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조공제 지도 이미지

상주 조공제 22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상주 조공제
문화유적지정번호
제140호
향토문화유적구분
기념물
향토문화유적종류
기념물
소재지지번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504-1
지정일자
2002-07-15
소유주체구분
국유
규모
3,369㎡
조성시대
조선시대
향토문화유적소개
조공제는 趙秉老(조병노) 목사(재임기간 1871. 9∼1873. 10)가 재임 당시 치농(治農) 목적으로 쌓은 제방(길이 370m 높이 2.5m 폭 5m)으로 밤나무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제방은 일찍부터 존재하여 栗수(율수)라고 하였으며, 임진왜란 때에는 정기룡장군이 상주성 탈환시 군사를 숨겨 두었다가 도망가는 왜군을 섬멸하던 곳이기도 하다. 현재는 시내로 들어가는 폭 20m도로가 관통되어 손상되긴 했지만 더 이상 훼손해서는 안 되는 역사적인 곳이다. 제방 남쪽 끝에는 조공제비가 있는데, 비문의 내용을 보면 .... 동편은 물길이 허하여 가둘 수 없음에 흙을 쌓고 나무를 키우게 하였다. .... 일꾼들에게 명하여 돌을 실어다 쌓도록하니 그 제방이 마침 성과 같았다 ....고 적어 제방의 축성 내력을 알수 있다. 또 『상산지 임수조(林藪條) 』에 율수는 주 동쪽 5리에 있다. 옛 이야기에 邑基(읍기) 서쪽에 있는 산의 형상이 지네와 같아 이를 제독하기 위하여 서로 바라보는 곳에 밤나무를 심었다라는 기록으로 보아 제방에 밤나무를 심은 것은 풍수지리학적으로 서쪽에 있는 산이 지네의 형상이라 조공제의 자리에 지네가 싫어하는 밤나무를 심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54-537-7210
관리기관명
경상북도 상주시
데이터기준일자
2024-12-10
제공기관코드
5,110,000
제공기관명
경상북도 상주시

블로그 리뷰

  • 상주 조공제 | 경북 상주 상세설명....

    조선 후기에는 영남학파의 학문이 더욱 번성해 이준(李埈)·홍여하(洪如河) 등의 학자가 배출되었다. 그래서 도남서원(道南書院)을 비롯한 많은 원사(院祠)가 건립되었다. 1895년 지방제도 개편시에 상주목은 상주군으로, 함창현은 함창군으로 되었다. 또한, 개화운동이 전개되면서 군수 이인용(李寅用)과 유지들에 의해...

    inpung4957님의블로그(2016-08-26 14:12:00)

  • 상주 조공제 | 상주문화연구의 성과와 과제(개도700주년 기념 학술대회)자료4

    밤숲과 조공제에 관한 소고 금중현/73 O 조선시기 상주 읍성 내외 시설의 배치와 기능 한기문/97 O 우리나라 최초로 전선(戰船)에 포를 설치한 김순고 곽희상/119 O 경상도 최초 천주교 전래지 이안 배모기와 그 영향 조희열/169 O 상주에 영면한 항일 의병대장 운강 이강년과 광복의사단 송재엽/197 O 지역축제의...

    빛마당 산책(2014-11-14 23:33:20)

  • 상주 조공제 | 1992년경 쓴 글 / 93년 유포 한 글

    조선후기 상주출신 시인 황오(1816~)는 "청계사 가을" 이란 그의 시에서 "석굴에 왕의 기상이 있고 진훤이 여기에 묵었으니"(石窟存王氣, 甄萱宿於此) 라고하여 진훤이 여기서 머물다 갔다는 당시의 얘기를 전하고 있으며 이보다 앞서 상주의 학자 정종노(1783~1816)는 "산성에서 남우의 운을 따서" 이란 그의 시에 "옛...

    블로그 훈민관(訓民館)(2005-07-01 12:24: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