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각 시왕과 권속들이 배치되고, 하단에는 지옥장면이 묘사 되어 있다고 한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명칭고성 옥천사 나한전 목조보살좌상 및 나한상] 「고성 옥천사 나한전 목조보살좌상 및 나한상」은 조선후기인 18세기를 대표하는 색난계 조각승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나한상은 조선후기 불교조각의 흐름은...
여일의 흔적(2025-09-09 19:34:40)
창건된 목조 건물이다. 유물로는 옥천사 임자명반자(壬子銘飯子/보물 495)가 있는데, 이는 고려 1252년(고종 39)에 동으로 만든 악기로서 불교의식에 사용하였다. 또 1744년(영조 20)에 제작된 삼장보살도, 지장보살도, 시왕도(十王圖)를 비롯하여 1776년(영조 52)에 만들어진 옥천사 반종(飯鍾/유형문화재 60)과 조선...
전국 전통사찰(2025-09-12 15:13:00)
조선후기의 청동북 8.취향전 앞3칸·옆2칸 팔작지붕; 스님들이 지내시는 요사로 보입니다. 9.칠성각 앞3칸·옆1칸 다포계 맞배지붕; 칠성을 모신 전각으로, 여러...과정을 알 수 있는 자료] 10.조사전 앞3칸·옆1칸옥천사 창건한 의상대사를 비롯해 옥천사의 옛 승려들의 위패를 봉안한 전각입니다. 11.독성각 사방1칸...
지오 캐슬(2025-07-22 02:53:02)
개분,개체하였는데 그 중 9분은 조선 전래의 나한님들이시고 7분은 최근에 조성된 나한님들이라고 합니다. ■보물로 지정된 나한상 옥천사 나한전 목조보살좌상 및 나한상은 조선후기 18세기를 대표하는 조각승 색난스님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1988년 16구의 나한상중 7구를 도난당했으나 도난성보 환수...
희야의 소소한 일상(2023-12-06 10:51:00)
전설의 샘도 보유하고 있어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74호로 지정된 옥천사 목조나한상. 옥천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삼화불교 사찰로, 화순군 도곡면 대곡리에 터를...보이는 이 사찰은 여러 신비로운 전설과 함께 조선 후기 불교 문화를 엿볼 수 있는 ‘목조나한상’ 등 문화유산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옥천사 주지...
화순저널(2025-05-09 18:24:00)
고성 옥천사 나한상과 함께 2014년 6월2일 서울 관훈동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마이아트 옥션에 경매물품으로 나왔던 것이다. 우선, 나한상을 도난문화재로 압수한 후 숨겨진 불교문화재를 찾기 위해 끈질긴 노력 끝에 ‘문화재보호법’ 위반의 전과가 있는 서울의 전 사립박물관장의 새로운 은닉처에서 2020년 7...
宅田書窓(2025-01-27 05:26:00)
固城 玉泉寺 羅漢殿 木造菩薩坐像 및 羅漢像)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 2018-06-21 「고성 옥천사 나한전 목조보살좌상 및 나한상」은 양식적 특징으로 보아 조선후기 18세기를 대표하는 색난계 조각승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나한상은 조선후기 불교조각의 흐름은 물론 색난 계보와 양식사 연구에...
인기 여행 중(2024-08-09 12:45:00)
이름은 옥천사였으나 정강왕(재위 886∼887) 때 쌍계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벽암이 조선 인조 10년(1632)에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오랜 역사에서 보이듯 일주문부터 대웅전까지 많은 문화재가 경내 곳곳에 산재해 있으며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1점, 보물 13점과 지방문화재 등...
퍼플릭스(2025-02-26 11:00:00)
조선 후기의 목조석가여래좌상. 마하사 응진전 전각의 주존불로 봉안되어 있으며, 높이는 58.7㎝이다. 摩訶寺應眞殿 石造羅漢像 (문지를 마, 꾸짖을 가(하), 절...앞에 봉안되어 있다. 摩訶寺 應眞殿 十六羅漢圖 마하사 응진전 석조나한상 네이버 지식백과 摩訶寺現王圖 (문지를 마, 꾸짖을 가(하), 절 사, 나타날 현...
햇살의 물고기학당(2025-03-02 09:51:00)
편액 목조석가삼존불좌상(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13호) 이 삼존불은 1685년에 제작되었습니다. 불상의 크기는 150cm입니다. 불상의 신체비례와 조각수법을 볼 때 불상 3구 모두 전형적인 조선시대 후기 불상입니다. 본존불인 석가여래상은 얼굴을 앞으로 내밀어 구구정한 모습입니다. 17세기 전, 중반에 제작된 불상과...
산야초사랑(자연이주는선물)(2025-01-23 20:26: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