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암고택 지도 이미지

의암고택 8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향토문화유적명
의암고택
문화유적지정번호
제153호
향토문화유적구분
유형문화유적
향토문화유적종류
민속문화유산
소재지도로명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운평2길 42-7
소재지지번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운평리 141-1
지정일자
2012-10-22
소유주체구분
사유
규모
1곽(5동)
조성시대
조선시대
향토문화유적소개
운곡(雲谷) 마을 가운데에 위치한 의암고택(依巖古宅)은 모임당(慕任堂) 연안이씨(延安李氏)가 지은 건물이다. 의암(依巖)은 조범구(趙範九)선생의 호로서, 의암고택이라는 당호는 후대인이 의암 조범구 선생의 덕망을 기리기 위해 붙인 건물명칭이다. 이 집으로 드나드는 대문 앞에 있는 탕건 모양의 큰 바위를 탕건석이라 하는데, 관습적으로 사람들이 이 탕건석을 의암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의암고택은 조선 후기에 지은 건물로서, 정침(안채)과 사랑채, 안사랑채, 고방채, 대문간채, 사당, 뒤주채, 장독대 등 조선 시대 사대부 주택의 구성 요소를 고루 갖춘 집이다. 1986년 지방문화재 문화재자료 제177호로 지정되었다. 이 운곡마을에는 의암고택 이외에도 청간정(聽澗亭)과 송동재(松洞齋), 경모재(敬慕齋), 만송재(晩松齋) 등의 재실들, 유신당(維新堂), 양교당(養敎堂), 경신당(敬愼堂) 등의 고가들 및 공동우물, 막돌 담장, 초가와 서낭당 등 양반과 서인이 공동 주거하던 유적들이 산재하여 있다. 원래 (元來) 이 마을은 풍양조씨(豊壤趙氏)의 동족부락(同族部落)으로 모두 100여호(余戶)가량 되었으나 일제시대(日帝時代)부터 감소(減少)하기 시작하여 6.25 전(前)에는 전체(全體) 60호중(戶中) 조씨(趙氏)가 40호(戶) 정도(程度)이었고, 현재(現在)는 25호중(戶中) 11가구(家口)뿐이다. 조준희씨(趙浚熙氏)의 16대조(代祖)인 직장공(直長公) 조희(趙禧)(1507~1587)께서 1565년에 이 마을에 입향(入鄕)하였고, 현재(現在)의 건물(建物)은 7대조모(七代祖母)인 모임당(慕任堂) 연안이씨(延安李氏)(1749~1826)께서 큰아들인 극암(克庵) 조식(1774~1837)과 더불어 1800년경에 지었다. 안채를 제외한 여타 건물들은 소유자의 조부인 만당(晩堂) 조태연(趙泰衍)(1877~1934)께서 1910년에 기존 낡은 건물들을 허물고 개축한 건물들이다. 이 건물의 명칭은 소유자의 고조부인 의암(依巖) 조범구(趙範九)(1834~1896)의 호에서 유래한다. 의암공은 병인양요 때 상주지역에서 의병을 조직하였으며, 당대에 유학자로 성망이 높았던 분이다. 마을의 공동우물이 있는 곳을 돌아 양측에 이웃집 담장이 병렬(竝列)하여 있는 골목길을 따라 들어가면 골목끝에 평대문간(平大門間)이 남향(南向)하여 섰다. 대문채 앞 좀 떨어진 곳에 탕건 모양의 큰 바위가 길 한쪽에 박혀 있는데 이 바위를 탕건석이라 한다. 대문간(大門間)과 평행(平行)으로 사랑마당을 사이에 두고 사랑채인 일우당(逸憂堂)이 배치(配置)되었고, 사랑채의 전면(前面) 좌측(左側)에 설치된 일각문을 들어서면 일자(一字) 안채와 ㄱ자(子) 곡간채가 안마당을 둘러싸고 있다. 안채는 남향(南向)으로 배치(配置)되었으며 좌측(左側)에 2m정도 거리를 두고 단간 뒤주가 빗겨 배치(配置)되어 있다. 사랑채의 뒷편에는 방형으로 토담을 두르고 가묘를 설치(設置)하였다.
관리기관전화번호
000-0000-0000
관리기관명
개인
데이터기준일자
2024-12-10
제공기관코드
5,110,000
제공기관명
경상북도 상주시
홈페이지 주소
전화번호

블로그 리뷰

  • 의암고택 | 조선의 시간 속을 걷다 – 상주 운곡마을 의암고택에서 만난 여름의 풍경

    그림이 그려진 집이 예뻐 사진에 담고, 의암고택으로 다시 떠났답니다. ​ ​ 🏛️ 운곡마을과 의암고택의 스토리 ​ 이 마을은 풍양 조씨 문중의 고택과 재실들이 모여 있는, 조선 후기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곳이에요. ​ **입향조 조정(검간)**이 안동 처가의 99칸짜리 집을 이곳으로 옮겨지었답니다. ​ 고택뿐 아니라...

    어디쯤, 너와 나의 시간(2025-07-03 16:47:00)

  • 의암고택 | 상주, 장천서원, 양진당, 운곡마을에 가다.

    건물명칭이다. ​ 이 집으로 드나드는 대문 앞에 있는 탕건 모양의 큰 바위를 '탕건석'이라 하는데, 관습적으로 사람들이 이 탕건석을 '의암'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의암고택은 조선 후기에 지은 건물로서, 정침(안채)과 사랑채, 안사랑채, 고방채, 대문간채, 사당, 뒤주채, 장독대 등 조선 시대 사대부 주택의 구성 요소...

    산수유(sansuyou)의 일상(2025-08-26 10:29:00)

  • 의암고택 | 차박여행 29일차 - 장수·함양여행 (논개사당, 육십령고개,거연정, 동호정, 농월정, 일두고택) 후기

    온 고택들과 선비들의 숨결이 지금도 살아 있는 듯한 감동을 받았습니다. ​ 차박장소 : 함양 조망공원 주차장​ 오늘의 마지막 차박지는 함양 조망공원 주차장입니다. 넓은 주차장과 잘 정비된 공원이 있어, 빗속에서도 안전하게 하루를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함양 조망공원(하) 공원에서 차박을 하였는데, 비가...

    유랑의 꿈, 바퀴로 그린 지도(2025-05-05 20:11:00)

  • 의암고택 | 운곡마을의 고택들, 풍양조씨의 세거지에서

    붙인 건물의 명칭이다. 이 집으로 드나드는 대문 앞에 있는 탕건 모양의 큰 바위를 탕건석이라 하는데, 관습적으로 사람들은 이 탕건석을 의암이라 한다. 의암고택은 조선 후기에 지은 건물로서, 정침(안채)과 사랑채, 안사랑채, 고방채, 대문간채, 사당, 뒤주채, 장독대 등 조선 시대 사대부 주택의 구성 요소를 고루...

    소소한 일상과 여행_길아래 그곳(2024-03-12 12:19:00)

  • 의암고택 | 장수 논개생가와 뜬봉샘 둘레길, 고요한 사색의 산책

    삶이 머무는 곳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에 위치한 논개생가는 충절의 상징인 의암 논개의 고향으로 알려진 곳입니다. 흔히 진주 촉석루에서의 의기 어린 투신...그 생애의 시작을 조용히 돌아볼 수 있는 공간으로, 최근 새롭게 단장된 고택과 정원, 기념관이 한데 어우러져 조용하고 품격 있는 여행지로 손꼽히고...

    xavi4 님의 블로그(2025-07-24 21:57:08)

  • 의암고택 | 호서유학 변천의 발자취 (2)—③ 예산 최익현 묘소 / 홍성 양곡사

    추사고택 인근에서 점식식사를 한 후, 예산읍과 예당저수지를 경유하여, ‘면암 최익현선생 묘소’로 향했다.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 선생의 묘소’는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관음리, 619번 지방도로가 지나는 예당저수지에서 멀지 않은 내상산 남쪽 산록에 있다. 선생이 1907년 대마도(對馬島)에서 돌아가신 후...

    길 위의 인문학(2025-06-25 00:21:00)

  • 의암고택 | 조선시대 양반가옥 주택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는 상주 의암고택

    명칭입니다. 이 집으로 드나드는 대문 앞에 있는 탕건 모양의 큰 바위를 '탕건석'이라 하는데, 관습적으로 사람들이 이 탕건석을 '의암'으로 지칭하기도 한답니다. 의암고택은 조선 후기에 지은 건물로서, 정침(안채)과 사랑채, 안사랑채, 고방채, 대문간채, 사당, 뒤주채, 장독대 등 조선 시대 사대부 주택의 구성 요소...

    구리와 인형의 지구별여행기(2014-10-30 07:30:00)

  • 의암고택 | 함평 모씨, 고려 명장인 시조 모경에서 유구한 역사 속에 이어져 온 명문 가문! 찬란한 문화 유산과...

    조선 후기 이후 일부 파가 이주하여 세거. 13.4. 기타 지역 서울·경기권 : 현대 이후 도시화와 더불어 후손들이 서울, 인천, 수원 등 수도권으로 이동. 해외...모국의 종친회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14. 유물, 유적, 유산, 고택, 박물관, 문화행사, 제례행사, 역사문화관광코스 14.1. 유물 및 유적 모순 정려각(牟恂...

    뿌리 성씨 이야기(2025-08-24 11:52:55)

  • 의암고택 | 상주 - 운곡마을 , 의암고택, 청간정

    명칭이다. 이 집으로 드나드는 대문 앞에 있는 탕건 모양의 큰 바위를 '탕건석'이라 하는데, 관습적으로 사람들이 이 탕건석을 '의암'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사랑채} 의암고택은 조선 후기에 지은 건물로서, 정침(안채)과 사랑채, 안사랑채, 고방채, 대문간채, 사당, 뒤주채, 장독대 등 조선 시대 사대부 주택의 구성...

    여일의 흔적(2023-08-09 09:21:32)

  • 의암고택 | 쉐도우수 자전거길:[사적지] 풍서천-광덕사-넓티고개-맹사성고택-외암민속마을-온양천-현충사 <2024.06.16>

    차도/의암삼거리/좌-도로역방향좌변-죽암간판/좌-삼성댕이업힐벌판-송암사/외암저수지/유턴-외암민속촌(종단)-외암팜스테이마을-외암천-솔뫼장터/저잣거리/식사?-정미소/우-외암사거리/하통-송악면농협3우-외암천/우안-온양천/우안제1외암교/하통~장촌교~수문/둑길(이 구간은 오던길 중복)-수문-수중보-정자/차도-좌부교...

    빛 곧 그림자(2024-07-25 17:34: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