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향토 문화 유적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향토문화유적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02 03:00:08
만든 사당이라고 하는 데 작아도 너무 작아요. 이거 하나 보려고 여기까지 오긴 했는 데 솔직히 실망이예요. 길도 좋지 않았고. 여담으로 견훤대왕이 신라벼슬을 받았고 현재 경북출신이라는 이유로 (후)백제의 창건은 잘못됐다, 반역이다는 식으로 주장하는 신라후손들이 있는데 그의 선조들이 과거 백제인이라는 설이...
깊은 숲 속 옹달샘(2025-09-21 12:07:00)
읍성 견훤과 달리 유화적인 왕건에게 사실상 나라를 들어 바친다. 이에 보답이라도 하듯 고려도 서라벌을 홀대하지 않는다. 동경이라 부르며 서경인 평양과 함께 무척 비중 있는 도시로 대우한다. 서라벌을 대신할 이름 '경주'도 고려가 지었다. 신라 마지막 경순왕은 경주를 식읍 삼아 978년까지 천수를 누린다. 고려...
"조하식의 즐거운 집"(2025-10-12 18:16:00)
3) 견훤의 대군이 낙동강을 도하해 급습하자 중과부적으로 패배하고 재위 11년 만에 국가는 멸망했다. 패망 후 그의 아들 박욱(朴昱)은 고려에 귀부하여 개국공신으로 책록되고 예부상서, 참지정사를 지냈다. 이를 통해 상주 박씨 가문은 고려 왕조 초기부터 중앙 정치 무대에 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박언창은 후손...
뿌리 성씨 이야기(2025-08-15 17:33:50)
세운 사당이다. 매년 4월 이곳에서 충혼제를 열어 그들의 넋을 위로하고 있다. 부여 가림성 안내판 부여 가림성 扶餘 加林城 부여 가림성 扶餘 加林城 | Garimseong Fortress, Buyeo 사적 제4호 / Historic Site No.4 가림성은 백제 후기 사비도성을 방어하기 위해 쌓은 석성(石城)이다. 「삼국사기」에 501년(동성왕...
럭셔리크로우의 전주 기행(2024-03-18 12:00:13)
조선후기 양반주택의 대표로 전통한옥의 모델이라고 할 수가 있는데 특히 장독대가 압권입니다. 예학에 밝았다는 것은 사람이 사람답게 행실을 한 것입니다.그래서 명재고택이 살아남았다고 봅니다. 장독대로 들어가는 입구에 오리모양의 돌 솟대가 보입니다. 한국인 고유의 심성이 느껴지는 솟대가 장독안의 장이...
선유풍류 仙遊風流(2025-01-01 11:13:34)
정리하여 후기와 기록을 만드는 정말 산 매니아를 만나게 된것 같았다 나이는 70대 전후인데 체력이 막강하여 우리가 이번 산행을 한것 말고도 더 이어지는 지맥을 연결하며 디카와 카메라로 많은 사진을 찍으셨는데 한번 산에오면 200장 이상의 사진을 찍는다고 하신다 난 고작 100장을 찍을까 말까 하는 초년생이 된것...
작은별밭(2024-05-02 16:29:04)
조선 후기의 석학 식산 선생(息山先生)의 문집 목판을 보관되어 있습니다. 남장사 석장승에서 출발하여 관음선원, 중국암 노음산 정상까지 5.4km로 2시간 정도...이미지 출처 한국관광공사 노음산 기본 정보 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북장리, 홈페이지 상주 문화관광 http://www.sangju.go.kr/tour 운영 시간 24...
데이터 고래의 여행(2024-08-12 22:21:40)
조선 후기 족보와는 크게 다른 편집 방식을 채택하였습니다. 2. 편찬 및 간행 경위 조선 초기 학자이자 관료인 서거정(徐居正)이 쓴 서문에 따르면, 그의...권람(權擥)이 크게 증보하였고, 다시 서거정과 권씨의 외예(外裔)가 되는 상주판관 박원창(朴元昌), 대구부사 최호원(崔灝元)이 함께 증보하고 잘못된 곳을 수정...
여행천하(2025-06-04 15:40:00)
사찰에서, 사당, 그리고 천주교 성지까지 그야말로 종교적 색채도 다양한 곳이라 산성 내부와 성벽을 모두 돌아보려면 꽤나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곳이기도 하다. 세계문화유산 남한산성 센터에서는 남한산성의 코스를 다섯 곳으로 나누어 소개하고 있다. 성 내부의 유적과 성벽을 적절히 조합한 코스로 보인다...
희스토리앤아이_대동역사기행(2024-12-03 15:45:00)
라는 사당이 있었는데 “산 속에 사는 사람들이 매년 10월에 신을 맞이하여 제사 지낸 후 45일을 머물다가 돌아간다”고 <신증동국여지승람>은 기록하고 있다...여러 산이 비교할 바가 아니다.(<유속리산기>)” 우복동으로 알려진 상주 용유리는 먹고사는데 필요한 물산을 짓는데 필요한 조건도 갖추었다. 성해응의...
초암의 건강한 삶(2024-10-16 14:29: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