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애원 지도 이미지

존애원 0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존애원
문화유적지정번호
제89호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향토문화유적종류
기념물
소재지도로명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율리1길 5
소재지지번주소
경상북도 상주시청리면 율리 353
지정일자
1993-02-25
소유주체구분
사유
규모
1동(714㎡)
조성시대
조선시대
향토문화유적소개
존애원(存愛院)은 사설의국으로서 임진왜란 뒤의 질병퇴치를 자치적으로 해결하려는 뜻을 같이 한 김각(金覺) 성람, 이전, 이준(李埈), 강응철(姜應哲), 김광두(金光斗), 정경세(鄭經世) 등의 상산 선비들이 존심애물(存心愛物)의 숭고한 사랑을 실천하려는 뜻에서 1599년(선조 32년)탄생하였다. 이 해는 상주에 두 계가 있었던 것을 기해낙사계로 합사(合社)한 해로 13개 문중의 계원은 24명이었는데 합계한 자리는 존애당(存愛堂)이었다. 이로써 보면 존애원(存愛院)창설은 1599년이요 건물완성은 1602년이라 보아야 한다 존애원(存愛院)은 미증유의 전화를 입고 질병 앞에 무방비 상태였던 상주민의 고통을 스스로 덜어주기 위해 자생적으로 탄생한 사설의료국(私設醫療局)인 점에서 그 정신도 높이 살 일이지만 그 유래도 전국에서는 희귀하다 하겠다. 존애원은 의료활동만 한 의국이 아니라 낙사계의 회합 자리가 되어 각종의 행사도 치렀는데 특히 1607년 이후부터 갑오경장(1894년)에 이르기까지 경로잔치였던 백수회(白首會)를 개최한 것은 특기할 만하다. 1607년의 존애원백수회(存愛院白首會)때는 송량(宋亮) 김각(金覺) 정이홍(鄭而弘) 윤전(尹� ) 등의 어른을 정경세, 이준, 김지복, 김지덕 등의 자질이 모시었다. 낙사계는 1797년(정조 21년)왕으로부터 대계란 칭송을 받고 1906년 한광(韓匡)이 아들의 관례(冠禮)할 때 존애원에서 <대계백수회>를 가진 바도 있다 한마다로 존애원은 사람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던 상주 선비들의 박애정신에서 탄생한 사설의료국이었음과 동시에 향토사랑을 실천한 낙사계원들의 모임터였다고 하겠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54-541-6995
관리기관명
존애원보존회
데이터기준일자
2024-12-10
제공기관코드
5,110,000
제공기관명
경상북도 상주시

블로그 리뷰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