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요충지가 되는 길목에 이들 성이 있었기 때문에 신라 내지로의 진입이 항상 이 지역에서 저지되었다고 추정된다. 출처-국립문화재연구원 ■ 탐방후기 : 문경 견훤산성은 농암면 농암리와 가은읍 민지리 사이의 성재산 정상에 자리하고 있다. 성재산은 천마산으로 불렸던 모양이나, 성에서 만난 마을 주민은 천마산에...
잊혀져 가는 山城을 찾아서...(2024-05-11 19:32:00)
주변 숙소 이용을 추천합니다. 🍲여행기에 등장하는 음식점은 모두 제돈제산 후기입니다. 장각폭포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 장각폭포 예향 경상북도 상주...#상주맛집 #상주숙소 #걷고그리고금순 #장각폭포 #맥문동솔숲 #견훤산성 #상주맛집 예향 #거꾸로옛이야기나라숲 #상주중앙시장 #상주맛집 복단지상주점
여행&어반스케치(2025-03-07 22:08:00)
다양한 요리까지 준비되어 있었어요. 술안주도 가능하니 모임 장소로도 딱이겠죠? 솔솔반점 장소 분위기 솔솔반점은 남고산성 입구 쪽에 있어요. 남고산성은 후백제 유적지로도 유명한 곳인데, 견훤이 전주 방어를 위해 쌓았다고 해요.억경대, 천경대, 만경대 세 봉우리에서 탁 트인 전주 시가지를 바라볼 수 있어서...
My Lifestyle Note(2025-08-22 08:39:43)
사용했기때문에 시대별 산성형태가 비교적 잘 나타나있고 보존도 잘 되고 있는 상황이다. 6세기 후반 신라가 한강유역으로 북진하면서 쌓은 산성인데 신라 후기 진성여왕때 견훤이 이 성에 진을 치고 세력을 키웠다고 전해지며, 또 고려 고종 23년(1236년) 몽골군이 죽주산성을 공격했지만 송문주장군이 잘 막아 승리한...
매천의 텃밭이야기 梅天農園(2025-11-08 22:05:00)
모임 자리까지 모두 어울리는 곳이에요. 남고산성 입구에 위치한 특별한 분위기 솔솔반점은 남고산성 트레킹 코스 시작점에 자리잡고 있어요. 남고산성은 후백제 시절 견훤이 전주 방어를 위해 쌓은 역사적인 성곽인데, 억경대·천경대·만경대 세 봉우리에서 내려다보는 전주의 시내 전경은 정말 멋집니다. 산을 오르기...
with me :) 주변 탐방 하는 틴트의 일상(2025-08-22 08:40:00)
9월에 견훤이 근품성(近品城:지금의 산양)을 빼앗고 경주로 육박하니 신라 경애왕은 고려 태조에게 구원을 청했다. 고려 태조가 보병으로는 따라잡을 수 없어 정기(精騎) 5천으로 진군을 시작, 고모산성에 이르니 더 나아갈 길이 없다. 가을비가 내리고 길은 없어 고모산성에서 하룻밤을 지냈다. 새벽에 일어나 밖을...
김인숙(2025-04-03 10:27:16)
지나가던 아저씨가 길을 알려줬어요. 밭 사이를, 나무 사이를 그냥 올라갑니다. 멍석길 올라가 시야 트이니 나타나는 이정표. 훔.. 복원한 산성은 길고, 볼 것도 많군요. 견훤이 도성 전주를 방어하기 위해 쌓았다네요. 동고 산성과 함께 전주의 남쪽 관문으로 전주 지방 방어의 전략적 요충지였다 합니다. 그저...
해죽1. 걷고 읽고 여행하다.(2025-06-08 10:40:00)
태조가 견훤을 정벌하기 위해 축성한 숭신산성이 있고, 산 초입에 신라에 불교를 처음 전한 아도화상이 창건한 것으로 전해진 도리사가 유명하다. 도리사는 신라에 최초로 불교를 전한 아도화상(阿道和尙)이 세웠다고 전해 지며, 경내에 있는 극락전(極樂殿)과 5층 석탑(五層石塔)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산림청 자료...
100대명산과 함께 하는 새로운 하루(2025-10-29 14:00:27)
불교 신봉 견훤도 불교를 통해 정통성 부여 시도 불상, 석탑은 백제 후기와 신라 후기 양식 혼합 무기 및 성곽문화 군사정권적 성격 강함 방어와 지형 활용...이후에도 반신라, 반왕정 상징으로 남음 [후백제] 관련 국가유산 견훤산성 경북 상주 위치 금산사 전북 김제 위치 견훤왕릉 충남 논산 위치 서고산성...
역사 속 오늘(2025-08-01 14:00:00)
은 견훤(甄萱) 군대가 주둔해 있던 이 산성을 공격했으나 실패하고 청주 쪽으로 물러난다. 역사서를 뒤져봐도 삼년산성(三年山城) 함락 기록은 찾아볼 수 없다. 가히 난공불락 철옹성(鐵甕城)이란 단어가 격에 맞게 다가온다. 조선조 <세종실록지리지>에 삼년산성(三年山城)은 '오항산성(烏項山城)', <신증동국...
송풍수월 (松風水月)(2025-07-23 21:56: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