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모신 신모사(神母祠)와 두 딸 아기·아경의 쌍정려(雙旌閭)가 있다. 망부석(望夫石) 위치: 경상북도 경주·울산 경계 치술령 전설: 부인 김씨와 두 딸이 남편을 기다리다 죽어 바위로 변했다는 호국삼신녀 전설이 전해진다. 중시조 박명천 묘 위치: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일원 관리: 영해박씨 대종친회에서 제향 및...
뿌리 성씨 이야기(2025-08-15 18:29:44)
참여하여 제례를 성대히 거행하고 제례 주관인 원모회(회장 : 靈山辛氏 언양지방문장 辛東富)에서 지정한 식당에서 오찬을 즐기며 환담을 나누었다. 원모사(遠慕祠)는 조선시대인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勃發) 하자 언양현 지역을 중심으로 국운의 위급함을 보고 나라에 충성 을 다하기 위하여 큰 뜻을 모아 거의(擧義...
3745shin님의블로그(2025-05-12 18:19:00)
있는 분파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함평파(咸平派)이다. 6世 참찬공(參贊公) 백림(百林)에서 분파되었다. 고려때의 절신(節臣)으로 호는 원모재(遠慕齋)이다. 함평에 원모사(遠慕祠)를 세워 제향하고 있다. 둘째, 흥해파(興海派)이다. 6世 직장공(直長公) 세규(世圭)에서 분파되었다. 고려때 직장영동정(直長令同正)을...
산야초사랑(자연이주는선물)(2025-02-24 08:34:00)
5일에 향사하고 있다. 지금의 사당은 1990년에 중건한 건물로 정면 5간 측면 2간 겹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인데 내부는 위패를 모신 2간 마루방 좌우에 2간방과 1간방을 배치하고 앞마루를 놓았으며 "원모사(遠慕祠)"라는 현판을 걸고 마당 앞으로 솟을대문을 세우고 담장을 둘렀다. 노산리 초입에 자리하고 있다.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2011-12-29 10:42:57)
孝靖祠) 효정사는 위패를 모시는 사당으로 제향공간이다. 우물 문헌서원 좌측편에 있는 우물이다. 신도비와 묘역사이에 있다. 이색신도비(李穡 神道碑) 이색...썼다. 신도비란 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업적을 비석에 기록하여 그의 묘 남동쪽에 세워두는 것으로, 이 비는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목은(牧隱) 이색...
현스바비큐아카데미(2024-05-24 10:27:00)
조선 후기의 무기연당 영역과 바깥 외원의 영역을 화경(畫境)으로 남긴 원림의 고도(古圖)이다. 주재성의 후손 주환채씨가 소장하다 함안박물관에 넘겼다. 사대부 주택의 옛그림으로 전라구례오미동가도(全羅求禮五美洞家圖)와 같은 종류의 그림이다. 궁궐로는 동궐도(東闕圖)가 있고, 별서를 그린 정원 옛그림은 소쇄원...
온형근(2023-12-24 14:59:15)
文穆 祠이다. 뇌암사우, 뇌암서원, 뇌암향사라는 이름으로 기록되기도 한다. 지역 인재 양성에 힘쓴 선비들 <덕망과 절의를 갖춘 사서 司 書 1호, 김 휴> 김휴는 원나라의 일본 징벌 시 고려군의 총사령관으로 참여했던 충렬공 김방경의 현손이다.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고 왕위에 오를 무렵 스승 정몽주가 순절하자 전...
은혜 hl3qmh(2025-01-21 18:00:00)
충렬사(忠烈祠)에 24공신 중 수공신으로 봉안되어있고, 대구 임란호국영남 충의단(망우당 : 忘憂堂), 울산 임란공신숭모제(충의사 : 忠義祠), 언양선무원종 공신원모제(원모사 : 遠慕祠) 등 영남 방방곡곡에서 매년 춘추로 위국충절(爲國忠節)의 추모제향이 년중 배향되고 있다. 특히 왜군의 최초침략지가 부산 동래...
그게 궁금해서 찾아온 블로그(2023-05-06 18:33:17)
大洞祠)가 있고 앞에는 류상렬 기적비, 류인대 공적비, 차행렬 공적비 등이 있다. 류상렬 영정을 모신 신호사, 류자미 충절과 학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충현각...덕림동(德林洞) 자연마을 : 금동(今洞), 학동(鶴洞), 덕암(德岩) 조선후기 장본면 지역으로 1914년 복만리, 을림리, 덕산리, 고암리, 학동리, 복암리...
잠실 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아파트 / 에덴부동산(2023-09-14 18:59:00)
城隍祠)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 후기에 편찬된 『해동지도』, 『여지도서』, 『대동여지도』에서도 갈야산에 대한 기록을 볼 수 있다. 이들 사료를 통해서 지명의 역사가 오래되었지만 변화하지 않고 오늘까지 지속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옛날에는 죽림이 무성했다고 하나 지금은 농경지나 도시 경관으로...
배 창랑과 그 일행 =山君들(2022-01-30 21:59:23)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