 노 블 로 그 N o b l e L o g(2005-07-28 00:08:00)

  • 명화동 장고분 | 영산강유역의 고분시기

    월계동·명화동 함평 예덕리 고분처럼 소위 장고분(前方後圓墳)에서 보이나, 모두 독무덤의 중심지인 나주 반남과 영암 시종과는 상당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이런 공간적인 배치는 독무덤과의 시기적인 차이 또는 중심지배세력의 이동이나 축조집단의 성향 혹은 백제나 일본과의 관계 등 여러 측면에서...

    영산포 홍어촌 이야기들(2009-02-07 13:14:00)

  • 명화동 장고분 | 전남지방사연구

    함께 후기 청동기문화가 매우 발달한 지역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지석묘의 분포나 축조에 따른 사회복원의 문제, 마한사회와의 연결문제, 청동유물의 교역문제, 지석묘 축조집단간의 상호관계나 선후관계 등의 문제가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원삼국시대의 연구는 주암댐 지역의...

    스크랩북(2005-10-19 22:27:00)

  • 명화동 장고분 | 남도의 선사와 고대문화

    석기 후기에 벼농사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보여줌 다. 청동기 시대 - 한반도의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10세기부터 시작된 걸로 추정 1) 집자리 유적 - 영암 장천리, 광주 송암동 2) 고인돌 ㅇ 전남 지역에 2천여 곳 2만 2천여 기 이상 분포(우리나라 전역 4만여 기) ㅇ 화순 고인돌 -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

    상선약수(上善若水), 흐르는 강물처럼(2010-09-10 11:52: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