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동학교당 지도 이미지

상주 동학교당 1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상주 동학교당
문화유적지정번호
제120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민속문화유산
소재지도로명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우기1길 64
소재지지번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은척면 우기리 730
지정일자
1999-12-30
소유주체구분
사유
규모
1곽
조성시대
1924년
향토문화유적소개
동학교당 소유자인 김정선의 조부인 김주희(金周熙 1860∼1940)가 교세 확장을 위하여 1918년에 건립하였다. 동학교 남접주인 김주희 선생이 1915년 이곳에 본거를 정하고 본당을 짓기 시작하여 3년에 걸쳐 부속사를 포함 준공을 하였다. 그 후 포교와 교세 부흥을 꾀하여 동학 경전을 발간하였으며,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조선의 독립을 확언하다가 그 아들이 투옥되기도 하였다. 은척(銀尺)은 신라 시대부터, 경주에는 금척을, 상주 은척(銀尺)에는 은척을 묻었다는 전설이 있는 곳으로, 교당은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넓은 분지의 평지 마을에 서 있다. 가옥 구조는, 원채(북재 52㎡, 정면 3간, 측면 2간), 행랑채(남재 59㎡, 정면6간, 측면 2간), 사랑채(동재 50㎡, 정면 5간, 측면 2간), 안사랑채 (서재 26㎡, 정면 5간, 측면 2간), 곳간채(고방 17㎡, 정면 3간, 측면 1간), 상하마석(上下馬石)(자연석 2석), 깃대 꽂이 (단형 다듬이 돌 2석) 등으로 구성되었다. 중심 건물인 원채는 성채실, 동재는 접주실, 서재는 남녀 교우가 각기 반분씩, 남재는 남교우가 거처하였다. 원채 이외의 3동의 건물은 각 2분하여 좌우 방향이 180도 또는 90도로 달리 정면을 이루고 있는데 이런 구조를 태극체(太極體) 또는 음양체(陰陽體)라고 하며, 전 건물이 초가로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당초 국가지정 전통 건조물 제10호(1987. 4. 1)였으나 전통 건조물법 폐지로 인하여 지방 문화재 민속 자료로 다시 지정 되었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00-0000-0000
관리기관명
개인
데이터기준일자
2024-12-10
제공기관코드
5,110,000
제공기관명
경상북도 상주시

블로그 리뷰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